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풀과

길골풀(3)

대효0617 2025. 2. 19. 18:34

길골풀(3)

https://daehyo49.tistory.com/7816549

길골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30

길골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104

골풀 종류 비교/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231

 

학명 : Juncus tenuis Willd.

분류 : 골풀과(Jncaceae)

일어명 : クサイ(草藺 초린)

중국어명 : 坚被灯心草(견피등심초)

 

사진 : 2024.08.27 한라산

 

 

 

삭과는 아구형이고 둔두; 길이 3-3.5mm

 

 

 

화피는 피침형으로 예두,길이는 3.7-4.1mm

 

 

 

국생지

형태

다년생, 높이 19~50cm, 포기를 이룬다. 지하경은 짧고, 가지를 많이 친다. 줄기는 원통형이며 직립하거나 굽어 서서 자라며 직경은 0.6~0.8mm이다. 인엽은 1~2장으로 길이 3~10cm이다. 기부엽은 1~2장이며 길이 11~23cm, 너비 0.7mm 정도이다. 납작하며 가장자리는 말리는 형태(내권형)이고, 정단은 예두이다. 엽초의 엽이는 둔두이다. 경생엽은 없다. 화서는 취산상 인상화서이고, 꽃은 단독으로 달린다. 화서 기부의 포는 잎 모양이고, 예두이며 길이는 4.1~12.3cm이다. 소포는 2개이고, 넓은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막질이다. 길이는 약 1.9mm, 너비 약 1mm 정도이다. 꽃 화피는 피침형이고, 예두이다. 화피조각의 크기는 유사하며 길이는 3.7~4.1mm 정도이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조각보다 작다. 꽃밥은 길이 약 0.4mm, 수술대는 길이 약 0.8mm이다. 암술머리는 길이 약 0.8mm 정도이다. 삭과는 아구형이고, 둔두이며 능선부가 불분명하다. 가삼실이고, 길이는 3~3.5mm이다. 부리모양의 돌기는 길이 약 0.1mm 정도이다. 종자는 난형체로 부속체는 없다. 길이는 약 0.7mm이다. 열매 당 종자 수는 177~225개이다.

분포

한국(함북, 강원,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북미

비고

북아메리카 동부 원산이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광분포종이다. 근연종인 물골풀에 비해 지하경의 절간이 불분명하고, 경생엽이 없으며 화피가 피침형, 예두인 특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참고문헌

한국식물 도해도감 . 골풀과, 곡정초과, 부들과(2019)

 

 

 

 

 

 

 

 

'골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녀골풀(3)  (1) 2024.10.23
푸른갯골풀(2)  (0) 2024.08.10
참비녀골풀(2)  (0) 2023.07.24
날개골풀(1) (추정)  (0) 2023.07.08
길골풀(2)  (0) 20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