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56

중국라일락

학명 : Syringa × chinensis Willd.분류 : 물푸레나무과(Oleaceae)국내 유통명 : 중국라일락정식 등록 국명 : 아직 미등록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 안내 표지판에 품종명 ‘Lilac Sunday'로 되어 있다     Wikipedia 설명 Syringa × chinensis, the Chinese lilac or Rouen lilac, is a hybrid species of flowering plant in the family Oleaceae.[1][2] It was supposedly first noticed growing in Rouen, France in 1777.[2] In spite of its specific and common names, it ..

왕지네고사리(4)

왕지네고사리(3)(유사종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5490왕지네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1498왕지네고사리(1) (관중/산비늘고사리/왕지네고사리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8857낭상인편이 없는 1회우상하부 2회우상 포함>인 관중 유형 Dryopteris 들 비교/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453 학명 :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Chr.분류 : 관중과 (Dryopteridaceae)일어명 : ミヤマベニシダ영명 : King wood fern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근경이 짧게 옆으로 기기에 잎은 약간..

양치식물 2025.02.13

좀진고사리(4)

좀진고사리(4)https://daehyo49.tistory.com/7816524좀진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5190좀진고사리(2) (진고사리 종류 검색표와 비교표 1)https://daehyo49.tistory.com/7809962좀진고사리(1) (진고사리속 6종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9471 학명 : Deparia conilii (Franch. & Sav.) M.Kato분류 : 개고사리과 (Athyriacea학명 풀이: Deparia  : 그리스어 depas, which is a cup or a beaker일어명: ホソバシケシダ  사진 : 2023.11.10 세종식물원     아래 : 2024.08.08 광릉수목원   ..

양치식물 2025.02.13

곱새고사리(4)

곱새고사리(4)https://daehyo49.tistory.com/7816523곱새고사리(3)(새순)https://daehyo49.tistory.com/7816061곱새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4131곱새고사리(1) (곱새고사리와 왕고사리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9968 학명 : Deparia coreana (Christ) M.Kato분류 : 개고사리과 (Athyriaceae)일어명 : コウライイヌワラビ중국어명 : 朝鲜对囊蕨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1회우상, 광피침형 또는 협난형으로 끝이 뾰족해지며, 아래로 가면서 약간 좁아진다우편은 피침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다왕지네고사리(관중과)는 2회우상이다   ..

양치식물 2025.02.13

큰잎부들

부들/애기부들/꼬마부들/큰잎부들https://daehyo49.tistory.com/7807439 학명 : Typha latifolia L.분류 : 부들과 (Typhaceae)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 종의 특징은 우선 엽폭이 넓다는 것과 잎이 줄기를 중심으로 2열 호생한다는 점이다. 다른 종들은 나선상으로 잎이 배열한다    국생지 형태줄기는 높이 1.5~2.5m이고, 단단하여 곧게 자라며 지하경은 옆으로 뻗는다. 잎은 줄기를 마주보며 이열로호생하며 길이는 60~100cm, 너비 10~20mm, 단면은 초승달모양이다. 털이 없고, 기부는 줄기를 감싸며 열려있다. 수화서는 길이 7~l4cm, 너비 0.8~1.8cm, 1~3개의 포가 아랫부분에 달리나 가끔 화서..

기타 과 2025.02.12

참나도히초미(3)

참나도히초미(2)https://daehyo49.tistory.com/7814019참나도히초미(1)https://daehyo49.tistory.com/7807745비늘개관중/지리개관중/참나도히초미 인편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925  학명 : Polystichum ovato-paleaceum (Kodama) Sa.Kurata var. coraiense (Christ) Sa.Kurata분류 : 관중과 (Dryopteridaceae)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아래 : 2024.09.01 광릉수목원       아래 : 2024.10.25 파주 진동 하포리 좀나도히초미로 올렸던 것이나  좀나도히초미는 포자낭군 위치가 소우편 중륵 가까이로 되어 있다. ..

양치식물 2025.02.12

개쉽싸리(개쉽싸리와 털쉽싸리 비교)

학명 : Lycopus cavaleriei H.Lév (FOC, WFO, 일본 야후)synonym : Lycopus ramosissimus (Makino) Makino(구 학명)국생지 학명 : Lycopus coreanus H.Lév.* 국생지의 학명  Lycopus coreanus H.Lév.는 WFO에서 Lycopus uniflorus Michx.(털쉽싸리)의 Synonym으로 나온다 분류 : 꿀풀과 (Lamiaceae)일어명 : ヒメサルダヒコ(姫猿田彦)중국어명 : 小叶地笋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himesarudahiko.html  사진: 2024.08.08 광릉수목원     국생지 생육환경연못이나 물가 등 습지 근처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30c..

꿀풀과 2025.02.12

돌콩과 새팥

1) 돌콩 학명 : Glycine max (L.) Merr. subsp. soja (Siebold & Zucc.) H.Ohashi분류 : 콩과 (Fabaceae)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소엽 기부의 소탁엽은 작아 잘 보이지 않는다    . 2) 새팥  학명 : Vigna angularis (Willd.) Ohwi & H.Ohashi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분류 : 콩과 (Fabaceae) 사진 : 2024.08.08 광릉수목원   엽병과 소엽 자루가 대체로 자색을 띤다    소엽 기부의 소탁엽은 비교적 크고 뚜렷하다   3) 돌콩과 새팥 잎  대조   위가 돌콩아래가 새팥(좀돌팥?)  왼쪽이 새팥오른쪽이 돌팥

콩과 2025.02.11

모래지치(2)

모래지치(2)https://daehyo49.tistory.com/7816516모래지치(1)https://daehyo49.tistory.com/7809418지치과 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718  학명 : 한.중.일 3국의 정명이 모두 다르다           Argusia sibirica (L.) Dandy(국생지)/          Tournefortia sibirica L. (FOC, WFO Plant List)/          Heliotropium japonicum A.Gray (일본 야후)분류 : 지치과 (Boraginaceae)일어명 : スナビキソウ(砂引草、窃衣)중국어명 : 砂引草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su..

지치과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