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쇠고비(1)(쇠고비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075
쇠고비(1)(쇠고비속 종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9248
학명 : Cyrtomium caryotideum (Wall. ex Hook. & Grev.) C.Presl var. coreanum Nakai
분류 : 관중과 (Dryopteridaceae)
사진 : 2024.05.09 황학산수목원
우편 선단에 미세한 톱니가 보인다
포막은 회백색이며 가장자리가 갈라진다
아래 : 2025.01 .13 제주 천아오름
국생지
생육환경
산지 숲 속
생육상 구분
상록성이다.
잎
● 엽병 : 길이 20cm쯤 되고, 기부에 피침상의 흑갈색 인편이 밀생한다.
잎
● 엽신 : 장타원형으로 길이약 20cm, 너비 약 15cm이다. 1회우상복엽으로 정우편이 확실하다. 우편은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 명확한 이수가 발달한다. 폭이 넓으며 난상 피침형이다.
줄기
● 근경 : 짧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선다.
포자
● 포막 : 회백색으로 가장자리에 확실한 톱니가 있다.
포자
● 포자낭군 : 우편 뒷면에 흩어져 분포하나 가장자리 보다는 중륵에 치우쳐 달린다
한국의 양치식물 설명
성상 : 다년초; 지생
키 : 40-80cm
근경 : 짧고 굵으며 잎이 모여난다. 인편은 흑갈색이며 피침형
엽병: 흑갈색; 길이 20-40cm; 기부에 인편이 많이 붙는다; 인편은 길이 1-1.5cm이고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긴 털 모양 돌기가 있다
엽신: 1회우상으로 갈라지고, 장타원형 또는 장타원상피침형이며길이 20-40cm, 너비 13-18cm로 단단한 종이질이다.
우편: 2-6쌍이고, 정우편이 뚜렷이 발달한다. 위 아래쪽에 길고 뾰족한 귀가 생기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짧은 자루가 있다. 맨아래 우편은 전체적으로 둥근 난형이며 밑으로 처진다. 정우편은 난형으로 분기하거나 3갈래지며, 길이 10-14cm 너비 8-10cm이다.
엽맥: 그물맥이며 안에 2-3개의 유리맥이 있다
포자낭군: 우편 뒷면에 흩어져나고, 중륵에 가깝게 모여 있다
포막 : 둥글고 회백색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분포: 제주
생육지: 숲속 바위 겉
* 우편 가장자리는 거친 톱니가 발달하고, 포막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어 다른 종과 구별된다
참쇠고비의 특징 정리 1. 우편 가장자리에 잔 톱니 2. 포막은 회백색이며 가장자리에 돌기 3. 우편 수가 2-6쌍으로 적다 4. 우편 기부에 이수가 뚜렷하다(양쪽 또는 전방만) 5. 포자낭군은 유리맥 중간에 붙는다 * Cyrtomium속 중에서 포자낭군이 유리맥 끝에 붙는 것은 쇠고비(산쇠고비)뿐이다 6. 초질은 지질 |
..................................
참쇠고비는 Cyrtomium caryotideum의 변종(var. coreanum)으로 한국 특산이다. 이 종에 대한 정보는 <한국의 양치식물>에 수록되어 있는 것 외에는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FOC에서 Cyrtomium caryotideum의 정보를 대신 아래에 싣는다
Cyrtomium caryotide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C. Presl, Tent. Pterid. 86. 1836.
刺齿贯众 ci chi guan zhong
Aspidium caryotide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Icon. Filic. 1: t. 69. 1828; A. falcatum (Linnaeus f.) Swartz var. caryotide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Baker; Cyrtomium caduc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T. Moore subvar. hastosum (Christ) H. Léveillé; C. caryotideum f. attenuatum (T. Moore) Ching; C. caryotideum var. attenuatum T. Moore; C. caryotideum f. grossedentatum Ching; C. caryotideum f. hastosum (Christ) Ching; C. caryotideum subvar. hastosum Christ; C. falcatum (Linnaeus f.) C. Presl var. caryotide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Beddome; C. falcatum subvar. hastosum Christ; Dryopteris caryotide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Underwood ex A. Heller; Polystichum caryotide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Diels; P. falcatum (Linnaeus f.) Diels var. caryotideum (Wallich ex Hooker & Greville) Matsumune.
Plants 30-60 cm tall. Rhizome erect, densely covered with lanceolate blackish brown scales. Stipe stramineous, 16-32 cm, 2-3 mm in diam. at base, lower portion densely scaly; scales blackish brown or brown with a central blackish brown stripe, ovate or lanceolate, margins ciliate. Lamina oblong or oblong-lanceolate, 25-48 × 12-18 cm, base not contracted or slightly contracted, 1-imparipinnate, apex obtuse; rachis with sparse linear brown scales. Lateral pinnae 3-7 pairs, alternate, slightly ascendant, shortly stalked, deltoid-lanceolate, often falcate; middle pinnae 9-14 × 2.5-3.5 cm, base broadly cuneate or rounded-cuneate, acroscopic margins with long, acute auricles, margins serrulate, apex acuminate and often caudate; terminal pinna ovate or rhombic-ovate, forked or trifurcate, 10-16 × 8-11 cm; hard papery, abaxially with sparse lanceolate brown microscales, glabrous adaxially; venation pinnate, slightly raised abaxially, indistinct adaxially, veinlets anastomosing to form multiple rows of areoles on each side of midrib, each areole in proximal row with 1 included veinlet, each areole in other rows with 2 or 3 included veinlets. Sori throughout abaxial surface of pinnae; indusia white or light brown, margins toothed.
Forests; 600-2700 m. Chongqing, S Gansu, N Guangdong, Guangxi, Guizhou, W Hubei, Hunan, Jiangxi (Jinggangshan), S Shaanxi, SW and W Sichuan, Taiwan, Xizang (Bomi, Gyirong, Mêdog), Yunnan [Bhutan, India, Japan, Nepal, Pakistan, Philippines, Vietnam].
Cyrtomium caryotideum is an apomictic species.
세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