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가문비 (가문비나무속 Picea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4327
종비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328
종비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0171
학명 : Picea koraiensis Nakai
분류 : 소나무과 (Pinaceae)
종비나무는 실편 선단이 둥글고, 톱니가 없는 데 대하여
풍산가문비나무는 실편 선단이 치상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아래 : 2023.11.25 인천수목원
잎 단면은 4각형
아래 : 2023.12.28 광릉수목원
아래 : 2023.12.28 광릉수목원
국생지
분포
한국(함북), 중국(한대수종으로 만주까지 분포), 극동러시아
형태
상록교목이며, 높이가 25m에 달한다. 줄기 암갈색이고, 껍질이 갈라지며, 비늘처럼 얇게 벗겨진다. 잔가지는 황갈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털이 없다. 잎은 굽은 선형이고, 예두이다. 횡단면은 마름모이며, 길이는 12.8~22.5mm, 너비는 1~1.7mm이다. 잎 4면 모두 기공선이 발달한다. 구화수의 개화기는 5월, 암수한그루, 웅성구화수는 원주형이며, 길이는 약 15mm이다. 자성구화수는 자주색이고, 길이가 약 15mm이다. 구과 원주형 또는 난상 원주형이며, 갈색이고, 길이는 (60)81~86.6mm, 너비는 21.8~25.6(35)mm이며, 아래로 달린다. 실편은 넓은 도란형이고, 두꺼우며, 윤체가 있으고, 다갈색이며, 끝이 둥글고, 톱니가 거의 없다. 실편의 개수는 150~163개이며, 실편의 길이는 19~22.5mm, 너비는 13~16.2mm이고, 구과성숙 후 실편은 남아있다. 포편은 밖으로 나오지 않으며, 평활하고, 길이 5.6~7.5mm, 너비 1.7~2.4mm이며, 포침은 없다. 결실기는 10월이다. 종자 난형, 회색이도는 흑갈색이고, 길이 4~5.2mm, 너비 2.1~2.5mm이며, 날개는 종자에 비해 2배정도 길다.
노트
종비나무(P. koraiensis)는 가문비나무(P. jezoensis)에 비해 구과가 2배 이상 크고, 잎의 단면은 마름모꼴인 특징이 있다.
출처
한반도 수목지 3(2019)
FOC
Picea koraiensis Nakai, Bot. Mag. (Tokyo). 33: 195. 1919.
红皮云杉 hong pi yun shan
Picea intercedens Nakai; P. intercedens var. glabra Uyeki; P. koraiensis var. intercedens (Nakai) Y. L. Chou; P. koyamae Shiras var. koraiensis (Nakai) Liou & Q. L. Wang; P. tonaiensis Nakai.
Trees to 30 m tall; trunk to 80 cm d.b.h.; bark gray- or red-brown, rarely gray, flaking; crown pyramidal; branchlets initially yellow, yellowish brown, or reddish brown, turning yellowish, reddish, or gray-brown in 2nd or 3rd year, slender, glabrous or pubescent; winter buds reddish brown, conical-ovoid, slightly resinous, scales ± recurved at apex. Leaves directed forward on upper side of branchlets, spreading on lower side, quadrangular-linear, straight or curved, broadly quadrangular in cross section, green, 1.2-2.2 cm × 1.5-1.8 mm, stomatal lines 2-4 along each surface, apex acute. Seed cones green, maturing yellowish brown or brown, ovoid-cylindric, 5-8 × 2.5-3.5 cm. Seed scales at middle of cones obovate or obovate-oblong, 1.5-1.9 × 1.2-1.5 cm, exposed part of abaxial surface glossy, distal margin entire, rounded or obtuse. Seeds dark gray, obovoid, ca. 4 mm; wing pale brown, narrowly obovate-oblong, 0.9-1.2 cm. Pollination May-Jun, seed maturity Sep-Oct.
Mountain slopes, along streams; 400-1800 m. Heilongjiang, Jilin, Liaoning [Korea, E Russia]
Only var. koraiensis, described here, occurs in China; var. pungsanensis (Uyeki ex Nakai) Farjon (P. pungsanensis Uyeki ex Nakai) is endemic to N Korea and differs in having the distal margin of the seed scales erose(고르지않은)-denticulate and obtuse or truncate.
The timber is used for construction, furniture, carving, poles, ships, and wood pulp. Resin is extracted from the trunk, and tannin from the bark and cones. The species is also cultivated for afforestation and as an ornamen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