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가리과(협죽도과) 26

박주가리(1)

박주가리 열매와 씨https://daehyo49.tistory.com/7809277박주가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5266박주가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9503 학명: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분류: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일어명: カガイモ영명: Japanese Metaplexis 사진: 2012.07.09 ***       아래 사진: 2012.08.10 ***         아래 : 2021.08.28 검암역  부화관(corona)은  매우 짧아 흔적만 있으며 예주를 링처럼 두르고 있다(아래 퍼온 자료 사진 참고)위 사진에서는 긴 암술대 밑에 흰색의 삼각상 열편이 꽃밥 덮개..

큰조롱(2)( 큰조롱/하수오/나도하수오 비교표)

큰조롱(2) (큰조롱/하수오/나도하수오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458큰조롱(1) (큰조롱과 쥐방울덩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8627하수오(1)https://daehyo49.tistory.com/7810716하수오(2)https://daehyo49.tistory.com/7810820나도하수오https://daehyo49.tistory.com/7810858절관우피소(1)https://daehyo49.tistory.com/7812579절관우피소(2)https://daehyo49.tistory.com/7812032   학명: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분류: 박주가리과(Asclepiadace..

산해박(1)

산해박(1) https://daehyo49.tistory.com/7809427 산해박(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67 학명: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분류: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학명 풀이: Cynanchum: 그리스어 kyon ‘개’ + ancho ‘질식시키다’ → 이 식뭃의 독성과 관련 paniculatum: 원추화서 일어명: スズサイゴ 영명: Paniculate Swal-lowwort 동속식물: - 사진: 2012.06.16 ***에서 아래: 2020.06.11 강원도 설명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끝이 예첨두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6-12cm, 폭 4-15mm로서 표면과 가장자..

큰조롱(1)(큰조롱과 쥐방울덩굴 비교)

큰조롱(2) (큰조롱/하수오/나도하수오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458 큰조롱(1) (큰조롱과 쥐방울덩굴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8627 하수오(1) https://daehyo49.tistory.com/7810716 하수오(2) https://daehyo49.tistory.com/7810820 나도하수오 https://daehyo49.tistory.com/7810858 절관우피소(1) https://daehyo49.tistory.com/7812579 절관우피소(2) https://daehyo49.tistory.com/7812032 학명: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분류: 박주가리과(A..

(검은)솜아마존(1)

솜아마존(3)https://daehyo49.tistory.com/7816458솜아마존(2)https://daehyo49.tistory.com/7810629(검은)솜아마존(1)https://daehyo49.tistory.com/7807309  학명: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  /(이명)  Vincetoxicum amplexicaule Siebold & Zucc.분류: 박주가리과       자갈색 꽃이 피는 것을 검은솜아마존 (for.castaneum OHWI)이라 한다          국생지  분포일본, 중국 / 한국(경기도 남양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생육환경산이나 들에 난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 40-60cm잎잎은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