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 105

밭뚝외풀(1)

외풀 종류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8001 학명: Lindernia procumbens (Krock.) Borbas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학명 풀이: Lindernia : 18세기 독일의 식물학자 Franz Balthasar von Lindern procumbens : Lying along the ground 중국어명 : 陌上菜 일어명 : アゼナ(畦菜) 참조 사이트 matsue-hana.com/hana/azena.html 사진: 2019.08.23 용산 한강 삭과는 길이 3.5-5mm 종자 길이는 약 0.3mm라 한다(일본 야후) 아래: 2020.10.13 강화도 덕산 아래: 2020.08. 22 제주도 흐린내생태공원 아래 :2021.07.26..

현삼과 2017.10.01

등에풀(2)

학명 : Dopatrium junceum (Roxb.) Ham. ex Benth.분류 : 현삼과(Scrophulariaceae) /(일본 야후) Plantaginaceae 학명 풀이: Dopatrium: ? junceum: rush-like일어명 : アブノメ(虻の目)중국어명 : 虻眼  사진: 2017.09.28 연천           잎은 자루가 없고 대생하며 길이 1-2cm, 폭 3-5mm의 좁은 장타원형 내지 좁은 피침형으로 전연이다  엽액에 담자색의 꽃이 달린다. 열매 자루가 있는 것은 개방화이다      상순은 2열하고 하순은 3열한다. 상순에 수술 2개가 붙고 하순에 헛수술 2개가 붙는다고 하나 위의 사진으로는 확인 안된다    개방화와 그 열매는 긴 자루가 있다       잎은 줄기 상부에서..

현삼과 2017.09.30

새며느리밥풀(3) (추정)

새며느리밥풀(4) https://daehyo49.tistory.com/7814080 새며느리밥풀(3) https://daehyo49.tistory.com/7811599 새며느리밥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09692 새며느리밥풀(1) (비교표/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413 학명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Tuyama) T.Yamaz. 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사진: 2017.08.27 구룡령 동속의 다른 종들: 꽃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Maxim. 흰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for. albiflorum Nakai ex T...

현삼과 2017.08.30

논뚝외풀(1)

논뚝외풀(1)https://daehyo49.tistory.com/7811511 외풀 종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8001 학명 : (국생지. FOC) Lindernia micrantha D.Don/(일) Vandellia micrantha (D.Don) Eb.Fisch., Schaferh. et Kai Mull.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APG Ⅳ) 밭뚝외풀과 (Linderniaceae)일어명 : アゼトウガラシ(畔唐辛子)* 일본에서는 Vandellia micrantha (D.Don) Eb.Fisch., Schaferh. et Kai Mull.로 학명을 쓰고 있다(2013년에  본 종은 Lindernia 에서 Vandellia로 속이 바뀌었다..

현삼과 2017.07.12

긴산꼬리풀(2)

긴산꼬리풀(추정)(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33 긴산꼬리풀(추정)(1) https://daehyo49.tistory.com/7813145 긴산꼬리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1149 긴산꼬리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08046 긴산꼬리풀(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0915 큰산꼬리풀(1)(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11146 [Pseudolysimachion 종 검색표와 비교표] 학명: Veronica longifolia L. / Pseudolysimachion longifolium (Linnaeus) Opiz 분류..

현삼과 2017.01.14

큰산꼬리풀(1)(추정) (꼬리풀속 Pseudolysimachion 종 검색표와 비교표)

큰산꼬리풀(3) https://daehyo49.tistory.com/7815489 큰산꼬리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3917 큰산꼬리풀(1)(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11146 [Pseudolysimachion 종 검색표와 비교표] 학명: Veronica kiusiana var. glabrifolia (Kitag.) Kitag.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사진: 2016.07.31 만주 돈화 사진 상태가 좋지 않아 정확한 동정이 어렵다. 잎의 형태가 삼각상 난형 내지 난상 피침형으로 보이고 줄기에 털이 밀생하는 것으로 보아 큰산꼬리풀로 추정한다. 큰산꼬리풀 참조 사이트 http://aodamo.info/hir..

현삼과 2017.01.12

큰구와꼬리풀(가새잎꼬리풀)(1)

학명: Pseudolysimachion pyrethrina (Nakai) T. Yamaz. 분류: 현삼과( Scrophulariaceae) 사진: 140708 안동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설명 숲 언저리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30~50cm이며 줄기에 퍼진 털이 있다. 전체에는 연한 백색 털이 밀생한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5cm, 폭 1~2cm이다. 우상으로 완전히 또는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둔하며 톱니가 약간 있거나 결각상이고 양면에 연한 털이 다소 밀생한다. 꽃은 8월에 푸른빛이 도는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8~10cm이고 꼬부라진 털이 다소 밀생한다. 작은꽃싸개는 선형이고 길이 약 2mm로서 소화경 및 꽃받침 ..

현삼과 2016.09.25

앉은좁쌀풀

깔끔좁쌀풀속 Euphrasia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0928 학명: Euphrasia maximowiczii Wettst. 분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학명 풀이: Euphrasia: From the Greek goddess Euphrosyne, one of the Three Fates, whose name means gladness or to delight 일어명:タチコゴメクサ 사진: 2016.08.11 지리산 아래: 2018.07.06 백두산 북파 1. 잎은 무모, 첨두 ....................................... 깔끔좁쌀풀 E. coreana 1. 잎은 유모, 예두-첨두 2. 털은 잎 뒷면 맥상에만 있다 (이 ..

현삼과 2016.08.17

꼬리풀 (추정)

학명 :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Pall. ex Link) Holub 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 사진: 2016.05.03 제주도 여미지식물뤈 국생지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40~70cm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길이 4~8cm, 폭 5~8mm로서 거꿀피침모양 또는 피침상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기부가 좁아지면서 엽병같이 되며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고 뒷면 맥 위에 굽은 털이 있다. 꽃 7~8월에 개화하며, 줄기 끝에 길이 10~30cm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차례에 짧고 굽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

현삼과 2016.07.22

(마주)송이풀 (송이풀속 Pediculais 종 검색표)

송이풀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870 참조 대송이풀/구름송이풀/만주송이풀/바위송이풇https://daehyo49.tistory.com/7810929 부전송이풀/이삭송이풀/칼송이풀/큰송이풀/큰산송이풀/한라송이풀https://daehyo49.tistory.com/7810931    학명 : Pedicularis resupinata L.분류 : 현삼과 (Scrophulariaceae)마주송이풀 학명: Pedicularis  resupinata L. var. oppositifolia  Miquel   학명 풀이Pedicularis: Pedicularis : From Louse, referring to the belief that animals grazing this p..

현삼과 2016.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