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304

큰기름새(2)

큰기름새(2)https://daehyo49.tistory.com/7816352큰기름새(1)https://daehyo49.tistory.com/7808723나도솔새족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3387  학명 : Spodiopogon sibiricus Trin.분류 : 벼과 (Poaceae)/기장아과(Panicoideae)/ 나도솔새족(Andropogoneae)/ 기름새속(Spodiopogon) 일어명 : オオアブラススキ(大油薄대유박)중국어명 : 大油芒 참조 사이트https://mikawanoyasou.org/data/ooaburasusuki.htm  사진 : 2024.07.31 여주 황학산수목원  아래는 엽연의 관찰   아래 : 2024.11.04 영종도 백운산  아..

벼과 2024.10.18

갯조풀

갯조풀https://daehyo49.tistory.com/7816317갯조풀(갯조풀과 산조풀 비교)(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439 * 벼과.사초과 생태도감에서는 갯조풀은 북부지방에 생육한다고 되어 있다  학명 : Calamagrostis pseudophragmites (Haller f.) Koeler분류 : 벼과(Poaceae) /포아풀아과(Pooideae) / 귀리족(Aveneae)/ 산새풀속(Calamagrostis) 사진 : 2024.07.23 세종식물원 갯조풀로 소개되어 있다. 관찰 시기가 늦어 정확한 형태를 볼 수 없었다  갯조풀은 산조풀에 비해 화서 가지가 길고 제1포영이 제2포영보다 길다      국생지 분포한국해외분포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

벼과 2024.09.24

가지돌피

상위 분류군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294피속 Echinochloa 종 비교표와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247 학명: Echinochloa crusgalli var. mitis (Pursh) Petermann분류 : 벼과 (Poaceae)/ 기장아과(Panicoideae) /기장족(Paniceae)/ 돌피속(Echinochloa)   사진 : 2024.08.16. 파주 군내 읍내리      돌피를 아래와 같이 하위 분류한다 1. Racemes with some secondary branching    2.  Racemes soft; awn of lower lemma 5–15(–30) mm.         ..........

벼과 2024.08.21

모새달(2)

모새달(2)https://daehyo49.tistory.com/7816281모새달(1)https://daehyo49.tistory.com/7809701나도솔새족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3387 학명 :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분류 : 벼과 (Poaceae) /기징아과(Panicoideae)/나도솔새족(Andropogoneae)/모새달속(Phacelurus)           사진  : 2024.07.15 무의도        잎이 가늘어보여 가는잎모새달인지도 모르겠가           총은 5-10개가 장상으로 배열   총축(사진에서 녹색으로 보이는 부분)의 마디마다 유병소수와 무병소수가 함께 달린다     유병소수(왼쪽 2개..

벼과 2024.08.20

그령(2)

그령(2)https://daehyo49.tistory.com/7816277그령(1)(그령속 Eragrostis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293그령족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630    학명: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분류: Paceae/ Chloridoideae/ Eragrostideae/Eragrostis우리말 이명: 암크령 학명 풀이:Eragrostis: Love grassferruginea: Rust-colored  사진 : 2024.07.14  창동    엽초 구부에 털이 조밀하고 엽설은 털로 되어 있다     아래 : 2024.07.30 도봉구      국생지 분포..

벼과 2024.08.15

갈대(1)

갈대(1)https://daehyo49.tistory.com/7816245달뿌리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5286달뿌리풀(1)https://daehyo49.tistory.com/7809695갈대와 달뿌리풀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9848  학명: Phragmites communis Trin./ Phragmites australis (Cav.) Trin. ex Steud.에서는 왼쪽 학명을 쓰고 있지만 오른쪽 학명이 정명이다* http://apps.kew.org/wcsp/qsearch.do 참조분류: Poaceae/ Arundinoideae/Arndineae/Phragmites 학명 풀이:Phragmites: Screen, temp..

벼과 2024.07.28

겨풀(2)

겨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241겨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2798겨풀(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627좀겨풀(1)(겨풀속 Leersi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640 학명 : Leersia sayanuka Ohwi분류 : 벼과 (Poaceae)/대나무아과(Bambusoideae)/벼족(Oryzeae)/겨풀속(Leersia)  사진 : 2024.06.13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4.07.31 여주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4.09.01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한국(전국)해외분포일본, 중국 등 온대지역생육환경논 주변 또는 ..

벼과 2024.07.26

용수염과 광릉용수염 구별(비공개)

용수염속은 속명이 Diarrhena이지만  Neomolinia으로 쓰는 곳도 있다  용수염과 광릉용수염의 구별(FOC) 1. 내영 용골은 매끈하다; 꽃밥은 0.7–1.2 mm;     화서는 개방형;     화서지는 개출(spreading)   ,,,,,,,,,,,,,,,,,,,,,,,,     D. japonica 용수염1. 내영 용골에 잔털이 있다: 꽃밥은 1.5–2 mm;     화서는 처음에는 선형이다가 개방형으로 발전;     화서지는 직립 또는 경사(erect to ascending)   ............................ D. fauriei 광릉용수염    기타 차이(일본 야후)용수염: 엽초에 긴 털이 두드러진다.광릉용수염: 엽초에는 털이 눈에 띄지 않는다  https://b..

벼과 2024.06.30

들묵새(1)

들묵새(1)https://daehyo49.tistory.com/7816175Vulpia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3358김의털속 Festuca 종 검색표와 상위 분류군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501 학명: Vulpia myuros (L.) C.C. Gmel./ Festuca myuros L.오른쪽은 옛 학명이다.  분류: Poacea/ Pooideae/Poeae/ Vulpia (또는  Festuca)학명 풀이Vulpia : 1) Named for J.S. Vulpius, 17th century German pharmacist and botanist in Baden2) From vulpes, the Latin name for ..

벼과 2024.06.11

좀참새귀리(1)

좀참새귀리(1)https://daehyo49.tistory.com/7816129좀참새귀리(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197참새귀리속Bromus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824상위 분류군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406   학명: Bromus inermis Leyss.분류: 벼과(Poaceae)/Pooideae/Bromeae/Bromus학명 풀이inermis: unarmed, 여기서는 '까락이 없는' 중국어명 : 无芒雀麦일어명 : コスズメノチャヒキ 사진 참조 사이트들https://en.wikipedia.org/wiki/Bromus_inermishttp://www.illinoiswildf..

벼과 202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