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과 311

매실나무(홍매)

산옥매 '알바플레나'(구명 : 옥매) https://daehyo49.tistory.com/7816026 매실나무(홍매) https://daehyo49.tistory.com/7816027 학명 :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분류 : 장미과 (Rosaceae) 산옥매의 품종인 Prunus glandulosa for. sinensis (Pers.) Koehne(이전 국명 홍매)와 혼동하지 말 것. 산옥매(Prunus glandulosa) 종류에는 산옥매,옥매, 홍매 3종류가 있다. 매실나무와 이들 3종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산옥매 '알바플레나'(구명 : 옥매) 참조 https://daehyo49.tistory.com/7816026 사진 : 2009.03.15 홍릉수목원 ..

장미과 2024.03.17

산옥매(구명 : 옥매)(2)

. 2. 11:13 이전의 옥매( Prunus glandulosa for. albiplena)와 홍매(Prunus glandulosa f. sinensis)는 산옥매로 통합되었다 산옥매(3)https://daehyo49.tistory.com/7816745산옥매(구명 : 옥매)(2)https://daehyo49.tistory.com/7816026산옥매(구명 : 옥매)(1)https://daehyo49.tistory.com/7815040이스라지와 산옥매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515매실나무(홍매)https://daehyo49.tistory.com/7816027 참조 사이트풀또기/산옥매/산이스라지/이스라지/칼슘나무/앵도(왜성벚나무속) 구분https://tnknam...

장미과 2024.03.17

열녀목(자두나무에 통합)

* 홍릉수목원과 한택식물원에는 수형이 긴 원주형으로 곧게 벋은 열녀목이라는 나무가 있다. 학명을 찾아보니 아래와 같다, 자두나무 학명 : Prunus salicina Lindl. 열녀목 구학명 : Prunus salicina Lindl. var. columnaris (Uyeki) Uyeki * 열녀목은 현재 자두나무에 통합되어 있다 분류 : 장미과(Rosaceae) 낙은재님 블로그 https://tnknam.tistory.com/2218를 보면 낙은재님은 열녀목이 우리나라 자생 고유종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사진: 2024.02.07 한택식물원

장미과 2024.02.19

유럽당마가목(서양마가목)(2)

유럽당마가목(서양마가목)(2)https://daehyo49.tistory.com/7815904유럽당마가목(서양마가목)(1)https://daehyo49.tistory.com/7807717  학명 : Sorbus aucuparia L.분류 : 장미과(Rosaceae)  사진 : 2024.01.27 홍릉수목원      아래 : 2024.04.28 홍릉수목원             FNA  Sorbus aucuparia Linnaeus, Sp. Pl. 1: 477. 1753.Rowan, European mountain ash, sorbier des oiseleurs, sorbier des oiseaux Pyrus aucuparia (Linnaeus) Gaertner; Sorbus subvestita Greene..

장미과 2024.02.11

매실나무(2)

매실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795 매실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77 학명: Prunus mume Siebold & Zucc. for. mume 분류: 장미과(Rosaceae) 아래 : 2022.03.18 푸른수목원 아래 : 2020.03.30 창동 아래 : 2024.01.07 안산식물원 아래 : 2023.03.09 수피아식물원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인데 원저이며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잎은 길이 4~10㎝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 맥액에 갈색털이 있다. 엽신 기부 또는 엽병 상부에 선점이 있다. 탁엽은 길이 5-9㎜이다. 열매 지름 2-3㎝의 핵과로 겉은 짧은 털로 덮..

장미과 2024.01.12

설악조팝나무(설악아구장나무)(1)

학명 : Spiraea pubescens var. lasiocarpa Nakai 분류 : 잠미과(Rosaceae) * 이 종은 국생지, 국표식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고 국립생물자원관에는 종명이 등재되어 있는데 종에 대한 기재는 실려 있지 않다. 당조팝나무 Spiraea chinensis Maxim.와 아구장나무 Spiraea pubescens Turcz.의 유사분류군이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국명을 설악조팝나무라 하였지만 학명을 보면 국명을 설악아구장나무로 했어야 마땅하다 FOC에서는 아구장나무와 설악아구장나무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1. Follicles puberulous only on adaxial suture 열매(골돌) 봉합선에만 털이 있다. ............. S. pubescens ..

장미과 2023.12.17

산조팝나무(2)

산조팝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762산조팝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8222산조팝나무 겨울눈(2)https://daehyo49.tistory.com/7815926산조팝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9010조팝나무속 Spirae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413  학명 :Spiraea blumei G.Don분류 : 장미과 (Rosaceae)  사진: 2023.11.25 인천수목원    . 아래 : 2024.04.20 서천국립생태원     아래 : 2024.04.30 평강식물원        아래 : 2024.06.06 광릉수목원  표지판에 당..

장미과 2023.12.16

좀쉬땅나무(2)

좀쉬땅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93 좀쉬땅나무(1)(쉬땅나무와 좀쉬땅나무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0228 (개)쉬땅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5638 학명 : 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owicz, 분류 : 장미과(Rosaceae) 중국어명 : 华北珍珠梅 아래 : 2023.10.24 남산 탁엽이 피침형이다. 아래 : 231109 남산 채집 집에서 1111찍음 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owicz,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6: 225. 1879..

장미과 2023.11.20

국수나무(3)

국수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5670국수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08212국수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07765나도국수나무(4)https://daehyo49.tistory.com/7814070 학명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분류 : 장미과 (Rosaceae) 사진 : 2023.11.03 파주 군내 정자리 아래 : 2023.11.19 광릉수목원 종자 크기 1.6∼2.1 × 1.4∼1.8 mm이고, 갈색 아래 : 2024.04.12 파주 군내 백연리 국수나무로 추정하였다 아래 : 2025.05.23 고대산 국생지..

장미과 2023.11.08

(개)쉬땅나무(1)

좀쉬땅나무(2)https://daehyo49.tistory.com/7815693좀쉬땅나무(1)(쉬땅나무와 좀쉬땅나무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10228(개)쉬땅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5638(개)쉬땅나무 겨울눈(2)https://daehyo49.tistory.com/7815775(개)쉬땅나무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09102     학명 :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 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한국의나무에서는 오른쪽 학명을 쓰고 있으나 국생지와 한국속식물지에서는 Sorbaria sorbifolia ..

장미과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