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꽃과

서울제비꽃(4)

대효0617 2025. 4. 9. 11:31

 

서울제비꽃(4)

https://daehyo49.tistory.com/7816704

서울제비꽃(3)

https://daehyo49.tistory.com/7815003

서울제비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09324

서울제비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49

 

 

학명 : Viola seoulensis Nakai

분류 : 제비꽃과(Violaceae)

 

 

 

사진 : 2024.04.08 서대문 안산

 

 

 

 

 

 

 

 

 

 

 

 

사진 : 2024.04.19 파주 진동 서곡리

 

 

 

 

 

국생지

 

 

분포

경기도의 특산식물이다. 관악산 일대에 자생한다.

생육환경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토박지에서도 잘 산다.

생육형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잎이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처음에는 안으로 말린다. 탁엽은 엽병에 붙어 있으며 끝이 떨어지고 선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cm이고 엽병 상부에 날개가 약간 있다. 엽신은 긴 타원형,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1.3-2.7cm, 9-13mm로서 톱니가 있다.

화경은 털이 있고 길이 5.5~8.5cm 이며, 꽃받침조각은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부속체(附屬體)가 있다. 꽃잎은 보라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고 짙은 보라색 맥이 있으며 측열편에 털이 다소 있고 거()는 옆으로 편평하며 길이 6~7mm이다. 개화기는 4월로 다화성이다.

열매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털은 없다. 5~7월에 익는다.

줄기

줄기는 없다.

뿌리

근경이 굵고 끝이 여러 개로 갈라지며 잎이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갈색이며 잔수염뿌리가 있다.

번식방법

실생 또는 분주로 한다.

개화기는 4월이나 다화성 식물이다.

재배특성

양지에서 잘 자라며, 10~21에서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한다. 일반적으로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고,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은 보통이고, 이식이 용이하다.

유사종

남산제비꽃(Viola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Makino)은 흰 꽃이 피고 자주색 맥이 있으며 잎은 단풍잎같이 잘게 갈라져 있다.

화엄사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은 밝은 자홍색 꽃이 피고 화엄사 부근에서 자란다.

고깔제비꽃(Viola rossii Hemsl.)은 잎이 고깔모양처럼 생기고 꽃은 연분홍 자색이다.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ecker)은 짙은 보라색 꽃이 핀다.

호제비꽃(Viola yedoensis Makino)은 꽃과 잎이 크며 연분홍 보라색 꽃이 핀다.

알록제비꽃(Viola variegata Fisch.)은 잎에 흰 줄의 얼룩무늬가 있고 자주색 꽃이 핀다.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W. Becker)은 이른봄 자생지에서 군락을 이루고 노랑꽃이 핀다.

특징

제비꽃에 비해 잎이 넓고 털이 많으며 난상 피침형으로, 꽃잎은 안에 털이 없음. 털제비꽃과 비슷하나, 털제비꽃보다 잎은 긴 타원형, 넓은 피침형, 자줏빛이 안돌고, 꽃이 보라색임

 

 

 

 

 

 

 

 

 

 

 

 

'제비꽃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랑제비꽃  (0) 2025.03.16
민둥뫼제비꽃(3)  (0) 2025.03.04
털노랑제비꽃  (0) 2025.02.22
낚시제비꽃(3)(좀낚시제비꽃?)  (1) 2025.02.22
호제비꽃(3)  (1)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