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31

개머루(2)

개머루(2)https://daehyo49.tistory.com/7816200개머루(1)https://daehyo49.tistory.com/7808035가새잎개머루(3)https://daehyo49.tistory.com/7810093가새잎개머루(2)https://daehyo49.tistory.com/7810050가새잎개머루(1)https://daehyo49.tistory.com/7807476 학명 : (국생지) Ampelopsis glandulosa (Wall.) Momiy. var. heterophylla (Thunb.) Momiy. (한국의나무)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owicz) Trautvetter분류: 포도과(Vitaceae)일어명: ノブドウ(野葡萄)중국어명:..

포도과 2024.06.30

용수염과 광릉용수염 구별(비공개)

용수염속은 속명이 Diarrhena이지만  Neomolinia으로 쓰는 곳도 있다  용수염과 광릉용수염의 구별(FOC) 1. 내영 용골은 매끈하다; 꽃밥은 0.7–1.2 mm;     화서는 개방형;     화서지는 개출(spreading)   ,,,,,,,,,,,,,,,,,,,,,,,,     D. japonica 용수염1. 내영 용골에 잔털이 있다: 꽃밥은 1.5–2 mm;     화서는 처음에는 선형이다가 개방형으로 발전;     화서지는 직립 또는 경사(erect to ascending)   ............................ D. fauriei 광릉용수염    기타 차이(일본 야후)용수염: 엽초에 긴 털이 두드러진다.광릉용수염: 엽초에는 털이 눈에 띄지 않는다  https://b..

벼과 2024.06.30

구름체꽃(2)

구름체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198구름체꽃(1) (체꽃 종류 비교하기)https://daehyo49.tistory.com/7807530솔체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4012솔체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7531 학명: Scabiosa tschiliensis f. alpina (Nakai) W.T.Lee* 학명에 대해선 솔체꽃 https://daehyo49.tistory.com/7807531참조분류: 산토끼꽃과 (Dipsacaceae)  사진 : 2024.06.13 여주 황학산수목원  개화 시 근생엽이 남아 있는 것이 솔체꽃과 다르다     설명:     잎근생엽이 솔체꽃과는 달리 꽃이 필..

산토끼꽃과 2024.06.29

갯기름나물(2)

갯기름나물(2)https://daehyo49.tistory.com/7816196갯기름나물(1)https://daehyo49.tistory.com/7807437 학명: Peucedanum japonicum Thunb.분류: 산형과(Umbelliferae) 기름나물속(Peucedanum)학명 풀이Peucedanum : From the Greek peukedanon, meaning hogs-fennel or parsnips 일어명 : ボタンボウフウ.(長命草 또는 牡丹防風)중국어명 : 滨海前胡 사진  : 강원도립화목원      사진 : 2020.07.27 동두천 총포는 없다 소총포는 (5-) 8-10개로 피침형 소산경의 잔털 소화경(과경)의 잔털 분과는 타원형으로 털이 있고 背面에 가는 능선이 있다     아래..

산형과 2024.06.28

덕우기름나물(2)

덕우기름나물(2)https://daehyo49.tistory.com/7816193덕우기름나물(1)(기름나물속과 덕우기름나물속 구분)https://daehyo49.tistory.com/7808733   학명 : Sillaphyton podagraria (H.Boissieu) Pimenov분류 : 산형과 (Apiaceae) 사진 : 2024.06.13 여주 황학산수목원    3회3출우상복엽이다   근생엽은 3회3출복엽이다      아래 : 2024.07.27 영월 장릉 물무리골      아래 : 2024.07.31 여주 황학산수목원       국생지 분포한반도(강릉 덕우산)생육환경산지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0.8-1.2m잎꽃은 양성 또는 웅성이고, 방사상칭이며, 7~9월에 흰색으로 핀다.꽃꽃은 양성 또는 웅성이..

산형과 2024.06.27

Allium sp.

안내 표지판이 2개 꽃혀 있는데 두 종을 구별할 수 없다Allium cristophii Trautv. Allium 'Gladiator' 사진 : 2024.06.25 안면도수목원           .......................................... 아래는 퍼온 사진들 Allium cristophii Trautv.   두화 전체는 구형, 낱개의 꽃은 꽃잎이 아주 가늘고 길며 끝이 날카롭다  Allium Gladiator   전체 두화는 구형, 낱개의 꽃은 꽃잎이 가늘고 길다 . 낱개 꽃들이 Allium christophii 보다 더 밀집하고 꽃잎 끝은 다소 둔한 느낌이다 위의 Allium christophii와 구별이 어렵다        비교  Chives(우리나라 인터넷에 보통 '..

원예.재배식물 2024.06.26

큰참나물

큰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6189큰참나물 사진 세밀화 퍼온 자료(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6190대마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6188  학명: (이명) Cymopterus melanotilingia (H.Boissieu) C.Y.Yoon (국생지 학명)(정명) Halosciastrum melanotilingia (H.Boissieu) Pimenov & V.N.Tikhom* 학명의 변화는 2008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제 38권 4호 참조 분류: 산형과(Umbelliferae)학명 풀이:Cymopterus : 그리스어 cyma (wave) and pteron (wing), referring t..

산형과 2024.06.23

대마참나물

큰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6189큰참나물 사진 세밀화 퍼온 자료(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6190대마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6188  참고 논문https://www.e-kjpt.org/upload/pdf/0i800710.pdf  학명 : Tilingia tsusimensis (Y.Yabe) Kitag.분류 : 산형과 (Apiaceae)  사진 : 2024.06.13 여주 홍학산수목원 잎만 있는 상태에서는 큰참나물, 참나물과 구별할수 있는 것 같지 않다.    아래 : 2024.07.31 여주 황학산수목원    대마참나물 Tilingia는 분과의 측륵, 배륵이 모두 늑선형(돌기)이고  큰참..

산형과 2024.06.21

참나물

한라참나물(참나물속 Pimpinell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698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6187노루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2892그늘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08741큰참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6189 학명 : (국생지, FOC) Pimpinella brachycarpa (Komarov) Nakai/ (WFO Plant List, Wikipedia) Spuriopimpinella brachycarpa (Nakai) Kitag.분류 : 산형과(Apiaceae)일어명 : ヒカゲミツバゼリ(日陰三葉芹)중국어명 :..

산형과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