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21 6

왕느릅나무 (3)

왕느릅나무 (3)https://daehyo49.tistory.com/7815164왕느릅나무 (2)(Ulmus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013왕느릅나무 (1)https://daehyo49.tistory.com/7809300미국느릅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0767미국느릅나무(1)(미국느릅나무와 왕느릅나무 잎, 열매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9290 학명 : Ulmus macrocarpa Hance분류 : 느릅나무과 (Ulmaceae) 사진 : 2023.05.19 철원 외포리 왕느릅나무 엽선은 급첨두(shortly caudate)이다 아래 : 2023.10.04 ..

느릅나무과 2023.05.21

가새쑥부쟁이(3)

가새쑥부쟁이(1)https://daehyo49.tistory.com/7807603가새쑥부쟁이(2)https://daehyo49.tistory.com/7808764가새쑥부쟁이(3)https://daehyo49.tistory.com/7815163쑥부쟁이(쑥부쟁이와 가새쑥부쟁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8768  쑥부쟁이 종류 비교표(1)http://blog.daum.net/daehyo/7807600쑥부쟁이 유사종 비교http://blog.daum.net/daehyo/7807602쑥부쟁이 유사종 비교http://m.cafe.daum.net/fernlove/M37t/21?svc=cafeapp 관모의 길이 (쑥부쟁이는 0.5mm정도, 가새쑥부쟁이는 0.5- 1mm 정도)외에는..

국화과 2023.05.21

제비쑥(2)

제비쑥(1)https://daehyo49.tistory.com/7809580제비쑥(2)https://daehyo49.tistory.com/7815162 학명 : Artemisia japonica Thunb.분류 : 국화과 (Asteraceae)일어명 :オトコヨモギ   사진  2023.05.19 파주 고성리   . 아래 : 2024.07.28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우리나라 전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형태여러해살이풀생육환경산지에서 흔히 자란다.크기높이 약 30~90cm이다.잎잎은 어긋나기하고 쐐기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3.5-8cm, 나비 0.8-3cm로서 양면에 견모가 드문드문 있고 양쪽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윗부분이 결각상으로 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중앙부..

국화과 2023.05.21

가는비늘사초

학명 : Carex suifunensis Kom.분류 : Cyperaceae 사진 : 2023.05.19 철원 **리 자인편의 까락은 짧고 자소수의 폭은 0.8-1cm이다.왕비늘사초는 까락이 길고 자소수의 폭이 1-1.2cm이다 왕비늘사초처럼 과포에는 유두상돌기가 있고 회록색으로 보임. 별풍경사초는 유두상 돌기가 없고 녹색으로 보인다 과포 크기는 2.7-3.25mm 하는데 위의 사진으로는 길이는 3mm, 폭은 2mm이하로 보인다. 왕비늘사초는 과포 크기가 3.5-4.5mm로 크다 수과의 암술대는 굽어지는 듯하다. 위의 수과들 중 일부는 과포에서 수과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암술대가 부러져 나간 것으로 판단된다. 국생지 기재가는비늘사초는 수과의 정점이 구부러진다왕비늘사초는 수과의 정점이 ..

사초과 2023.05.21

붉은참반디(2)

붉은참반디(1)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146 붉은참반디(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60 파드득나물(1) (파드득나물과 참반디 잎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569 파드득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69 참반디(1) (참반디와 파드득나물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579 참반디(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02 학명: Sanicula rubriflora F.Schmidt ex Maxim.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Sanicula: 라틴어..

산형과 2023.05.21

나래박쥐나물(2)

학명: Parasenecio auriculata var. kamtschatica (Maxim.) H.Koyama 분류: 국화과(Compositae) 학명 풀이: Parasenecio: Para -'유사, 擬-, senecio ';Latin form of old man refers to hairy parts of flowers 사진: 2013.07.26 백두산 참나래박쥐나물에서 나래 박쥐나물로 고친다. 참나래박쥐나물은 줄기를 감싼 귀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아래 : 2023.04.30 선자령 게박쥐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15394 귀박쥐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339 귀빅쥐나물(2) https://daehyo49.tis..

국화과 202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