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Amanita melleiceps Hongo
분류 : 주름버섯목( Agaricales)/ 광대버섯과(Amanitaceae)/광대버섯속(Amanita)
한국야생버섯동호회에 문의했더니 애광대버섯이라고 답을 달아주었지만 아무리 보아도 파리버섯으로 보인다.
2021..07.09 동구릉
모눈 크기 2mm
<새로운 한국의 버섯> 설명
발생 시기 : 여름-가을
생태: 소나무 숲, 참나무 숲의 땅 위에 산생
형태: 갓은 지름 3-5cm, 평반구형에서 오목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습할 때에는 점성이 있으며, 담갈황색 바탕에 백색-담황색의 분말상 사마귀가 산재하고, 가장자리는 옅은 색이며, 방사상 홈선이 있다. 조직은 담황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형, 약간 성기고, 백색이다. 대는 3-5 X 0.3-0.6cm, 기부는 구근상이며, 표면은 백색-담황색, 분말상이다. 턱받이는 없으며, 대주머니는 백색의 가루 형태로 기부에 붙어 있다. 포자는 8-12 X 6-8㎛, 광타원형, 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문은 백색이다
이용. 효능: 독버섯으로 구토, 복통, 설사를 일으킨다. 국내에서는 과거에 파리를 잡는 데 사용했다.
'균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갈색시루뻔버섯 (0) | 2021.08.02 |
---|---|
푸른주름무당버섯 (0) | 2021.07.29 |
마른해그물버섯 (0) | 2021.07.18 |
독우산광대버섯(1) (0) | 2021.07.18 |
꾀꼬리버섯(오이꽃버섯) (0) | 2021.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