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갯보리(2) (갯보리속 종 검색표)

대효0617 2020. 2. 10. 19:51

갯보리(2)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588

갯보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0106

상위분류군 검색표 (숲개밀)

https://daehyo49.tistory.com/7810674

 

 

광의의 갯보리속 Elymus에서 화서의 마디에 소수가 1개만 달리는 것은 개밀속Agropyron으로 분리되었고

보통 2개(2-3개, 1개도 가능) 달리는 것은 협의의 Elymys(갯보리, 개보리 2종)과 Leymus(갯그령 1종)이다. 

또 협의의 Elymus는 포영, 호영 모두 까락이 있고 Agropyron은 호영에만 까락이 있다

Leymus는 포영 호영 모두 까락이 없고 근경이 길게 뻗는다., 

 

 

학명 : Elymus dahuricus Turcz. ex. Griseb.

분류 : 벼과 (Poaceae)

 

사진 : 2019.07.10 태백산

 

 

 

 

 

 

 

 

 

 

 

 

 

소수는 2개씩 짝을 이루어 달리며 2열이 되어 촘촘하게 총을 이룬다

포영, 호영 모두에 까락이 있다(Agropyron 속은 포영에 까락이 없다)

 

 

마디에 달린 짝을 이룬 소수 쌍  2개

소수는 모두 무병이다. Hordeum속은 임성의 무병소수 1개와 불임의 유병소수2개로 구성된다

 

 

소수 쌍에서 포영(바깥쪽)을 벌리었다

 

 

 

1개의 소수에서 제1포영, 제2포영을 벌리었다. 2개의 포영 길이는 서로 비슷하다  

 

 

소수 전체 모습, 포영은 피침형이고 호영 길이의4/5 정도이다

(개보리는 포영이 선상피침형으로 호영 길이의 1/2-2/3이다)

 

 

포영만 분리하였다

 

 

포영을 제거한 소수; 소화는 3-4개이다(=까락의 수)

 

 

호영의 까락

 

 

아래: 2020.06.16 영종도 선녀바위

 

 

 

 

아래 : 2021.06.05  무의도

 

Elymus 속(갯보리, 개보리)의 소수는 무병이고 화총의 마디 당 2-3개가 달린다.

이에 대하여 Agropyron(개밀속)은 마디 당 1개씩 소수가 달린다

 

 

 

 

아래: 2021.06.21 무의도

 

 

 

소화는 2-5개, 포영은 피침형이고 호영 길이의 4/5

 

 

 

 

 

아래 : 2024.07.15 무의도

 

 

 

 

 

 

 

 

Elymus(갯보리, 개보리)는 화서 축의 각 마디에 소수가(1-) 2개씩 달린다.

Agropyron(개밀 이름이 들어가는 것들)은 마디에 소수가 1개씩 딸린다

 

 

 

 

Elymus는 포영에도 까락이 있고

Agropyron은 포영에는 까락이 없다 

 

 

 

갯보리는 포영이 호영 길이의 4/5,

개보리는 포영이 호영의 1/2-2/3이다 

 

 

 

 

 

 

 

한국식물도해도감 1 벼과

 

다년생식물로 해안 또는 드물게 내륙에도 자란다. 줄기는 총생하며 굵고 높이 30-120cm, 3-5개의 마디가 있고, 마디에는 털이 없다. 엽초는 밋밋하지만 기부의 것은 긴 턿이 있다. 엽신은 길이 10-30cm, 너비 3-9mm이다. 엽설은 길이 0.5mm 정도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총은 긿이 7-23cm, 2개씩 짝을 지은 많은 소수기 간격이 없이 밀집한다. 소수는 납작하고 길이 10-15mm, 3-4개의 소화가 있다.

2개의 포영은 모양과 크기가 같고, 길이 7-11mm, 3개의 긴 맥과 2-4개의 짧은 맥이 있고, 끝은 짧은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길이 6.5-11.0mm, 혁질, 위쪽에 용골이 생기고, 5맥, 끝에 길이 8-15mm의 까락이 있디.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며, 용골은 까끌거린다.

* 개보리에 비해 포영은 피침형으로 길이 7-11mm, 호영 길이의 4/5 정도이다.  

 

 

FOC  설명

 

Elymus dahuricus Turczaninow ex Grisebach in Ledebour, Fl. Ross. 4: 331. 1852.

披碱草 pi jian cao

 

(설명)

Culms erect or geniculate at base, 40140 cm tall, 24-noded. Leaf sheath glabrous, or densely pilose at base; leaf blade ± glaucous, flat, rarely rolled, 525 × 0.51(1.2) cm, abaxial surface smooth, adaxial surface smooth or scabrous. Spike erect, somewhat dense, 1418 × 0.51 cm; rachis margin ciliolate. Spikelets green or purplish green, usually stramineous at maturity, (1 or)2 per node, 915 mm, with 25 florets. Glumes lanceolate or linear-lanceolate, 710 mm, 35-veined, scabrous or scabrous-hirsutulous along veins, apex acuminate or with awn to 5 mm. Lemma lanceolate, puberulent, pubescent, or densely hirsutulous throughout; first lemma 79 mm; awn straight or recurved, 220 mm. Palea equaling lemma, ciliate along keels, ± pubescent between keels, apex narrowly truncate. Fl. and fr. JunAug.

(생육지와 분포)

Forest glades, scrub, mountain slopes, valleys, meadows, pebbles, sometimes roadsides and field margins; ca. 2600 m. Hebei, Heilongjiang, Henan, Nei Mongol, Ningxia, Qinghai, Shaanxi, Shandong, Shanxi, Sichuan, Xinjiang, Xizang, Yunnan [Bhutan, India, Japan, Kazakhstan, Korea, Kyrgyzstan, Mongolia, Nepal, Russia, Turkmenistan, Uzbekistan; SW Asia].

Four varieties occur in China. In addition, Elymus dahuricus var. brevisetus Ohwi (J. Jap. Bot. 19: 168. 1943) was described from N Shanxi (Ningwu), but no specimens have been seen by the authors.

(종하 분류)

 

1. Culms slender, 4080 cm tall; first lemma 78 mm.

.   ............................... var. cylindricus

1. Culms more robust, 80140 cm tall; first lemma 89 mm

 

    2. Lemma awn 25 mm.

        ................................ var. xiningensis

    2. Lemma awn 1020 mm

 

        3. Leaf sheath glabrous; glumes scabrous along veins.

            ................................. . var. dahuricus

        3. Leaf sheath densely pilose at base; glumes usually scabrous-hirsutulous along

            veins

            ................................. var. violeus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00025311

 

 

 

 



 
갯보리속 Elymus  종 검색표(한국식물도해도감1, 벼과)
* 이 속은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과 FOC에서 다르게 분류되어 있다
 
 
1. 근경이 길게 뻗는다
   2. 포영, 호영 등 화서 전체에 백색 연모가 밀생;
      엽신 폭은 7-15mm이고 해안 모래땅에 자란다
        ...............................            갯그령 E. mollis
* 다른 두 곳은 Leymus mollis로 분류. 이 속도 소수는 보통 2개씩 붙는다 . 포영 호영 모두 까락이 없다
   2. 화서 전체  무모;
        엽신 폭 3-10mm로 연하며 평지의 길가나 밭에 자란다
        3. 호영에 까락이 거의 없다
        .................................          구주개밀 E. repens
        3. 호영의 까락른 길이 10mm 내외이다
           ...............        까락구주개밀 E. repens var. aristatum
1. 근경이 없다
 
   4. 소수는 화서의 각  마디에  보통 2개씩  달린다
       포영, 호영 모두 까락이 있다
        * FOC에선( 1-) 2개로 기술
       5. 화서는 직립한다;
           포영은 피침형으로 길이 7-11mm, 
           호영 길이의 4/5 정도
          ....................................     갯보리 E. dahuricus
      5. 화서는 현수한다;
          포영은 선상피침형으로 길이 4-5mm,
          호영 길이의 1/2-2/3
            .................................      개보리 E. sibiricus
          (위의 주서: 본블로거 추가)
   4. 소수는 화서 각 마디에 1개씩 배열
       6. 내영은 호영 길이보다 짧다
           포영은 좁은 장타원형으로 예두;
           화서는 대개  직립
           7. 호영에 강모가 있다. 내영 끝이 원두
              .....  ........................    속털개밀 E.ciliaris
             * (추가) 속털개밀은 건조 시 까락이 강하게 휜다
           7. 호영에 강모가 없고 가장자리에 微毛가 있다;
               내영 끝은 약간 요두
              .......................     가는개밀 E. ciliaris var.hackelianus
 
      6. 내영은 호영 길이와 같다
         포영은 피침형으로 끝이 서서히 좁아진다
         호영에 털이 없다
         화서는 대개 활처럼 아래로  처진다
         8. 소화 기반에 단모가 있다 ;
             대개 산지 숲 아래 자란다
             ..........................    광릉개밀 E. yezoense  var. koryoense
         8. 소화 기반에 단모가 없고 평활하다.
             (한국식물도해도감 1의 종 기재문)
             대개 길가 또는 풀밭에 자란다
             ..........................    개밀 E. tsukushiense var. transiense 
* 호영 등쪽과가장자리에 가시털이 있는것을 자주개밀이라한다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   
 
 * 좁은 의미의 Elymus는 갯보리. 개보리 2종이며
이들은 소수가 보통 2개 달리고 호영, 포영 모두에 까락이 있다.
개밀 이름이 붙은 종들은 소수가 한 개씩 달리는 것들 
(속털개밀, 가는개밀은 포영에 까락이 없다 )로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에서는 모두 Agropyron으로 분류한다.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용수염  (0) 2020.03.06
나도바랭이새(나도바랭이속 종 검색표)  (0) 2020.03.02
나도바랭이(우산잔디족 Cynodonteae 속 검색표)  (0) 2020.02.02
강아지풀  (0) 2020.01.21
밀렛  (0) 202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