쥐꼬리새(2)(쥐꼬리새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6436
쥐꼬리새(1)(쥐꼬리새와 실새풀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2881
학명 : Muhlenbergia japonica Steud.
분류 : 벼과(Poaceae)/나도바랭이이과(Chloridoideae)/그령족(Eragrostideae)/쥐꼬리새속(Muhlenbergia)
일어명 : ネズミガヤ(鼠茅)
중국어명 : 日本乱子草
사진 : 2024.09.28 죽령
FOC 쥐꼬리새속 검색표
1. Culms decumbent or ascending at base;
plants usually without creeping rhizomes, rarely with short rhizomes (2)
2. Glumes 1.5–2.2 mm; culms decumbent at base.
.............................. M. japonica 쥐꼬리새
2. Glumes 3–4 mm; culms ascending at base.
............................. M. himalayensis
1. Culms erect or ascending;
plants with long, creeping, scaly rhizomes
3. Glumes 0.5–1.2 mm, 1/4–1/3 length of lemma, apex obtuse.
.......................... M. huegelii 큰쥐꼬리새
3. Glumes 1.5–4 mm, 1/2–4/5 length of lemma, apex acute or acuminate
4. Culms with many branches in the upper part;
spikelets ca. 3 mm;
glumes 1/2–2/3 length of spikelet;
anthers ca. 0.5 mm.
........................ M. ramosa 가지쥐꼬리새
4. Culms without branches in the upper part;
spikelets 3–5 mm;
glumes 2/3–4/5 length of spikelet;
anthers 1–2 mm
5. Anthers 1.5–2 mm;
spikelets 4–5 mm;
inflorescence branches appressed with few spikelets;
leaf blades 2–4 mm wide.
................... M. hakonensis 선쥐꼬리새
5. Anthers ca. 1 mm;
spikelets 3–4 mm;
inflorescence branches loosely ascending with many spikelets;
leaf blades 3–6 mm wide.
..................... M. curviaristata
쥐꼬리새속 Muhlenbergia 종 검색표(한국식물도해도감1, 벼과)
1. 근경이 없으며 있더라도 아주 짧다.
소수는 길이 2.5-3.0mm이다
* 포영은 호영 길이의 1/2 이상
.................................................. 쥐꼬리새 M. japonica
1. 근경이 길게 뻗는다.
소수는 길이 3.0-4.5mm이다
2. 소수는 길이 3mm.
포영은 둔두, 호영 길이의 1/3-1/4 정도로 작고 백색 막질이다
............................................ 큰쥐꼬리새 M. huegelii
2. 소수는 길이 3.8-4.5mm,
포영은 예첨두, 호영 길이의 2/3로 막질이다
.......................................... 선쥐꼬리새 M. hakonensis
쥐꼬리새에 대한 설명
국생지
분포
한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만주, 우수리
생육환경
저지대의 초원이나 농촌의 길가에 자란다.
생육형
다년생
크기
높이 15-40cm이다 .
잎
● 엽신 : 엽신은 길이 5~15cm, 너비 2~4mm이다.
잎
● 엽신
■ 길이 : 5~15cm
잎
● 엽신
■ 너비 : 2~4mm
잎
● 엽초 : 엽초는 등 쪽에 용골이 생기며 털이 없다.
잎
● 옆설(특징) : 엽설은 길이 0.2~0.5mm, 가장자리에 가는 털이 배열되며 재두이다.
잎
● 엽설
■ 길이 : 0.2~0.5mm
꽃
● 화서 : 개방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8~15cm, 가지는 마디마다 1개씩 붙고 분기되어 많은 소수가 붙는다.
꽃
● 소수(특징) : 소수는 길이 2.5~3.0mm, 1개의 소화가 있다.
꽃
● 소수
■ 포영 : 2개의 포영은 모양과 크기가 비슷하며 길이 1.5~2.0mm, 호영 길이의 1/2이상, 1맥이다.
꽃
● 소수
■ 소화
▶ 호영 : 호영은 얇은 지질이며, 3맥, 기부는 긴 털이 있고 끝은 2개의 뾰족한 톱니로 갈라지며 사이에서 길이 4~8mm의 곧은 털이 난다.
꽃
● 소수
■ 소화
▶ 내용 : 내영은 호영 길이와 비슷하며 2맥이 있다.
열매
영과
줄기
줄기의 기부는 땅에 붙어 기고 마디에서는 뿌리가 나오며 높이 15~45cm이다.
줄기
● 높이 : 15~45cm
특징
큰쥐꼬리새(M. huegelii)에 비해 근경이 없으며 있더라도 아주 짧고, 소수는 길이 2.5~3.0mm, 포영은 호영 길이의 1/2이상이다.
FOC
Muhlenbergia japonica Steudel, Syn. Pl. Glumac. 1: 422. 1854.
日本乱子草 ri ben luan zi cao
Plants usually without rhizomes or rarely with short rhizomes. Culms usually decumbent at base and rooting at nodes, 15–50 cm tall, ca. 1 mm thick. Leaf sheaths glabrous, usually shorter than internodes; leaf blades narrowly lanceolate, flat, 2–9.5 × 0.15–0.4 cm, scabrid on both surfaces and margins, apex acuminate; ligule 0.2–0.4 mm, ciliate. Panicle 4–12 cm, narrow; branches one per node, scabrid, with many spikelets near base. Spikelets lanceolate, 2.5–3 mm, purplish gray-green, mottled dark gray; glumes 1.5–2.2 mm, membranous, scabrid, 1-veined, apex acute; lower glume 1.5–2 mm, upper glume 2–2.2 mm; lemma 2.5–3 mm, lower 1/4 of back pubescent, otherwise glabrous or scaberulous; awn 5–9 mm, slender, purplish, scabrid. Anthers ca. 0.6 mm. Fl. and fr. Jun–Nov. 2n = 40.
Moist ground of river banks, around margins of shrubs; 1400–3000 m. Anhui, Beijing, Fujian, Guizhou, Heilongjiang, Henan, Hubei, Shaanxi, Shandong, Sichuan, Yunnan, Zhejiang [Japan].
FOC의 쥐꼬리새속 세밀화
1-3 쥐꼬리새 7-9 큰쥐꼬리새
1-3 가지쥐꼬리새 4-7 선쥐꼬리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