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고사리(발풀고사리와 풀고사리 사진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352
발풀고사리(3)
https://daehyo49.tistory.com/7816301
발풀고사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0090
발풀고사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95
학명: Gleichenia japonica Spreng.
분류: 풀고사리과(Gleicheniaceae)
학명 풀이
동속식물: 암풀고사리 Gleichenia laevissima Christ
사진: 2014.04.19 플로라조사지역





아래 사진: 2014.05.04 대마도


아래: 2017.06.18 통영
아래 : 2025.01.16 제주 한라수목원







발풀고사리속(Dicranopteris)과 풀고사리속(Gleichenia) 구별
발풀고사리속(Dicranopteris)
근경과 잎에 털은 있지만 인편은 없다. 잎의 1차중축지는 1쌍의 제2차 중축지를 만들고 다시 제3차 중축지를 만드는 방식으로 잎이 만들어진다 . 측맥은 2-4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8-15개의 포자낭이 모여 포자낭군을 이룬다.
풀고사리속(Gleichenia)
근경과 잎에는 털과 인편이 있고 인편은 흑갈색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2-4개의 포자낭이 모여 포자낭군을 만들고 측사가 있다. 측맥은 1-2회 갈라진다.
풀고사리에 대한 설명 (한국식물도해도감 2 양치식물 )
상록성이다
근경: 길게 뻗으며 어릴 때에는 인편이 있다.
엽병: 길이 30-100cm로 원주형이고 굵다.
엽신: 길이 50-100cm, 너비 2-30cm이고, 우편은 3각상피침형이며 2회우상심열한다.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백색을 띠고 떨어지기 쉬운 성상모가 있다. 소우편은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길이 10-15cm, 너비 1.5-3cm이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수평으로 퍼진다.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둔두 또는 원두이며 너비 3mm정도이다.
포자낭군: 포자낭 3-4개로 이루어지며 중륵과 잎가장자리 중간에 1열로 붙는다. 포막은 없다
생육지: 해안지대나 산지의 건조한 곳
발풀고사리와 풀고사리 대조 비교
발풀고사리 | 풀고사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