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Selliguea hastata (Thunb.) Fraser-Jenk.
분류 : 고란초과 (Polypodiaceae)
일어명 : ミツデウラボシ(鵞掌金星草)
중국어명 : 金鸡脚假瘤蕨(금계각가류궐)
* 고란초 이름의 유래는 ?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천하를 돌아 다니다가 사비강(금강)에 이르러 물을 마시고는 그 맛에서 상류에 진란(眞蘭)과 고란(皐蘭)이 있음을 알았다. 이에 부소산에 들려 난을 보고 세상에 알렸다 하는데, 지금 진난은 없어지고 고란만이 몇 뿌리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사진: 전주수목원




아래는 2012.06.16 ***에서









아래: 2017.06.18 통영


아래: 2017.07.22 제주 선덕사




아래: 2020.09.15 강화도



아래 : 2021.10.12 철원 고석정


아래 : 2024.10.04 파주군내 정자리



아래 : 2025.01.14 서귀포 남원읍 고살리숲길




고란초는 장타원상피침형(단엽의 경우)으로 엽저가 대체로 둥글며
제주고란초는 선상피침형으로 엽저가 갑자기 좁아진다
층층고란초는 하록성으로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며 열편은 1-4쌍이다
동속식물:
고란초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층층고란초 Crypsinus veitschii (Baker) Copel.
큰고란초 (이명:왕고란초) Crypsinus engleri (Luerss.) Copel.
<국생지> 설명:
분포
일본, 중국, 대만
생육환경
고목이나 바위위에 착생
생육상 구분
상록성이다.
크기
높이 8-35cm
잎
● 엽병 : 갈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길이 5-13cm이다.
잎
● 엽신 : 변화가 크며 단엽 또는 2-3열 되기도 한다. 타원상피침형이며 길이 6-12cm, 너비 1.4-2cm이고, 주맥과 측맥이 뚜렷하다.
줄기
● 근경 : 짧으며 옆으로 포복하고 인편은 선상피침형으로 길이 1.6-3.5mm이며 갈색이고 가장자리에 성기게 톱니가 있다.
포자
● 포자낭군 : 원형으로 갈색이며 가장자리쪽 보다는 중륵쪽으로 약간 치우쳐 측맥사이에 하나씩 중륵 양쪽에 달린다. 포막은 없다.
번식방법
▶분근(分根)에 의해 번식한다.
보호방안
자생지 및 개체수가 풍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