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꾸러미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6684
큰꾸러미풀(1)(실포아풀과 큰꾸러미풀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3847
실포아풀과 큰꾸러미풀 비교 자료
https://daehyo49.tistory.com/7810811
포아풀속 종 검색표와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002
학명 : Poa nipponica Koidz.
분류 : 벼과 (Poaceae)/ Pooideae/Poeae/Poa
일어명 : オオイチゴツナギ(大苺繋)
중국어명 : 日本早熟禾
사진 : 2024.05.28 남산








아래 : 2024.05.29 방학동 도봉산














국생지
분포: 한국
해외분포 : 일본
생육환경
인가주변에 자란다.
생육형
1년생
크기
높이 40-50cm
잎
● 엽신 : 엽신은 길이 4.5~9.1cm이고, 너비는 2.2~6.0mm이며 표면은 약간 거칠다.
■ 길이 : 4.5~9.1cm
■ 너비 : 2.2~6.0mm
● 엽초 : 엽초는 매끄럽고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 엽설(특징) : 엽설의 길이 0.8~1.5mm이고, 예두이다
꽃
● 화서 : 개방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6.7~11.6cm이고, 거칠다. 가지는 한 마디에서 2~3개가 나오고, 길이 2.4~5.2cm이다.
● 소수(특징) : 소수의 길이는 3.2~4.6mm이고, 3~5개의 소화가 달린다.
■ 포영 : 포영의 용골은 거칠다. 제1포영은 길이 2.0~2.6mm이며, 1맥이다. 제2포영은 길이 2.2~3.1mm이며, 3맥이다.
■ 소화(특징) : 소화 기반에 털이 있고 소화축은 매끄럽다.
▶ 호영 : 호영은 길이 2.6~3.3mm이며, 5맥이다. 전체 맥에 털이 있다.
▶ 내영 : 내영은 길이 1.9~2.6mm, 용골은 연모가 있다.인피는 2개이고, 막질이며, 길이는 0.3~0.4mm이다.
열매 : 영과
줄기 :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고 높이 22~42cm이고, 납작하며 마디는 3개이다.
● 높이 : 22~42cm
유사종
▶새포아풀(P. annua L.)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특징
새포아풀(P. annua)과 비슷하지만 화서가 거칠고 소화기반에 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