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꼬리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6615
여우꼬리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2415
청사초(1)(청사초절 Mitratae 종 검색표/기본 형태 도해)
https://daehyo49.tistory.com/7808558
학명: Carex blepharicarpa var. stenocarpa Ohwi.
분류 : Cyperaceae/ Carex /Mitratae
일어명 : タケシマショウジョウスゲ(국생지에서 소개한 일어명)
* 일본에서는 위의 학명으로 소개된 종의 일어명은 ナガミショウジョウスゲ(長実猩猩菅)이다
사진 : 2024.05.09 황학산수목원
정소수는 웅성으로 곤봉형으로 자루가 있고, 측소수는 자성으로 원주형으로 맨 아래 것은 떨어져 달린다
정소수는 1-3cm, 측소수는 1-3cm, 꽃은 좀 성글게 달리는 편이다
과낭은 4-6mm, 타원형이고 표면에 4=6개의 맥이 있고, 잔털이 있으며 짧은 대와 긴 부리가 있다
과낭은 자인편보다 길디
수과는 3-4mm라 하였는데 위 사진에서는 2mm 정도이다(혹시 다른 종인가?)
수과에도 짧은 대가 있고 암술대는 기부가 굵어지지 않는다
국생지
형태
다년생. 조밀하게 총생하며, 큰 그루로 된다. 줄기 높이 20-50cm이다. 잎 줄기와 길이가 비슷하거나 좀 짧고, 꽃이 진 뒤 아주 크게 자라며, 너비 2-6mm이다. 기부엽초 암갈색으로 윤기가 있고, 약간 가늘게 갈라진다. 포엽 엽신은 가시모양으로 엽초가 있다. 화서 정소수는 웅성이고, 곤봉상이며, 길이 1-3cm이다. 측소수는 자성으로 원주형이고, 길이 1-3cm, 아래쪽의 것은 다소 떨어져서 달리며, 자루는 길이 0.5-4cm이다. 웅인편 가운데가 암갈색에서 갈색이고, 끝은 약간의 돌기가 있다. 자인편 가운데가 암갈색에서 자갈색이고, 끝이 오목하며, 약간의 돌기가 있다. 과포 타원형으로 자인편보다 길이가 길고, 길이 4-6mm, 너비 1.3 -1.8mm이다. 약간 조밀하게 잔털이 있고, 부리가 길며, 구부는 오목하다. 수과 팽팽하게 들어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3-4mm이다. 주두 3개로 갈라진다.
분포
한국(울릉도), 일본, 러시아
비고
일본의 큐슈 이북에서 본토 및 사할린, 쿠릴열도에 이르기까지 일본을 중심으로 폭 넓게 분포하며, 한반도 내에서는 오직 울릉도에서만 관찰된다. Nakai(1917)에 의해 울릉도 특산식물로 기재된 섬꼬리사초(C. blepharicarpa var. insularis Nakai)는 본 종에 비해 과포가 무모인 특징을 지니나 자생지에서 확인이 어렵다.
참고문헌
한국식물 도해도감 4 사초과(2016), Nakai, T. 1917. Notulæ ad Plantas Japoniæ et Koreæ, XV. Botanical Magazine 31: 281-287.
'사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비늘사초 (0) | 2025.03.23 |
---|---|
황새고랭이(2) (0) | 2025.03.11 |
백두사초(2) (0) | 2025.03.11 |
북사초(6)(추가분) (0) | 2025.03.09 |
실사초(6)(추가분)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