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Convolvulus arvensis L.
분류: 메꽃과(Convolvulaceae)
학명 풀이:
Convolvulus is derived from the Latin, convolere, meaning to entwine, and arvensis means ‘of fields’
일어명:セイョウヒルガオ
영명:Field Bindweed, Small Bindweed
사진: 2016.05.23 안산 부곡동
포의 모양과 위치
보통 메꽃 종류(메꽃, 큰메꽃, 애기메꽃 등)는 Calystegia 속으로 포엽이 잎 모양으로 꽃받침을 감싸나
서양메꽃은 Convolvulus 속으로 꽃자루 중간 쯤에 달리며 모양은 선형으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아래: 2021.06.29 소래포구
수술 갯수는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5개가 보인다. 꽃밥 모양이 특이하다. 암술은 1개로 주두는 2갈래다
꽃자루가 상당히 길다, 열매(삭과)는 난형 내지 아구형
열매를 따 까보았으나 종자가 들어 있지 않았다. 수정이 잘 안되나보다
삭과 당 종자는 1-4개 들어 있다고 한다
아래 : 2022.06.16 도봉 중랑천
아래 : 2023.06.06 노들섬
아래 : 2023.06.12 한강 합정동
FOC
Convolvulus arvensis Linnaeus, Sp. Pl. 1: 153. 1753.
田旋花 tian xuan hua
Convolvulus arvensis var. angustatus Ledebour; C. arvensis var. crassifolius Choisy; C. arvensis var. linearifolius Choisy; C. arvensis var. sagittatus Ledebour; C. arvensis var. sagittifolius Turczaninow; C. chinensis Ker Gawler; C. sagittifolius (Fischer) Liou & Ling.
Herbs perennial, with ± woody rhizomes. Stems prostrate or twining, to 1 m tall, glabrous or sparsely pubescent. Petiole 0.3-2 cm; leaf blade ovate-oblong to ovate, 1.5-5 X 1-4 cm, glabrous or pubescent, base hastate, sagittate, or cordate, apex obtuse, mucronulate; prominently 3-veined basally, upper parts pinnately veined. Inflorescences axillary, cymose, 1-3-flowered; peduncle 3-8 cm; bracts 2, linear, ca. 3 mm. Pedicel ca. 4 as long as calyx. Sepals unequal, 3.5-5 mm; outer 2 broadly oblong to obovate, shorter, abaxially sparsely pubescent or glabrous, margin ± ciliate, apex retuse; inner ones ovate-circular, margin membranous, apex obtuse or retuse. Corolla white or pink, broadly funnelform, 1.5-2.6 cm, midpetaline bands pubescent outside distally; limb shallowly 5-lobed. Stamens included, unequal; filaments minutely scaly basally. Disc cupular. Ovary ovoid, glabrous or sparsely pubescent. Stigmas cylindric. Capsule ovoid to subglobose, 5-8 mm, glabrous. Seeds 4 or fewer, dark brown or black, ovoid, 3-4 mm, tuberculate. Fl. Jun-Aug, fr. Jun-Sep. 2n = 24, 48, 50.
Cultivated areas, wasteland, roadsides, grassy slopes; 600-4500 m. Anhui, Gansu, Hebei, Heilongjiang, Henan, Hubei, Jiangsu, Jilin, Liaoning, Nei Mongol, Ningxia, Qinghai, Shaanxi, Shandong, Shanxi, Sichuan, Xinjiang, Xizang [Asia, Europe, North America, South America].
............................................................ 아래는 퍼온 사진 ...............................................................................................................................
서양메꽃 열매 사진 출처 http://www.menudanatura.com/2011/11/convolvulus-arvensis-l.html
서양메꽃 종자 사진 출처 https://gobotany.nativeplanttrust.org/species/convolvulus/arvensis/
종자 모양
<국가생물종지식저보시스템>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며, 잎자루는 가늘고 잎새보다 짧다. 잎새는 난형(卵形)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2-7㎝, 폭 1-5㎝,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고, 끝이 둔두(鈍頭) 또는 원두(圓頭)이고 기부는 전저(箭底) 또는 극저(戟底)이다.
꽃
꽃은 7-8월에 피며, 꽃자루는 잎 겨드랑이에 생기며, 길이 4-9㎝로 잎과 같은 길이이거나 길고 1-4개의 꽃(보통은 2개)이 달리며, 꽃자루의 윗부분에* 2개의 포엽이 있다. 포엽은 마주나기를 하며 도피침형, 길이 3-4㎜이다. 꽃받침은 5개로, 장타원형, 끝이 둔두이며 길이 4-5㎜이다. 꽃잎은 담홍색 또는 거의 백색이며 지름 3㎝이다. 암술머리는 2심열(2深裂)되고, 선형(線形)이다.
* “끝에 포엽이 있다”로 되어 있으나 표현이 오해를 사기 쉬워 정정. 꽃 아래 약 1.5-2.5cm 떨어진 곳에 달린다.
줄기
줄기는 덩굴로 뻗어 나가며 지면을 포복하고 길이 1-2m, 가늘고 외줄기이거나 또는 가지를 친다.
원산지
유럽 원산
분포
전라북도 군산에서 채집하였고 군산항 부근 철도 연변에서 다수 발견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덩굴줄기 길이 1-2m
특징
북아메리카, 아시아에 귀화되었으며 국내에는 1980 년 任良宰, 全義植 양씨에 의하여 전라북도 군산에서 채집 `서양메꽃`으로 국명을 신칭 발표하였다.
-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17 (14) Bracts or bracteoles prominent, sepal-like or leaflike, persistent in fruit. (18)
+ Bracts inconspicuous, scalelike, linear or subulate, deciduous or persistent in frui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