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우(2) (백량금 종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4441
자금우(1)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https://daehyo49.tistory.com/7809909
왕백량금 Ardisia crenata Sims
http://blog.daum.net/daehyo/7809149
산호수 Ardisia pusilla A.DC.
https://daehyo49.tistory.com/7811839
학명 : Ardisia crenata Sims
분류: 자금우과(Myrsinaceae)
학명 풀이:
Ardisia : From the Latin ardis (a point), referring to the pointed anthers
crenata : 둔거치의
시진: 2014.2.23 여수 금오도
아래: 2016.05.06 제주 비자림
아래: 2017.07.22 제주 ***
아래: 2019.01.20 제주 서귀포 상효동 약사암
아래: 2019.12.18 우리 집 베란다
아래는 백량금 열매와 종자
동속식물
백량금 Ardisia crenata Sims
왕백량금 Ardisia crenata var. taquetii (H. Lev.) T. B. Lee
자금우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산호수 Ardisia pusilla A.DC.
학명 | 한 | 중 | 일 | |
자금우과 | Ardisia crenata Sims | 백량금 百兩金 |
朱砂根 | 万両 |
Ardisia pusilla A.DC. | *산호수 珊瑚樹 |
九节龙 (한국식 한자로는 九節龍) |
蔓柑子 | |
Ardisia japonica (Thunb.) Blume |
자금우 紫金牛 |
紫金牛 | 十両 | |
Ardisia crispa (Thunberg) A. de Candolle, |
- | 百两金 | 百両 | |
홀아비꽃대과 |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
죽절초 竹節草 |
草珊瑚 | 千両 |
위의 표를 아래와 같이 보정한다(2022.12.27)
A. crenata 왕백량금
A. crispa 백량금
* 한자 珊瑚樹는 중국, 일본에서 Viburnum odoratissimum(우리나라의 '아왜나무')를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도 옛 문헌에서는 珊瑚樹가 Viburnum odoratissimum을 가리키었다. 자금우과의 Ardisia pusilla가 ‘산호수(珊瑚樹)’로 불리어진 유래는 알 수 없다.
참고 : 중국에서 부르는 百两金 Ardisia crispa의 사진
http://aquiya.skr.jp/zukan/Ardisia_crispa.html 에서 퍼옴
우리나라에서 부르는 백량금보다 잎이 좁다.
カラタチバナ マンリョウ
국생지
백량금
학명 : Ardisia crispa (Thunb.) A.DC.
분류 : 자금우과 (Myrsinaceae)
일어명 : オオマンリョウ
분포
중국, 대만,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일본; 전라남도 홍도, 경상남도 및 제주도.
형태
상록 활엽 관목.
생육환경
그늘진 상록수림 하부에 자금우 등과 혼재하며 성질이 강건하여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한 식물이다. 그러나 내한성과 내공해성이 약하므로 중부지방의 노지재배나 남부지방, 도심지에서는 재배가 어렵다. 내조성과 내음성은 강하여 바닷가의 나무밑에서도 잘 자라고 번성한다.
크기
높이 1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끝이 둔하며 좁은 예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 7 ~ 12cm × 2 ~ 4cm이고, 잎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톱니 사이의 샘털은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잎자루 길이는 5 ~ 8mm이다.
꽃
꽃은암수한꽃으로 꽃차례 가지 끝에 산형 또는 복산형으로 달리며, 꽃부리 지름은 8mm로 흰색이며, 끝이 수레바퀴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형 첨두로 검은색 점이 있고, 꽃받침은 달걀형 첨두로 수술대는 거의 없다. 6~8월
열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10mm로 붉은색이며 9월에 성숙해서 이듬해 6월까지 달려 있다.
줄기
대개 원줄기가 하나이지만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퍼진다.
뿌리
지하의 굵은 뿌리는 3~5개가 모여 덩이뿌리 상태를 이룬다.
번식방법
▶종자번식만 가능하다. 번식은 가을에 성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한 후 아토닉 2,000배 액에 4-5일간 침적하였다가 파종하면 발아가 촉진된다.
보호방안
제주도의 숲 속에 자란다. 자생지 및 개체수는 풍부하나, 수형 및 열매가 아름다워 도채로 인한 훼손이 매우 심하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유사종
▶왕백량금(var. taquetii T.Lee): 원줄기가 높이 2m 내외이고 잎의 길이가 12㎝로서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특징
빨갛게 익은 매혹적인 열매는 8-9개월간 나무에 매달려 있어 관상가치가 있고,주름진 푸른잎은 사철 아름답다.
▶문헌자료
-.이애경ㆍ서정근. 1997. Ardisia속 식물의 경삽 및 근삽시 용토, 생장조절제 및 온탕처리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Vol.38(5) pp.546-550, 1997
-.이유미ㆍ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한반도의생물다양성
백량금
Ardisia crenata Sims
진달래목 자금우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따뜻한 지역의 숲속 그늘에서 자라는 상록성 작은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1m 정도로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두껍고 길이 7~12cm, 폭 2~4cm, 짙은 초록빛으로서 윤이 난다. 잎 가장자리의 둔한 톱니 사이에는 샘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은 양성화, 6~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잎이 달린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9월에 붉은색으로 익어 다음 해 꽃이 필 때까지 달려 있다. 이 종에 비해 줄기가 높이 2m, 잎 길이가 12cm가량이고 잎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는 것을 왕백량금이라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반도 홍도, 제주도 등 남부 지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타이완, 인도 등에 분포한다.
Ardisia crispa와 Ardisia crenata 잎 비교
위쪽이 Ardisia crenata(왕백량금) 아래쪽이 Ardisia crispa(백량금)
* 왕백량금은 둔거치 간격이 벌어지고 좀 큰데 대하여 백량금은 둔거치가 매우 잘고 간격이 조밀한다는 느낌이다
검색키
1 Suffrutescent herbs or subwoody shrubs, if woody then mostly less than 1.5 tall,
with creeping rhizomes, stolons, or tubers.
................................ Ardisia crispa 백량금
1. Shrubs or trees, mostly over 1 m,
without creeping rhizomes or stolons.
................................ Ardisia crenata 왕백량금
Ardisia crispa (Thunberg) A. de Candolle, Trans. Linn. Soc. London, Bot. 17: 124. 1834.
百两金 bai liang jin
Bladhia crispa Thunberg, Fl. Jap. 97. 1784; Ardisia crispa var. amplifolia E. Walker; A. crispa var. dielsii (H. Léveillé) E. Walker; A. dielsii H. Léveillé; A. henryi Hemsley; A. henryi var. dielsii (H. Léveillé) E. Walker; A. hortorum Maximowicz ex Regel; A. hortorum var. brachysepala Handel-Mazzetti; A. multicaulis Z. Y. Zhu; A. penduliflora Mez; A. simplicicaulis Hayata; Bladhia crispa var. dielsii (H. Léveillé) Nakai; Tinus crispa (Thunberg) Kuntze; T. henryi (Hemsley) Kuntze.
Shrubs or subshrubs 0.6-1.5 m tall, with creeping rhizomes. Stems usually minutely puberulent or sparsely brown scaly when young. Petiole 5-8 mm; leaf blade elliptic-lanceolate to narrowly lanceolate, 7-25 × 1-5.8 cm, membranous or subpapery, glabrous adaxially, usually ± finely brown scaly abaxially, base cuneate, margin entire or shallowly crenulate, recurved, punctate, apex long acuminate or rarely acute; lateral veins ca. 8 on each side of midrib, marginal vein obscure. Inflorescences terminal, subumbellate, simple, on curved specialized lateral branches 5-10 cm. Flowers white or pink, 4-5 mm. Pedicel 1-1.5 cm, puberulent. Sepals oblong-ovate or lanceolate, ca. 1.5 mm, ± sparsely punctate, glabrous, apex acute or narrowly rounded. Petals ovate, 4-5 mm, punctate, glabrous outside, ± minutely puberulent inside, apex acute. Stamens subequalling petals; anthers narrowly oblong-lanceolate, with or without glands dorsally. Ovary glabrous; ovules ca. 5, uniseriate. Fruit reddish, globose, 5-6 mm in diam., punctate. Fl. Apr-Jun, fr. Oct-Jan. 2n = 24, 46.
Mixed or broad-leaved forests, damp places, bamboo woods, hillsides, valleys; 100-2500 m. Anhui, Fujian, Guangdong, Guangxi,Guizhou, Hubei, Hunan, Jiangsu, Jiangxi, Sichuan, Taiwan, Yunnan, Zhejiang [Indonesia, Japan, Korea, Vietnam]
The name Ardisia crispa was misapplied by de Candolle to A. crenata, (see Walker, J. Wash. Acad. Sci. 29: 256. 1939.).
Ardisia crenata Sims, Bot. Mag. 45: pl. 1950. 1817.
朱砂根 zhu sha gen
Ardisia bicolor E. Walker; A. crenata var. bicolor (E. Walker) C. Y. Wu & C. Chen; A. crispa (Thunberg) A. de Candolle var. taquetii H. Léveillé; A. konishii Hayata; A. kusukusensis Hayata; A. labordei H. Léveillé; A. lentiginosa Ker Gawler; A. linangensis C. M. Hu; A. miaoliensis S. Y. Lu; Bladhia crenata (Sims) H. Hara; B. crispa Thunberg var. taquetii (H. Léveillé) Nakai; B. lentiginosa (Ker Gawler) Nakai var. lanceolata Masamune.
Shrubs 1-1.5(-3) m tall, without creeping rhizomes, minutely reddish glandular papillate on branchlets, abaxial leaf surface, and inflorescence rachis, early glabrescent. Branchlets terete, 3-4 mm in diam. Petiole narrowly marginate, 6-10 mm, glabrous; leaf blade elliptic, narrowly lanceolate, or oblanceolate, 7-15 × 2-4 cm, leathery or papery, prominently punctate, base cuneate, margin subrevolute, crenate, or undulate, with large vascularized marginal nodules, apex acute or acuminate; lateral veins 12-18 on each side of midrib, marginal vein often hidden by reflexed margin. Inflorescences terminal, umbellate or cymose, on specialized, 2- or 3-leaved lateral branches 4-16(-40) cm. Flowers membranous, white or rarely pinkish, 4-6 mm. Pedicel 7-10 cm. Sepals oblong-ovate, 1-1.5(-2.5) mm, glabrous, punctate, margin entire, apex rounded or obtuse. Petals nearly free, ovate, punctate, glandular papillose adaxially near base, apex acute. Stamens shorter than petals; filaments nearly obsolete; anthers triangular-lanceolate, punctate dorsally, longitudinally dehiscent, acute. Pistil subequalling petals; ovary glabrous, punctate; ovules ca. 5, uniseriate. Fruit red, globose, 6-8 mm in diam., punctate. Fl. May-Jun, fr. Oct-Dec.
Forests, hillsides, valleys, shrubby areas, dark damp places; 100-2400 m. Anhui, Fujian, Guangdong, Guangxi, Hainan, Hubei, Hunan, Jiangsu, Jiangxi, Taiwan, SW Xizang, Yunnan, Zhejiang [SW India, Japan, Malaysia, Philippines, Vietnam]
Ardisia crenata is closely related to A. pseudocrispa Pitard (=A. corymbifera Mez. var. tubifera C. Chen), from which it differs in having crenate leaves with a distinct marginal vein. Ardisia pseudocrispa, which occurs in Guangxi and Vietnam, has subentire leaves without a marginal v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