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고려용수염

대효0617 2020. 3. 6. 11:28

 

 

고려용수염

https://daehyo49.tistory.com/7812628

광릉용수염과 껍질용수염 (용수염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523

 

학명: Diarrhena koryoensis Honda

분류: 벼과 

 

사진: 2013.09. 08 주왕산

 

 


 

 

 

 

 

 

 

 

 

 

 

 

 

 

 

 

 

 

 

 

 

아래 : 2024.08.27 한라산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 설명

 

개화와 결실: 7-9월

생활형 : 다년초

생육지 : 충남 안면도, 거제도, 제주도 숲속

잎: 지하경 마디에서 나오는 새싹은  윤채가 나는 딱딱한 비늘에 싸이고 엽설은 무모 막질로 0.5-1.0mm이다.

화서:  원추화서는 응축형으로 가지는 비스듬히 서고 한 마디에 1-2개씩 난다. 가지는 가는 실 모양이고 까끌거린다.

소수: 3-5mm로 성숙하면 벌어진다

포영: 2개가 서로 다르고 소수보다 짧고 , 막질이며, 용골 1개에 1맥, 첨두이다. 제1포영은 피침형으로  0.8-1.0mm, 제2포영은 넓은 피침형 혹은 난형으로 1.5-1.6mm이다

소화: 소수축에 들러 붙는다

호영: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3.5-5mm,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둥그스름하고, 3맥이 있으며, 둔한 모양이다

내영: 1mm로 2맥이며 용골이 까끌거린다

수술: 꽃밥은 3개로 0.7-1.2mm이다

영과: 타원형 혹은 도란형으로 성숙하면 호영과 내영 사이로 삐져나오며, 길이는 약 2.5mm이고, 끝에 돌기가 있다.

 

 

........................................

 

고려용수염과 왕쌀새 비교

 

고려용수염
Diarrhena koryoensis

왕쌀새
Melica nutans

포영은 호영보다 훨씬 짧다 포영은 호영과 거의 비슷한 길이이다

잎은 폭이 쌀새보다 넓고 뒤집힌다

잎은 폭이 좁고 뒤집히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