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류 226

아교좀목이

학명 : Exidia uvapssa Lloyd 분류 : 목이목 Auriculariales /목이과 Auriculariaceae / 좀목이속 Exidia 사진 : 2022.03.13 홍릉수목원 설명 발생 시기 : 봄 -가을 생태 : 참나무 등의 활엽수 등의 마른 가지 위에 주로 발생 식독 여부 : 식용 형태 : 자실체는 지름 0.5-2.5cm, 유구형-평판형 또는 귀 모양으로 형태가 매우 다양하며 , 개체는 서로 붙어 있어도 융합하지 않고 개별 성장을 한다. 표면은 담적갈색- 갈색이나 건조할 때는 흑갈색이 되며 주름이 많고 , 때로는 작은 사마귀로 덮여 있다. 조직은 젤라틴질이다. 담자기는 유구형-방추형, 세로의 격막에 의해 2-4실로 나뉘어진다. 포자는 7.5-22.5 X 3-7㎛, 타원형, 표면은 평활..

균류 2022.04.02

큰비단그물버섯

학명 ; Suillus grevillei (Klotsch) Singer 분류 : 그물버섯목(Boletales)/ 비단그물버섯과(Sillaceae)/비단그물버섯속(Suillus) 학명 풀이 Suillus : 'of pigs' (swine); s a reference to the greasy nature of the caps of all fungi in this genus. grevillei : Scottish botanist/mycologist Robert Kaye Greville (1794 – 1866) 사진 : 2021.10.18 화악산 조직은 담황색이다 자루의 턱받이 위쪽이 망목상이다. 관공은 상처가 나면 갈색으로 변한다 한국의 야생버섯분류회 카페 설명 새로운 한국의 버섯 설명 발생 시기 : 여름-가..

균류 2021.12.08

끈적비단그물버섯(노른자비단그물버섯)

학명 : Suillus americanus (Peck) Snell 분류 : 그물버섯목(Boletales)/ 비단그물버섯과(Suillaceae)/비단그물버섯속(Suilla) 학명 풀이 : Suillus : 'of pigs' (swine); s a reference to the greasy nature of the caps of all fungi in this genus. 사진 : 2021.10.15 화악산 잣나무 숲에 자라고 있었다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카페 설명 갓은 크기 3-10cm 정도로 어릴때는 원추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습할 때 끈적거리고, 황색 바탕 위에 갈색의 섬유 모양 인편이 붙어 있으며, 갓 가장자리에는 내피 조각이 붙어 있다. 조직은 밝은 황색이다. 자실층인 ..

균류 2021.12.03

귀느타리(=노란귀느타리)

학명 : Phyllotopsis nidulans (Pers.) Singer 분류 : 주름버섯목(Agaricales)/ 송이과(Tricholomataceae)/ 귀느타리속(Phyllotopsis) 참조 사이트 : https://cafe.naver.com/tttddd/12122 사진: 2021.11.03 동구릉 설명 발생 시기: 여름-가을 생태: 침엽수 또는 드물게 활엽수의 썩은 그루터기, 줄기 위에 단생-중생, 백색부후균 형태: 갓은 지름 2-7cm, 두께 1.5-4.5cm, 반원형-부채형이다. 갓 표면은 등황색-황색, 미세한 솜털상-벨벳상이며, 어릴 때는 종종 백색 솜털 모양의 털이 밀생하나 나중에 탈락한다. 갓 가장자리는 말린형이고 파형이다. 조직은 담황색, 단단하며, 하수구에서 나는 냄새가 난다. 주..

균류 2021.11.21

등갈색미로버섯(4)

등갈색미로버섯(5) https://daehyo49.tistory.com/7815647 등갈색미로버섯(4) https://daehyo49.tistory.com/7813313 등갈색미로버섯(3) https://daehyo49.tistory.com/7813288 등갈색미로버섯(2)(노균) http://blog.daum.net/daehyo/7813282 등갈색미로버섯(1) http://blog.daum.net/daehyo/7812601 학명 : Daedalea dickinsii Yasuda 분류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 잔나비버섯과(Fomitopsidaceae) / 미로버섯속(Daedalea) 국명 이명: 띠미로버섯 사진: 2021.11.03 동구릉 아래 것은 좀 떨어진 장소에서

균류 2021.11.19

말굽버섯

학명 : Fomes fomentarius (L.) J. J. Kicks. 분류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 말굽버섯속(Fomes) 사진 : 2021.11.11 광릉수목원 설명 발생 시기: 1년 중 생태: 활엽수의 살아 있거나 죽은 나무 위에 발생; 다년생 백색 부후균 형태: 자실체는 대형과 소형이 있으며, 단생하거나 몇 개가 융합하여 부정형이 되기도 한다. 갓은 지름 5-30cm, 두께 3-20cm, 말굽형-종형이다. 갓 표면은 단단한 각피로 되어 있으며, 동심원상의 환문과 환구가 있고, 회백색-회갈색, 가장자리는 두꺼우며 성장할 때는 백색이다. 조직은 담황갈색, 질기며, 동심원산 환문이 있다. 관공은 여러 층이고, 회백색이며, 관공구는 미세하..

균류 2021.11.19

털구멍장이버섯(=털미로구멍버섯)

학명 : Cerioporus squamosus (Huds.) Quél. 분류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미로구멍버섯속(Cerioporus) 참조 사이트 https://ultimate-mushroom.com/edible/49-cerioporus-squamosus.html https://www.messiah.edu/Oakes/fungi_on_wood/poroid%20fungi/species%20pages/Cerioporus%20squamosus.htm 사진 : 2021.11.18 축령산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카페 설명 갓은 지름 10-25cm 정도로 큰 편이며, 콩팥 모양, 부채 모양 내지는 반원 모양이다. 갓 표면은 옅은 황색 내지는 황토색 바탕에 갈..

균류 2021.11.19

겨울잣버섯(겨울구멍장이버섯)

학명 : Lentinus brumalis (Pers.) Zmitr. 분류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 잣버섯속(Lentinus) 사진: 2021.11.18 축령산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카페 설명 갓은 지름 1-5cm 정도로 어릴 때는 낮은 반원 모양에서 가운데가 오목한 편평한 모양이 된다. 갓 표면은 암갈색에서 흑갈색으로 변해가며 그 위에 짧은 털이 덮여 있다가 오래되면 탈락하고, 때로는 미세하게 테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조직은 백색으로 가죽같은 질감이다. 자실층인 갓 아랫면은 관공으로 되어 있고, 백색에서 회백색으로 변해가며, 구멍은 원형으로 작고 구멍의 밀도는 1mm 사이에 2-4개로 촘촘하다. 자루는 길이 1-4cm 정도로 짧은 막대 모양이고..

균류 2021.11.19

구름송편버섯(3)(= 구름버섯 = 운지)

학명: Trametes versicolor (L.) Lloyd 분류: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송편버섯속(Trametes) 학명 풀이: Trametes : 얇은 versicolor : Changing color, variously coloured 사진 : 2021.11.18 축령산 https://cafe.naver.com/tttddd/14897 아래 : 2024.04.05 파주 진동 용산리 설명 발생 시기: 봄-가을 생태: 침엽수, 활엽수의 죽은 나무 위에 중생, 1년생 백색부후균 형턔; 갓은 지름 1-5cm, 두께 0.1-0.2cm, 반원형-부채형이며, 전체가 파형이다. 갓 표면은 벨벳상의 짧은 털이 밀생하며, 회색, 황갈색, 암갈색, 흑색 등 다양..

균류 2021.11.19

꽃흰목이

학명 : Tremella foliacea Pers. 분류 : 흰목이목(Tremellales) / 흰목이과(Tremellaceae) / 흰목이속(Tremella) 사진 : 2021.10.05 화악산 설명 발생 시기: 봄-가을 생태: 활엽수의 죽은 나무, 죽은 가지 위에 발생 형태: 자실체는 지름 6-10cm, 높이 3-5cm, 파형의 겹꽃 모양이다. 표면은 담갈색-적갈색이나 건조하면 흑갈색이 되고, 자실층은 표면 전체에 발달한다. 조직은 반투명한 젤라틴질이며, 기부는 연골질이고, 건조하면 수축하여 전체가 단단한 연골질이 된다. 담자기는 난형-유구형, 세로의 격막에 의해 2-4실로 나누어진다. 포자는 7-10.5 X 6-8㎛, 유구형-난형, 표면은 평활하고 무색이다 이용과 효능: 식용버섯으로, 맛은 보통이다1

균류 202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