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류

황갈색시루뻔버섯

대효0617 2021. 8. 2. 11:40

학명 : Inonotus mikadoi(Lloyd) Gilb. & Ryarden

분류 : 소나무비늘버섯목(Hymenochaet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시루뻔버섯속(Inonotus)

학명 풀이

Inonotus : The name comes from ino meaning fibrous and ot meaning ear.

 

일어명 : カワウソタケ(川獺茸)

 

 

사진 : 2021.07.01 가평 견치봉

 

 

 

 

새로운 한국의 버섯 설명

 

발생 시기 : 여름-가을

생태: 활엽수 특히 벚나무, 매화나무의 죽은 나무나 그루터기 위에 군생-중생; 1년생 백색부후균

형태 : 갓은 지름 3-5cm, 반원형이다. 갓 표면은 황갈색-적갈색의 털이 밀생하며, 환문이 있으나 오래되면 털이 탈락하여 평활하게 되고, 가장자리는 건조할 때에는 파형이 된다. 조직은 황갈색, 부드러우나 건조하면 잘 부스러진다.  관공은 황백색에서 암갈색이 되며, 관공구는 약간 미세하고 부정원형이다,  성숙한 자실체는 많은 양의 포자를 비산시켜 주변을 황갈색 포자로 뒤덮는다.  포자는 4-6 X3-4㎛ , 타원형-유구형, 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문은 황갈색이다

이용. 효능 : 식.독 불명이다.

 

일본 인터넷 설명

벚나무 등의 장미과의 벌채한 나무나 말라죽은 줄기에 군생 또는 중생한다. 살아 있는 나무의 마른 가지에도 발생하는 균으로. 자실체는 1년생이다. 여름~가을에 발생하며 대부분 갓이 측면 착생하고 자루가 없으며, 반원형이고, 2~8, 두께 1~2, 편평하고, 처음에는 수평으로 펼쳐지다가 마르게되면 축소되어 주변부가 아래로 약간 말려 굴곡한다. 갓 표면은 黄橙色橙色銹褐色이고. 환문이 있으며, 처음에는 粗毛가 밀생하고 나중에는 무모가 되고 환문도 소실되며, 황갈색~다갈색, 가장자리는 橙褐色이다가 이윽고 전체가 짙은 갈색이된다. 管孔面은 처음에는 灰黄白色나중에는 暗褐色이고. 관공구는 소형의 不正円形으로 2~3/이다. 管孔 길이는 약 10. 조직은 황갈색~갈색으로 신선한 때에는 부드러우나 마르게되면 잘 부서지고, 무미, 무취. 포자문은 갈색. 포자는 길이 4~6μm, 3~4μm, 타원형~類球形, KOH 중에서는 황갈색. 강모체는 극히 소수이고, 갈색, 길이 18~25μm, 4~5μm, 방추형으로, 선단이 뾰족하다.

https://mikawanoyasou.org/kinoko/kawausotake.htm

 

'균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그물버섯  (0) 2021.08.03
아까시재목버섯(아까시흰구멍버섯)(2)  (0) 2021.08.02
푸른주름무당버섯  (0) 2021.07.29
파리버섯  (0) 2021.07.25
마른해그물버섯  (0) 2021.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