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32

대만겨울딸기(추정)

대만겨울딸기(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16489대만겨울딸기(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2289겨울딸기(2)https://daehyo49.tistory.com/7814333겨울딸기(1)https://daehyo49.tistory.com/7808453 안내 표찰에  겨울딸기로 되어 있지만 대만겨울딸기Rubus rolfei인듯 싶다 학명 : Rubus rolfei S.Vidal 분류 : 장미과 (Rosaceae)중국어명 : 高山悬钩子(고산현구자)  사진 : 2022.12.08 광릉수목원   잎 표면에 수포 모양 돌기가 있는 (bullate) 점이 특징으로 보인다   FOC  Rubus rolfei S. Vidal, Phan. Cuming..

장미과 2025.01.21

수정목

수정목 https://daehyo49.tistory.com/7816488수정목(꽃과 열매)(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896 호자나무(3)https://daehyo49.tistory.com/7814286호자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1895호자나무(1)(호자나무와 수정목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8359  학명 : Damnacanthus major Siebold & Zucc.분류 : 꼭두서니과 (Rubiaceae)즁국어명 : 大卵叶虎刺일어명 : オオアリドオシ(大蟻通し) 참고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ooaridoosi.htmlhttps://matsue-ha..

무주나무

무주나무https://daehyo49.tistory.com/7816487무주나무(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378 학명: Lasianthus japonicus Miq.분류: 꼭두서니과(Rubiaceae)일어명: ルリミノキ(瑠璃実の木)중국어명: 日本粗叶木 사진 : 2025.01.14 서귀포 남원읍 고살리숲길  언급은 되어 있지 않지만 측맥이 弧形으로 굽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설명  한라산 남쪽 계곡 상록수림 밑에 매우 드물게 높이 1~1.5m가량 자라는 상록 떨기나무이다. 가지는 가늘고 길며, 햇가지에 나는 짧은 털은 나중에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으로 길이 8~15cm, 폭 2~4c..

무엽란

학명 : Lecanorchis japonica Blume분류 : 난초과 (Orchidaceae) 일어명 : ムヨウラン (無葉蘭)중국어명 : 盂兰(우란) 참고 사이트https://ymkr-okurimono.sakura.ne.jp/plants/angiosperm/f70202_ran/muyouran.htmlhttps://hanasakiyama.web.fc2.com/ran/sp/Muyouran.htm  사진 : 2025.01.14 서귀포 남원읍 고사리숲길    국생지 분포일본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완도군; 한라산)생육환경홍도의 동백나무 숲속에서 자란다.생육형무엽균근식물, 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는 20-40㎝.잎잎이 없고 몇 개의 초상엽이 있다. 초상엽은 다소 막질로서 길이 5-8mm이며 밑부분에서는 초가 생기..

난초과 2025.01.21

소철

학명 : Cycas revoluta Thunb.분류 : 소철과 (Cycadaceae)일어명 : ソテツ(蘇鉄)중국어명 : 苏铁(소철)영어명 : Sago palm  사진 : 2025.01.14  서귀포  아래는 종자 모습   국생지분포일본; 제주특별자치도 식재.생육환경▶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뜰에서도 자라지만 기타 지역에서는 온실이나 집안에서 재배한다.생육형상록 침엽 관목 또는 소교목.크기높이 1.5 ~ 5m.잎끝에서 많은 잎이 돌려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어긋나기하며 선형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리고, 길이와 폭이 각 8 ~ 20cm × 5 ~ 8cm이다.꽃꽃은 암수딴그루로서 수배우체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0 ~ 60cm, 폭 10 ~ 13cm로서 많은 씨앗바늘로 된 구과형이며 비늘조각 뒤..

기타 과 2025.01.19

밀화부리

학명 : Eophona migratoria Hartert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 /되새과(Fringillidae)영어명 : Chinese grosbeak, yellow-billed grosbeak, or black-tailed hawfinch   사진 : 2025.01.13 제주 애월 펜션 유리창에 부딛혀 죽은 것이다    Daum 백과 설명  요약참새목 되새과에 속하며 한국 전역에 분포하는 흔한 여름새. 일본과 필리핀, 한국 등이 원산지이고, 야산과 공원, 산림 등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두충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17~19cm 정도이고, 무게는 42~55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개요조강 참새목 되새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Eophona m..

2025.01.18

흰배지빠귀

학명 : Turdus pallidus Gmelin분류 : 참새목(Passeriformes)/지빠귀과(Turdidae)영명 : Pale Thrush 사진 : 2025.01.13 제주 애월 유리창에 부딛혀 죽은 것이다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역의 평지, 산림, 산지, 공원 등지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해외분포 :우수리, 아무르천 하류에서 번식하고, 대만, 중국, 일본에서 월동한다.특징 : 여름철새  형태크기: 약 23.5~25cm 정도의 크기이다.채색과 무늬: 수컷은 머리가 올리브색을 띤 시멘트색이다. 기타 몸 윗면은 붉은 올리브 갈색이다. 턱밑은 흰색이고, 뺨, 귀깃, 턱 아래 부위는 잿빛이다. 윗가슴은 올리브 잿빛 갈색이며, 옆구리는 엷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배 옆은 올리브 잿빛 갈색이며, ..

2025.01.18

나도물통이(2)

나도물통이(2)https://daehyo49.tistory.com/7816482나도물통이(1)https://daehyo49.tistory.com/7808122   학명 : Nanocnide japonica Blume분류 : 쐐기풀과 (Urticaceae)일어명 : カテンソウ(花点草)중국어명 : 花点草  참조 사이트https://matsue-hana.com/hana/katensou.htmlhttps://mikawanoyasou.org/data/katensou.htm  사진 : 2025.01.13 제주 애월 납읍리 금산공원    국생지 분포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백양산의 산록 음지에서 자란다.생육환경산록 음지에서 자란다.생육형여러해살이풀크기높이가 10-20cm 정도로 자란다.잎잎은 어긋나기하며 선형 또는 ..

쐐기풀과 2025.01.18

옥산호(예루살렘체리,옥천앵두)(2)

옥산호(예루살렘체리,옥천앵두)(2)https://daehyo49.tistory.com/7816481옥산호(예루살렘체리,옥천앵두)(1)https://daehyo49.tistory.com/7809057 학명: Solanum pseudocapsicum L.분류; 가지과(Solanaceae)학명 풀이:Solanum: 위로, 진정(마취시키는 특성 가리킴)pseudocapsicum: 그리스어 pseud 'false'; kapto 'to bite' 로 ‘고추’를 가리킴국표식 등재 국명: 옥천앵두국내 유통명: 옥산호; 예루살렘체리(옥천앵두)중국어명 : 珊瑚樱일어명 : タマサンゴ(玉珊瑚,別名:フユサンゴ)영명: Jerusalem Cherry, Madeira Winter Cherry  사진 : 2024.01.13 제주 애월..

가지과 2025.01.18

땅채송화

땅채송화https://daehyo49.tistory.com/7816480돌채송화https://daehyo49.tistory.com/7816055땅채송화/돌채송화/오까다이도고메 비교(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3339땅채송화와 돌채송화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056  학명 : Sedum oryzifolium Makino분류 : 돌나물과 (Crassulaceae)  사진 : 2025.01.13 제주 애월 상가리    돌채송화/땅채송화/오까다이도고메 3종 특징 비교 돌채송화: 줄기 정상에 꽃이 달린다. 땅채송화보다 약간 잎이 길고 잎의 간격이 다소 엉성하다땅새송화: 측생지에 꽃이 달린다. 잎 끝이 둥글고 입상돌기가 없다. 돌채송화보다..

돌나물과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