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과 291

사슨딸기

윤연순님의 의견에 따라 가시복분자 창에 있던 것을 사슨딸기로 독립시켰다. 윤선생님께 감사드린다. 학명 : (국생정) Rubus parvifolius var. taquetii T.B.Lee (The Plant List, 국립생물자원관) Rubus parvifolius var. taquetii (H. Lév.) Lauener &D.K. Ferguson 원기재명 : Rubus taquetii H. Lév. 분류 : 장미과(Rosaceae) 국명 이명: 사슴딸기 사진: 2016.05.03 제주 베릿내공원 아래: 2016.05.04 석귀포 새섬 아래 것도 사슨딸기가 아닐까? 자신은 없다 설명 잎 잎은 호생하고 3출우상복엽이지만 맹아(萌芽)에 있어서는 5개씩 달린 것도 있으며, 소엽은 길이 2cm로서 광란형 또는 ..

장미과 2017.02.03

솜양지꽃(1)

솜양지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4999솜양지꽃(1)https://daehyo49.tistory.com/7811202양지꽃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178잎 뒷면이 흰 양지꽃 종류들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174  학명 : Potentilla discolor Bunge분류 : 장미과(Rosaceae)일어명 : ツチグリ중국어명 : 翻白草  사진: 2016.05.03 제주 베릿네공원            아래: 2016.05.06 제주 높은오름                 화서는 산방화서이다      아래: 2019.01.18 제주도 도두봉      아래: 2021.08.26 전주수목원근생엽..

장미과 2017.01.31

가시복분자딸기

학명 : Rubus schizostylus H.Lev. * http://www.theplantlist.org/tpl1.1/record/rjp-2533에 따르면 위 학명은 아래 학명의 이명으로 되어 있다. Rubus parvifolius var. taquetii (H. Lév.) Lauener & D.K. Ferguson(사슨딸기) * 사슨딸기는 국생정에는 학명이 Rubus parvifolius var. taquetii T.B.Lee로 되어 있다 분류 : Rosaceae(장미과) 일어명 : トゲツルイチゴ 사진: 2016.05.03 제주 베릿내공원 아래: 2016.05.04 서귀포 설명 잎 잎은 호생하며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3-5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고 깊은 복거치가 있으며 길이 1-3cm로서 표면은..

장미과 2017.01.27

물싸리풀

학명 : (국생정) Potentilla bifurca var. glabrata Lehm. / (FOC) Potentilla bifurca var. major Ledebour 분류 : 장미과(Rosaceae) 학명 풀이 : Potentilla ; potens(강력한)의 축소형 → 강한 약성을 가리킴 bifurca : forked into two glabrata : 좀 매끄러운 major : 큰 중국어명 : 长叶二裂委陵菜 일어명 : クサキンロウバイ 사진: 2016.07.31 만주 돈화 참조 물싸리 Potentilla fruticosa var. rigida (Wall.) Th.Wolf http://blog.daum.net/daehyo/7807456 물싸리풀 http://blog.daum.net/daehyo/7..

장미과 2017.01.15

당마가목(1)(마가목속 Sorbus 종 검색표와 비교표)

마가목 겨울눈(2) https://daehyo49.tistory.com/7811807 마가목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04 마가목(2) https://daehyo49.tistory.com/7810526 마가목(1) https://daehyo49.tistory.com/7807408 당마가목(1)(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130 학명 ; (국생정) Sorbus amurensis Koehne /(FOC) Sorbus pohuashanensis (Hance) Hedlund, Kongl 분류 ; 장미과 (Rosaceae) 중국어명 : 花楸树 일어명 : トウナナカマド 사진: 2016.07.30 만주 황송포 아래: 2018.0..

장미과 2017.01.03

검은낭아초

제주양지꽃(양지꽃속Potentill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178 학명: (국생정) Potentilla palustris (L.) Scop. / (FOC)Comarum palustre Linnaeus 중국어명: 沼委陵菜 일어명: クロバナロウゲ 사진: 2016..07.30 백두산 근처 퍼온 사진 사진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omarum_palustre,_Japan_1.JPG 퍼온 세밀화 세밀화 출처: http://www.efloras.org/object_page.aspx?object_id=49096&flora_id=2 설명 잎 잎은 호생하고 3-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 1회우상복엽이며 밑부분의 엽..

장미과 2016.12.08

산짚신나물

학명 : Agrimonia coreana Nakai 분류 : 장미과 (Rosaceae) 사진: 2016.07.29 만주 열매 간격이 띄엄띄엄 떨어져 있어 짚신나물보다는 산짚신나물로 보고 싶다 아래 : 2023.07.16 가평 삭룡산 꽃은 띄엄띄엄 달린다 산짚신나물은 탁엽이 반원형이고 톱니가 어느 정도 규칙적이다. 짚신나물은 톱니가 새의 날갸 모양이고 탁엽 톱니는 불규칙적으로 맨위의 톱니가 가장 길다 극생지 분포 러시아, 일본, 중국 등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생육환경 낮은 지대의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m에 달한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큰 것과 작은 것이 있어 불규칙하며 큰 것은 타원형 예두이고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탁엽은 큰..

장미과 2016.11.22

큰터리풀(2)(추정)

큰터리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1034 큰터리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936 지리터리풀 https://daehyo49.tistory.com/7810935 붉은터리풀 https://daehyo49.tistory.com/7810852 단풍터리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0846 단풍터리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07406 터리풀(3) https://daehyo49.tistory.com/7815222 터리풀(2)(터리풀 종류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884 터리풀(1) https://daehyo49.tistor..

장미과 2016.11.18

지리터리풀

큰터리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1034 큰터리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936 지리터리풀 https://daehyo49.tistory.com/7810935 붉은터리풀 https://daehyo49.tistory.com/7810852 단풍터리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0846 단풍터리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07406 터리풀(3) https://daehyo49.tistory.com/7815222 터리풀(2)(터리풀 종류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884 터리풀(1) https://daehyo49.tistor..

장미과 2016.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