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의귀과 94

천마괭이눈(1) ← 금괭이눈(괭이눈속 식물 비교)

천마괭이눈(2)https://daehyo49.tistory.com/7816663천마괭이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7907한국산 괭이눈속Chrysoplenium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05    학명: Chrysosplenium valdepilosum ((Ohwi) S.H.Kang & J.W.Han  ←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분류: 범위귀과(Saxifragaceae)             ↑ 노란 4각의 모습이 꽃받침이고  그 주위에일부가 노랗게 물들거나 초록빛으로 남아있는 잎같은 것이 포엽이다.           아래 사진: 2014.04.27 태백산         ..

범의귀과 2010.01.17

고광나무sp.(1)(고광나무 종류 검색표와 세밀화 비교)

얇은잎고광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8629 얇은잎고광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259 털고광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3057 털고광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3691 고광나무sp.(1) (고광나무 종류 검색표와 세밀화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766 고광나무 sp.(2)(흰털고광나무 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08588 고광나무sp.(3) https://daehyo49.tistory.com/7810702 학명: Philadelphus sp. 분류: 범의귀과(Sa..

범의귀과 2009.12.25

까마귀밥(여름)나무(1)

까마귀밥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717 까마귀밥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079 까마귀밥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676 까치밥나무속 Ribes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345 학명: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Maxim.(국생지) Ribes fasciculatum Siebold & Zuccarini, (한국의 나무)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사진 : 한택식물원 아래는 홍릉수목원에서 광릉수목원에서 아래: 202010.13 석모도 아래: 2021.04.20 용인 추계리 아래 ;..

범의귀과 2009.12.04

도깨비부채

학명: Rodgersia podophylla A.Gray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학명 풀이 Rodgersia : Named for Admiral John Rodgers, 19th century US Naval officer, who led an expedition to China and Japan where the plant was discovered podophylla : Stout or thick leaf or petiole 동속식물: - 아래: 2021.06.10 가평 석룡산 꽃은 황백색, 취산화서 화서에는 털(유두상의 털로 표현, 사진상으로는 선모로 보인다)이 있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잎이 4-8개, 수술은 8-15개, 암술대는 2개(맨 왼쪽 바로 위에 있는 꽃에서 뚜렷이 보인다..

범의귀과 2009.11.26

등수국(2)

등수국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1831 등수국(2) https://daehyo49.tistory.com/7807612 등수국(1) (수국종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9998 산수국(1) (수국 종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417 학명: 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사진 : 홍릉수목원 수국 종류: 꽃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buergeri Nakai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Siebold for. paniculata http://blog.daum.net/..

범의귀과 2009.11.20

물참대(2)<말발도리와 물참대의 비교>

물참대(1)https://daehyo49.tistory.com/7808587물참대(2)(말발도리와 물참대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607물참대(3)https://daehyo49.tistory.com/7807341물참대 겨울눈https://daehyo49.tistory.com/7811853말발도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8285말발도리(2)(말발도리와 물참대 잎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809말발도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5184말발도리 겨울눈https://daehyo49.tistory.com/7812612털말발도리https://daehyo49.tist..

범의귀과 2009.11.18

매화말발도리(1) (겨울눈 포함)

매화말발도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4086매화말발도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7605   학명: Deutzia uniflora Shirai이명: 해남말발도리* 팻말에는 해남말발도리(Deutzia coreana var. tozawae로 되어 있으나 해남말발도리를 검색하면 매화말발도리가 나오고 이명으로 해남말발도리가 나온다,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수국과 (Hydrangeceae)  사진  : 홍릉수목원       아래 사진애서는 팻말에 좁은잎댕강나무로 되어 있으나 매화말발도리에 통합되었다. 따라서 학명 Deutzia  coreana var. angustifolia 도 이명이다                    ..

범의귀과 2009.11.17

만첩빈도리(꽃말발도리)(1)

만첩빈도리(꽃말발도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5746만첩빈도리(꽃말발도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7461빈도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6439빈도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8645빈도리 겨울눈(2)https://daehyo49.tistory.com/7815808빈도리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8991  학명 : Deutzia crenata f. plena Schneid분류 : Saxifragaceae/ Hydrangeaceae(신분류) 동속의 다른 종들과 서로 구별하기 아래 참조 http://blog.daum...

범의귀과 2009.10.01

산수국(1)(수국 종류 비교)

산수국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1857 산수국(2) https://daehyo49.tistory.com/7815443 산수국(1) (수국 종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417 탐라산수국(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63 학명: (국생지)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 (한국의나무)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subsp. serrata (Thunb) Makino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일어명 : ヤマアジサイ(山紫陽花) 사진 : 오대산한국자생식물원 아래..

범의귀과 2009.08.27

숙은노루오줌

학명 : Astilbe koreana (Kom.) Nakai 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 이름의 유래: 뿌리에서 역겨운 냄새가 나는데 그 냄새가 노루오줌 같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쓰임새: 뿌리줄기를 적소마(赤小麻), 적승마(赤升麻)라고 활혈, 거어(祛瘀), 청열, 해독, 진경, 지통의 효능이 있다. 근골 산통, 타박상, 관절통, 위통, 독사 교상을 치료한다.(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 노루오줌(Astilbe rubra Hook.f. & Thomson var. rubra)으로 보았던 것이나 숙은노루오줌으로 정정한다 노루오줌과 숙은노루오줌을 구별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다(야생화클럽-야생화교실/조성식에서 인용) 노루오줌 - 산지의 습지나 냇가에 분포, 붉은색, 꽃의 끝이 꼿꼿하다. 숙은노루..

범의귀과 200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