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꽃과 85

큰졸방제비꽃(2)(추정)

큰졸방제비꽃(3) https://daehyo49.tistory.com/7815730 큰졸방제비꽃(2)(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10758 큰졸방제비꽃(1)(졸방제비꽃 종류들 검색표/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010 학명: Viola kusanoana Makino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일어명: オオタチツボスミレ 사진: 2015.08.23. 울릉도 줄기와 탁엽을 확인하지 못해 단정할 수 없으나 큰졸방제비꽃으로 짐작한다. 국생지 분포 일본 / 경상북도 울릉도 생육환경 숲속과 습지에서 자란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20-40cm 잎 근생엽은 원심형 또는 편심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이 각 3..

제비꽃과 2015.10.01

흰민둥뫼제비꽃(2)

태백제비꽃(3)https://daehyo49.tistory.com/7810330태백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09342태백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499흰민둥뫼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0393흰민둥뫼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9328 흰민둥뫼제비꽃으로 동정한다. 학명: Viola tokbuchiana var. takedana for. albiflora Hayashi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사진: 2014.04.27 태백산 아래: 2018.04.27 가평 아래는 2012.05.13 경기..

제비꽃과 2014.05.28

영월제비꽃

함께 같던 분이 이 곳에서 발견된 이 종이 영월제비꽃으로 불린다고 알려주었다. 꽃이 이미 진 상태라 알록제비꽃과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 종이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고 하는데 학명도, 그 실체도 분명하지 않는 것 같다. 과 , 그리고 유기억교수의 책에는 이 제비꽃이 나오지 않는다. 인터넷에 나오는 설명들은 출처가 불분명하다. 학명: Viola sieboldii Maxim. forma variegata (Nagas. ex F.Maek.) F.Maek. et T.Hashim. * 인터넷에는 학명이 Viola sieboldii Maxim.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일본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Viola sieboldii Maxim.은 잎에 흰줄무늬가 없다.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일어명: フイリフモ..

제비꽃과 2014.05.09

긴잎제비꽃

학명: Viola ovato-oblonga (Miq.) Makino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학명 풀이: 제비꽃속(violet) 일어명: ナガバタチツボスミレ 사진: 2014.03.22 플로라조사지역 아래 사진: 2014.04.19 플로라조사지역 아래: 2018.04.05 제주도 거문오름 긴잎제비꽃은 근생엽과 경생엽의 형태가 다르다는 점 외에도 엽맥과 잎 뒷면이 자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 색깔은 폐쇄화 시기가 되면 점점 더 옅어진다고 한다(유기억 한반도제비꽃) 설명 잎 근생엽은 심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길이 2-2.5cm, 폭 2-3cm로서 파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잎보다 1.5-4배 길며 탁엽은 우상으로 잘게 갈라진다. 경생엽은 밑부분의 것은 난상 좁은 삼각형 또는 난상 심장..

제비꽃과 2014.04.17

호제비꽃(3)

호제비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8498 호제비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09326 호제비꽃(3) https://daehyo49.tistory.com/7810337 학명: Viola yedoensis Makino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학명 풀이: yedoensis : Of or from Tokyo 사짖: 2014.04.12 부안 아래: 2019.04.05 창동 아래: 2021.03.27 창동 아래 : 2022.04.06 양평 오빈 아래 : 2023.04.02 홍릉수목원 . 아래 : 2023.04.14 중랑천 아래 : 2023.05.02 인천가족공원 아래 : 2024.04.05 파주 진동 용산리 설명: 잎 잎은 삼각..

제비꽃과 2014.04.16

가평제비꽃(2) (창덕제비꽃 유사종 비교)

아래 종들은 기재문도 확실하지 않고 또 실제로 어떻게 구별하는지 연구도 제대로 안 이루어진 것 같다. 사진: 2014.04.11 중원산 우산제비꽃 창덕제비꽃 화엄제비꽃 완산제비꽃 제주제비꽃 가평제비꽃 V. woosanensis V. palatina V. ibukiana V. wansanensis V. chejuensis 미기록종 남산제비꽃× 뫼제비꽃 남산제비꽃× 왜제비꽃 남산제비꽃× 자주잎제비꽃 남산제비꽃× 제비꽃 남산제비꽃× 털제비꽃 잎 양 면에 털. 윗면은 짙은 녹색, 아랫면은 자줏빛 가장 아래쪽 꽃잎에 검은색에 가까운 자색 줄 잎은 두꺼운 에나멜질으로 광택이 있다. 앞면에 흰색 무늬 측판에 털 측판에 털 없다 - 측판에 털 측판에 털 측판에 털 꽃은 자주색 잎 뒷면과 줄기가 자주색 꽃은 자주색에 흰..

제비꽃과 2014.04.14

태백제비꽃(3)

태백제비꽃(3)https://daehyo49.tistory.com/7810330태백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09342태백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499흰민둥뫼제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0393흰민둥뫼제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9328 학명: Viola albida Palib.분류: 제비꽃과(Violaceae)학명 풀이:albida: 약간 흰 사진: 2014.04.11 중원산 아래 사진: 2014.04.24 강원도 ***산 아래 : 2014.04.27 태백산 아래 : 2021.10.18 ..

제비꽃과 2014.04.14

단풍제비꽃

학명: Viola albida f. takahashii (Makino) W.T.Lee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사진: 2014.04.11 중원산 설명 잎 잎은 밑동에 밀생하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 깊게 장상으로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길이 16.5cm, 폭 4.5cm로서 크게 3개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으로 흘러서 긴 대로 되고 2개로 갈라진 측열편 밖에서부터 길이 7cm, 폭 3cm인 것, 길이 11.5cm, 폭 3.5cm인것 등이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길이 10-16mm이다. 꽃 꽃은 4월에 피며 흰색이고 향기가 나며 잎 사이에서 길게 난 화경 끝에 달리며 중앙 밑부분에 실같은 포가 2개 있으며 포는 길이 1c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7m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제비꽃과 2014.04.14

우산제비꽃

학명 : Viola woosanensis Y.N.Lee & J.G.Kim 분류 : 제비꽃과 (Violaceae) 시진: 2013.05.18 울릉도 국생지 분포 울릉도에서 발견했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산지 숲속 잎 턱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샘털이 있으며 길이 1-1.3㎝이다. 잎은 삼각상 달걀모양, 불규칙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 양 면에 털이 있다. 윗면은 짙은 녹색, 아랫면은 자줏빛을 띠며, 길이 3.6-6.4㎝, 폭 2.5-4.5㎝이다. 잎자루는 길이 2.5-2.8㎝이다. 꽃 꽃은 보라색이고 길이 2-2.2㎝, 꽃대는 갈색을 띤 녹색이며 길이 3-7.5㎝이다. 턱잎은 길이 1.5㎝, 폭 2-2.5㎜이다. 꽃받침은 피침형, 기부쪽은 치아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

제비꽃과 201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