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족제비고사리(3)
https://daehyo49.tistory.com/7811582
애기족제비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09388
애기족제비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799
족제비고사리 이름이 붙은 종들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9933
학명: Dryopteris sacrosancta Koidz.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학명 풀이:
Dryopteris: drys 'oak' + pteris 'a wing, fern'
sacrosancta: of holy places
일어명: ヒメイタチシダ
사진: 2012.05.15 광릉수목원 고사리전시회에서
아래는 2012.05.15 광릉수목원
아래 : 2022.07.16 광릉수목원
엽신은 황록색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엽신은 3회우상으로 5각상광난형, 우편은 장삼각형, 소우편은 장피침형이다.
소우편 중륵의 인편은 낭상인편과 편평상인편이 혼재한다
포자낭군은 소우축 가까이, 측맥 끝에 붙는다
엽병 기부의 인편은 선상피침형으로 검은색이나 가장자리가 연갈색이다
아래 : 2024.06.06 광릉수목원
애기족제비고사리는 관중속에서 소우축이나 열편 중륵에는 낭상인편이 있지만
우축에는 낭상인편이 거의 없는 종으로 분류된다.
(제주지네고사리, 층층지네고사리, 엷은잎지네고사리,
족제비고사리, 애기족제비고사리, 큰홍지네고사리, 큰족제비고사리 이상 7종)
애기족제비고사리는 엽신이 오각상으로 다소 난형이고 우편은 장삼각형, 소우편은 장피침형이다.
이에 대해 가는잎족제비고사리는 엽신이 오각상, 우편은 삼각상, 소우편도 삼각상, 열편은 장피침형이다.
금족제버고사리도 5각상이나 금족제비고사리는 최하우편의 하향제1소우편이 유난히 길어 최하우편이 장직각삼각형 형태가 된다
엽병의 인편은 선상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색깔은 흑갈색이나 가장자리는 연갈색이다
참조 사이트
http://sigesplants.chicappa.jp/Dryopteris_sacrosancta.html
http://sigesplants.chicappa.jp/Dryopteris_sacrosancta-1.html
http://sigesplants.chicappa.jp/Dryopteris_sacrosancta-3.html
http://www.asahi-net.or.jp/~tv9h-ark/himeitachi.htm
http://mikawanoyasou.org/sida/himeitatisida.htm
동속식물:
<국생정> 등재동속식물(30종):
가는잎족제비고사리Dryopteris chinensis (Baker) Koidz.
https://daehyo49.tistory.com/ 7808241
계곡고사리 Dryopteris hayatae Tagawa
곰비늘고사리 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https://daehyo49.tistory.com/7808874
광릉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ivaria Nakai
https://daehyo49.tistory.com/7809310
금강고사리Dryopteris austriaca var. subopposita H.Ito
금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gymophylla (Baker) C.Chr.
https://daehyo49.tistory.com/7808800
꼬리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formosana (Christ) C.Chr.
느리미고사리 Dryopteris tokyoensis (Matsum. ex Makino) C.Chr.
https://daehyo49.tistory.com/7808796
뫼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baei (Franch. & Sav.) C.Chr.
바위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a H.Ito
바위틈고사리 Dryopteris laeta (Kom.) C.Chr.
북관중 Dryopteris coreanomontana Nakai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Thunb.) Kuntze
https://daehyo49.tistory.com/7808795
https://daehyo49.tistory.com/7809358
산비늘고사리 Dryopteris polylepis (Franch. & Sav.) C.Chr.
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bissetiana (Baker) C.Chr.
https://daehyo49.tistory.com/7809286
아물고사리 Dryopteris amurensis (Milde) H.Christ
애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crosanta Koidz.
https://daehyo49.tistory.com/ 7808799
https://daehyo49.tistory.com/7809388
엷은잎지네고사리 Dryopteris kinkiensis Koidz. ex Tagawa
왕지네고사리 Dryopteris monticola (Makino) C.Chr.
https://daehyo49.tistory.com/7808857
자주지네고사리 Dryopteris purpurella Tagawa
제주지네고사리 Dryopteris championi (Benth.) C.Chr. ex Ching
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varia (L.) Kuntze
참곰비늘고사리 Dryopteris uniformis for. coreana H.Ito
참지네고사리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hikonensis (H.Ito) Nakaike
https://daehyo49.tistory.com/7809381
큰지네고사리 Dryopteris fuscipes C.Chr.
톱지네고사리 Dryopteris cycadina (Franch. & Sav.) C.Chr.
퍼진고사리 Dryopteris expansa (C.Presl) Fraser-Jenk. & Jermy
홍지네고사리 Dryopteris erythrosora (D.C.Eaton) Kuntze
한국양치식물도감에 추가되어 있는 종들
큰톱지네고사리 Dryopteris dickinsii (Franc. et Sav,) C. Chr.
https://daehyo49.tistory.com/7808856
애기톱지네고사라 Dryopteris commixta Tagawa
주저리고사리 Dryopteris fragrans var. remotiuscula (Kom.) Fomin
https://daehyo49.tistory.com/7809385
보태면마 Dryopteris coreana-montana Nakai
진저리고사리 Dryopteris maximowiczii (Baker) Kuntze
애기지네고사리 Dryopteris decipiens var. diplazioides (Christ) Ching
https://daehyo49.tistory.com/7809387
반들지네고사리 Dryopteris medioxima Koidz
https://daehyo49.tistory.com/7809386
가는홍지네고사리 Dryopteris caudipinna Nakai
큰홍지네고사리 Dryopteris hondoensis Koidz
<국생정> 설명:
잎
엽병에 달린 비늘조각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비늘조각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 엽신이 얇고 잔깃조각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짐. 우축에 달린 비늘조각의 밑부분은 주머니처럼 되지 않고 잔깃조각 주맥 뒷면에 주머니 같은 작은 비늘조각이 섞여 있다. 엽신은 오각상 넓은 달걀모양이며 밑부분이 3회 우상 비슷하게 갈라지고 우편은 곧으며 서로 겹칠 정도로 배게 달리고 표면은 윤채가 그리 나지 않으며 밑부분의 잔깃조각에 대가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
열매
포자낭군은 소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보다 가깝게 달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산야의 음지 및 양지에서 자란다. 특징 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엽병에 달린 비늘조각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비늘조각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인 것이 다르며, 또 큰 족제비 고사리보다는 엽신이 얇고 잔깃조각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