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 465

제주왁살고사리(2)(쇠고리속 종 검색표/쇠고사리속 종간 비교)

제주왁살고사리(2) (쇠고리속 종 검색표/쇠고사리속 종간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473제주왁살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11290왁살고사리(4)https://daehyo49.tistory.com/7816425왁살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6222왁살고사리(2) (관중과 속 검색표/쇠고사리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598왁살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8858 학명 : Arachniodes miqueliana (Maxim.) Ohwi.분류: 관중과(Dryopteridaceae)일어명 : ナンゴクナラ..

양치식물 2017.06.21

돌잔고사리 (돌잔고사리속 종 검색표)

학명 : Microlepia marginata (Panz.) C. Chr. var. marginata   분류 : 잔고사리과일어명 : フモトシダ  麓羊歯중국어명 : 边缘鳞盖蕨 사진: 2017. 06.17 부산                   아래는 퍼온 돌잔고사리의 포막 사진    출처: http://plants.minibird.jp/kansai/kansai50/kansai_ha/con_hu/humotoSida/humotoSida.html   성상: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한다,키:  40-110cm이다뿌리줄기: 길게 기고, 지름 4-6mm 이며, 다소 접근해 잎이 붙고. 다세포로 된 옅은 황색 또는 갈색의 길이 0.7-1.5mm인 털이 밀생한다잎자루: 볏짚색으로 길이 15-35cm 이며, 광택이 나고..

양치식물 2017.06.20

구실사리(Selaginella) 종류 잎 세밀화 비교

구실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4183구실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7648구실사리(Selaginella) 종류 잎 세밀화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461  구실사리 종류 잎 비교  세밀화 출처: FOC 그림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다 영양엽 복엽영양엽 배엽선비늘이끼 S. nipponica  광난형 첨두(침상) 거의 전체 톱니난상 피침형 예두 거의 전체 톱니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포자엽은 동형왜구실사리 S. helvetica(세밀화 )본종 의FOC세밀화는 신뢰하기 어려워 싣지 않음  난상 타원형 둔두 (또는 약간 예두)로 종종 뒤로 젖혀진다거의 전체에 톱니협난형 예두 거의 전체에 톱니포자낭..

양치식물 2017.06.12

장수고사리(낭상인편이 없는 1회우상<하부 2회우상 포함>인 관중 유형 Dryopteris 들 비교/ 검색표)

관중(1) https://daehyo49.tistory.com/7808874 관중(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97 장수고사리 낭상인편이 없는 1회우상인 관중 유형 Dryopteris 들 비교/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453 왕지네고사리 (관중/산비늘고사리/왕지네고사리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8857 1회우상(엽신 하부2회 우상 포함)으로 낭상인편이 없는 종들; 장수고사리, 왕지네고사리, 관중(북관중), 비늘고사리, 곰비늘고사리와 톱지네고사리 이름이 붙은 종들 학명 : Dryopteris woodsiisora Hayata 분류 : 관중과(Dryopteridaceae) 중국어명: 细叶鳞..

양치식물 2017.06.05

일엽초(1)(일엽초속 종 구별)

산일엽초(1)(일엽초/애기일엽초/산일엽초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5500 애기일엽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0434 일엽초(1)(일엽초속 종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1259 고사리사랑방에 문의하였더니 fernman님이 일엽초라하셨다. 학명: 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분류: 고란초과(Polypodiaceae) 사진: 160504 서귀포 참조 산일엽초 http://blog.daum.net/daehyo/7808063 애기일엽초 http://blog.daum.net/daehyo/7810434 아래: 2017.07.22 제주 *** 아래: 2018..

양치식물 2017.02.25

돌담고사리(1)(돌담고사리 근연종 검색표)

돌담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6499돌담고사리(1)(돌담고사리 근연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258  학명: Asplenium sarelii Hook. 분류: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일어명 : コバノヒノキシダ(小葉の檜羊歯) 중국어명 : 华中铁角蕨 참조 사이트 https://mikawanoyasou.org/sida/kobanohinokisida.htmhttp://plants.minibird.jp/kansai/kansai50/kansai_ka/con_ko/kobanoHinokiSida/kobanoHinokiSida.html 사진: 160504   서귀포      아래: 2020.08.22 제주도 절물 휴양림 ..

양치식물 2017.02.25

돌토끼고사리(2)

돌토끼고사리(4)https://daehyo49.tistory.com/7816349돌토끼고사리(3)https://daehyo49.tistory.com/7814436돌토끼고사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1229돌토끼고사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9192검색표 돌잔고사리https://daehyo49.tistory.com/7811472 학명: Microlepia strigosa (Thunb.) C.Presl 분류: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학명 풀이: Microlepia: 작은 인편 strigosa: 강모(strigose)  일어명: イシカグマ  사진: 2016.05.04 서귀포 천제연폭포   아래 식물은 새깃님이 동정하..

양치식물 2017.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