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포아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6679
왕포아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701
좀포아풀(1) (왕포아풀과 좀포아풀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875
포아풀속 종 검색표와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002
학명: Poa pratensis L.
분류: 벼과(Gramineae)
학명 풀이: Referring to a meadow
일어명 : ナガバグサ
영명 : Kentucky Bluegrass
사진 : 2024.09.17 파주 진동 서곡리
왕포아풀의 소수는 가지끝 1/3-2/3 지점에 달리고
좀포아풀의 소수는 거의 가지 기부에서부터 달린다
왕포아풀의 줄기는 거의 둥글고 좀포아풀의 줄기는 납작하다
국생지
분포
한국
해외분포
북반구 온대
생육환경
도시주변의 길가나 초원에 자라는 유럽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생육형
다년생
크기
높이는 30~80cm이다.
잎
● 엽신 : 엽신은 길이 5.4~10.0cm, 너비 1.8~3.2mm, 표면은 약간 거칠다.
■ 길이 : 5.4~10.0cm
■ 너비 : 1.8~3.2mm
● 엽초 : 엽초는 매끄럽다.
● 엽설(특징) : 엽설의 길이 0.9~1.3mm이고, 재두이다.
■ 길이 : 0.9~1.3mm
꽃
● 화서 : 개방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6.7~14.5cm, 거칠다. 가지는 한 마디에서 4~6개가 나오고, 길이 3.9~7.6cm이다.
● 소수(특징) : 소수의 길이는 3~6mm이고, 3~6개의 소화가 달린다.
■ 포영 : 포영의 용골은 거칠고, 제1포영은 길이 1.8~3.0mm이며, 1맥 또는 3맥이다. 제2포영은 길이 2.0~3.5mm이며, 3맥이다.
■ 소화(특징) : 소화 기반에 털이 있고 소화축은 거칠다.
▶ 호영 : 호영은 길이 2.4~3.5mm이며, 5맥, 용골과 가장자리 맥에 털이 있다.
▶ 내영 : 내영은 길이 1.8~3.0mm, 용골은 거칠다. 인피는 2개이고, 막질이며, 길이는 0.3~0.5mm이다.
열매
영과
줄기
긴 지하경을 가지며 줄기는 높이 35~85cm, 납작하지 않으며 마디는 2~3개이다.
줄기
● 높이 : 35~85cm
유사종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l):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선다. 잎몸은 황록색, 납작하고 엽초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가는포아풀(P. mastumurae Hack.): 높이 40-80㎝, 근경은 가냘프고 줄기는 곧게 서거나 밑이 약간 구부러지며 납작하다.
▶눈포아풀(P. palustris L.): 높이 50-100㎝, 근경은 가냘프고 짧으며, 줄기는 밑이 땅을 긴다.
▶섬포아풀(P. takeshimana Honda): 줄기는 밀생, 가냘프고 줄무늬가 있으며 털이 없다. 줄기 윗부분의 잎몸은 꽃차례보다 길기도 하다.
특징
가는포아풀(P. matsumurae)에 반하여 잎 표면과 엽초에 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