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 465

우단일엽(1)

우단일엽(2) https://daehyo49.tistory.com/7813992 우단일엽(1) https://daehyo49.tistory.com/7808360 큰우단일엽(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35 석위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726 [석위(1)] 학명: Pyrrosia linearifolia (Hook.) Ching 분류: 고란초과(Polypodiaceae) 학명 풀이: Pyrrosia: 그리스어 pyrros (flame-colored), referring to the reddish-yellow fronds linearifolia: 잎이 선형인 동속식물: - 등재- 석위 Pyrrosia lingua (Thunb.)..

양치식물 2011.01.25

청나래고사리(1)

청나래고사리(3) https://daehyo49.tistory.com/7815215 청나래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09356 청나래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343 야산고비(1) (야산고비과 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675 학명: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분류: 야산고비과(Onocleaceae) 학명 풀이: Matteuccia :Named for C Matteucci, 19th century Italian physicist struthiopteris : Ostrich (타조) wing 중국어명: 荚果蕨 일어명: クサソテツ(草蘇鉄) 아..

양치식물 2010.09.17

가는잎족제비고사리(1)

가는잎족제비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5217 가는잎족제비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241 관중과 속 검색표/낭상 인편이 없는 2회 이상 우상인 Dryopteris 종들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11495 학명: Dryopteris chinensis (Baker) Koidz. 분류: 관중과 학명풀이: Dryopteris: 그리스어 drys → ‘떡갈나무(oak)’; pteris → ‘양치류(fern)’ 이 식물의 생육지와 관련되어 지어진 이름 일어명: ミサキカグマ 중국어명: 中华鳞毛蕨 참조 사이트 http://sigesplants.chicappa.jp/Dryopteris_chinens..

양치식물 2010.07.30

다람쥐꼬리(1)

좀다람쥐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2437 다람쥐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50 왕다람쥐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2292 뱀톱(2) https://daehyo49.tistory.com/7811534 뱀톱(1)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146 학명: Lycopodium chinense H.Christ 분류: 석송과(Lycopodiaceae) 강원도 XX 산에서 한국양치식물도감 잎 잎은 침상 피침형이고 밑에서부터 점차 좁아져서 끝이 뾰족해지며 중륵은 그리 뚜렷하지 않고 길이 3-7mm, 폭 0.5-0.7mm로서 윗부분에서는 옆으로 퍼지거..

양치식물 2010.05.01

뱀톱(1)(검색표)

좀다람쥐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2437 다람쥐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50 왕다람쥐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2292 뱀톱(2) https://daehyo49.tistory.com/7811534 뱀톱(1)(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146 학명: Huperzia serrata (Thunb.) Trevis. 분류: 석송과(Lycopodiaceae) 학명 풀이: Lycopodium serratum 강원도 XX산에서 이미 4월 중순에 접어들었는데도 올해는 이상 저온으로 이곳은 아직도 빙하시대다. 얼고 녹기를 를 반복한 눈이 5-7 cm 정..

양치식물 2010.04.29

거미고사리(1)

거미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44 거미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08461 거미고사리(3) https://daehyo49.tistory.com/7814977 학명: Asplenium ruprechtii Sa.Kurata 이명: 거미일엽초 분류: 꼬리고사리과(Aspleniaceae) 학명 풀이: Asplenium : Without spleen, referring to medicinal properties ruprechtii: 19세기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러시아 식물학자 Franz Joseph Ruprecht의 이름에서 아래는 남한산성에서 설명: 잎 잎은 총생한다. 엽병은 길이 1~10cm이고 연한 갈색이며 하부에 자..

양치식물 2010.04.29

바위손(1)

바위손(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33 바위손(2) https://daehyo49.tistory.com/7814460 *학명: Selaginella tamariscina (P. Beauv.) Spring 분류: 부처손과(Selaginellaceae) 사진 : 홍릉수목원 아래 학명은 잘못된 것이다. * 바위손, 부처손의 학명은 힌국양치식물도감과 우리나라의 여러 도감과 에 나오는 학명이 아래와 같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학명 국명 한국양치식물도감 국생정/원색한국식물/대한식물/원색한국기준식물 /한국의 야생식물 Selaginella involvens 부처손 바위손 Selaginella tamariscina 바위손 부처손 한국양치식물도감 설명: 뿌리: 많은 수염뿌리가 얽..

양치식물 2010.01.07

고사리삼(1)(고사리삼과 단풍고사리삼 비교)

고사리삼(2)https://daehyo49.tistory.com/7815504고사리삼(1)https://daehyo49.tistory.com/7807824고사리삼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564 [긴꽃고사리삼(1)]  학명: Botrychium ternatum (Thunb.) Sw. 이전 학명: 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분류: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아래: 2020.09.18 용평 스카이밸리   동속식물(모두 Botrychium속으로 재분류)  고사리삼 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단풍고사리삼 Sceptridium nipponicum (Makino)..

양치식물 2010.01.06

꿩고비(1)(꿩고비와 음양고비 비교)

꿩고비(2) (꿩고비와 개면마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5452꿩고비(1)(꿩고비와 음양고비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7746 학명:  Osmundastrum  cinnamomeum ( L.) C. Presl.         * 한국의 양치식물에는 cinnaemomeum으로 되어 있는데 오자이다   분류: 고비과(Osmundaceae)   사진 : 광릉수목원                        아래는 천마산에서             아래는 2012.05.15 광릉수목원에서             아래: 2017.06.25 석병산           아래: 2014.07.11 광릉수목원                     아래 :..

양치식물 2009.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