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참김의털

대효0617 2025. 4. 6. 13:33

 

김의털/참김의털 (김의털속 Festuca 종 검색표와 상위 분류군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501

 

 

학명 : Festuca ovina L. var. coreana (St.-Yves) St.-Yves

뷴류 : 벼과 (Poaceae)/포아풀아과(Pooideae)/포아풀족(Poeae)/김의풀속(Festuca)

 

사진 : 2024.05.29 도봉구 방학동

 

 

 

 

화서 가지는 마디 당 1-2개

 

 

 

소수는 1-4개 붙는다. 

 

 

 

소수 당 소화는 4-6개이다

 

 

 

호영에 까락은 없거나 있어도 1mm 미만이다

 

 

국생지

 

분포

한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생육환경

언덕의 건조한 풀밭에 자란다.

생육형

다년생

크기

높이는 20-30이다.

엽신 : 엽신은 말려서 두 겹으로 겹치고 길이 5~13cm이다.

길이 : 5~13cm

엽초 : 엽초는 용골이 없고 털이 없으며 엽초구부 양쪽에는 막질의 둥근 엽이가 있다.

엽설(특징) : 엽설은 길이 0.5mm이하이다.

길이 : 0.5mm

화서 : 원추화서로 길이 4~8cm, 가지는 마디에 1~2개가 달리고 1~4개의 소수가 붙는다.

소수(특징) : 소수는 타원형이고 길이 5~6mm, 4~6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포영 : 1포영은 길이 2.0~2.5mm, 1맥이고 제2포영은 길이 2.8~3.5mm, 3맥이 있다.

소화

호영 : 호영은 난형으로 등이 둥글고 5맥이 있으며 길이 3.5~4.2mm, 끝에 1mm이하의 까락이 있다.

내영 :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며 용골의 상반부에 가는 자침이 있다.

열매

영과

줄기

줄기는 다수 총생하며 높이 20~40cm, 1~2개의 마디가 있고 줄기의 상부에 상향의 미세한 털이 있다.

줄기

높이 : 20~40cm

유사종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잎혀는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잎혀는 길이 0.4이다.

산묵새(F. japonica Makino): 높이 35-70, 줄기는 가냘프고 밀생한다. 잎혀는 막질로 길이 0.8이다.

개묵새(F. takedana Ohwi): 높이 30-60, 줄기는 밀생, 가냘프고 털이 없다. 잎몸은 회록색, 선형, 끝이 날카롭고 뾰족하며, 윗부분에 털이 없고, 잎 뒷부분에 흔히 연모가 있다.

지리산김의털(var. chiisanensis Ohwi): 높이 10-17, 줄기는 밀생한다. 잎몸은 털이 없고, 녹색이며 접힌다.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꾸러미풀(2)  (0) 2025.04.03
시베리아잠자리피  (0) 2025.04.02
왕포아풀(2)  (0) 2025.04.02
향모  (0) 2025.03.31
구주개밀(2)  (0)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