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민바랭이(1)

대효0617 2020. 9. 22. 18:50

바랭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589

바랭이(1)(바랭이 종류 구별 사진)

https://daehyo49.tistory.com/7808325

좀바랭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001

좀바랭이(1)(바랭이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543

민바랭이(1)

https://daehyo49.tistory.com/7812796

탐라민바랭이(1)

https://daehyo49.tistory.com/7813384

상위 분류군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8294

 

 

 

학명 : Digitaria violascens Link.

분류 : 벼과 Poaceae / 기장아과 Panicoideae /기장족 Paniceae / 바랭이속 Digitaria

 

사진: 2020.09.18 아신역

 

 

 

 

 

아래 : 2023.09.28 연천 통현리

 

 

 

 

 

 

화총은 3-7개(벼과.사초과 생태도감)가 1-2단으로 난다하였는데 위에서는 화총 2개만 보인다

 

 

 

 

소수는 서로 밀착한다. 소수가 밀착하는 종: 민바랭이, 서울민바래이, 탐라민바랭이

소수가 소착하는 종: 바랭이, 좀바랭이

 

 

 

 

 

총축은 평활하다

 

 

제2포영의 맥은 민바랭이는 3-5맥, 바랭이, 좀바랭이는 3맥으로 기재되어 있다 .

위의 사진에서 민바랭이는 5맥이 보인다

 

 

소수는 타원상 장타원형으로 크기는 길이 1.5-2mm이다.

바랭이, 좀바랭이는 소수가 피침형으로 

바랭이 소수는 길이 2.5-3mm, , 좀바랭이는  길이가 2.2-3.2mm이다 

 

 

 

바랭이 소수와 민바랭이 소수 비교

 

 

바랭이 민바랭이

 

 

 

 

 

1년생식물이며 농경지, 도시의 황무지, 길가 등지에 자란다. 줄기는 기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높이 20-50cm, 5-7개의 마디가 있다. 엽초는 구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엽신은 길이 4-14cm, 너비 5-8mm, 털이 없다. 엽설은 길이 1.0-1.5mm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4-10개의 총이 1-2단으로 손바닥모양처럼 배열한다. 화서는 길이 4-10cm, 소수가 밀착한다.  소수는 자루가 길고 짧은 것이 쌍생하며 화축에 압착되고 장타원형으로 길이 1.5-2.0mm, 2개의 소화가 있다.  제1포영은 완전히 소실되고 제2포영은 소수의 길이와 모양이 같고, 3맥이 있다. 제1소화는 불임성이며 호영은 7맥까지 있고, 짧은 털이 있다.  제2소화는 소수와 같은 길이이며 혁질로 가장자리는 내영의 대부분을 덮고, 내영은 연골성이다.

* 탐라민바랭이에 비해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다.

 

한국식물도해도감 1 벼과 세밀화

 

엽초 구부에만 털이 있고 소수는 밀칙한다. 소수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5-2mm 정도로 다른 종들보다 좀 작다

(바랭이와 좀바랭이는 피침형이고 소수가 좀 더 길고 소수는  소착한다)

엽초에는 구부에만 털이 있다. 좀바랭이는 엽초에 털이 없고 바랭이는 엽초 전체에 털이 있다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무  (0) 2020.10.01
겨풀(1)  (0) 2020.09.22
포아풀  (0) 2020.06.29
큰비노리  (0) 2020.06.28
들겨이삭  (0) 2020.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