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과 44

새끼꿩의비름(2)

새끼꿩의비름(2)https://daehyo49.tistory.com/7813942새끼꿩의비름(1)https://daehyo49.tistory.com/7808712 학명 :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Ohba분류 : 돌나물과 (Crassulaceae)  사진 : 2022.09.18 가평 용수동   아래 : 2022.09.28 화악산   아래 : 2022.09.25 곰배령  아래 : 2022.10.21 파주 적성면     아래 : 2023.03.31 파주 진동  아래는 추정이다   아래 : 2023.09.30 가평 용추계곡      아래 : 2023.10.20 파주 진동 하포리      아래 : 2024.11.01 명지산         국생지 분포러시아, 중국 동북부 등 ..

돌나물과 2022.10.01

거미바위솔

학명 : Sempervivum arachnoideum L. 분류 : 돌나물과(Crassulaceae) 학명 풀이 : Sempervivum : always living arachnoideum : spidere's web 사진 : 2022.07.07 평강식물원 아래 : 2022.08.20 화성우리꽃식물원 아래 : 2020.05.28 평강식물원 위키 설명 Sempervivum arachnoideum, the cobweb house-leek,[1] is a species of flowering plant in the family Crassulaceae, native to European mountains, in the Alps, Apennines and Carpathians. Growing to 8 cm (3 ..

돌나물과 2022.08.17

연화바위솔(1)

연화바위솔(1)https://daehyo49.tistory.com/7813482바위솔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486    학명 : Orostachys iwarenge (Makino) H.Hara분류 : 돌나물과 (Crassulaceae)   사진: 2022.03.12 세종식물원   아래 : 2022.07.29  한택식물원 한국속식물지속검색표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    2. 잎은 주걱형, 녹색을 띤 백색이고, 표면에 자색 반점이 없다.        수술은 황색이다        ...............................................              O. iwarenge 연화바위솔   2. 잎은 난형 또는 주걱형, 녹색 또는..

돌나물과 2022.03.14

큰꿩의비름 품종 'Autumn Joy'

학명 : Hylotelephium spectabile 'Autumn Joy 학명 이명 : (국표식) Sedum spectabile 'Autumn Joy' 영어 인터넷 상에서는 학명을 Hylotelephium telephium ‘Autumn Joy’로 표기한 곳도 있다 아래 설명 참조 분류: Crassulaceae 사진: 2021.09.25 서울식물원 Botanical Names Hylotelephium telephium 'Herbstfreude' (‘Autumn Joy’), formerly Sedum telephium ‘Autumn Joy’ Common Names Autumn Joy, Autumn Joy stonecrop, stonecrop, sedum, rock moss, gold chain Plant..

돌나물과 2021.10.23

돌나물

돌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3100말똥비름https://daehyo49.tistory.com/7810447대구돌나물 https://daehyo49.tistory.com/7811414멕시코돌나물https://daehyo49.tistory.com/7810405돌나물속 Sedum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861  학명 : Sedum sarmentosum Bunge분류 : 돌나물과(Crassulaceae) 학명 풀이SedUm : sedentary, to sitsarmentosum : Producing a runner  사진: 2021.06.21 소무의도  꽃은 5수성으로 꽃잎, 꽃받침 5장, 수술 10개이고 꽃잎이 꽃받침보다 약간 ..

돌나물과 2021.07.08

좀바위솔

학명 : Orostachys minuta (Kom.) A.Berger 분류 : 돌나물과 (Crassulaceae) 사진: 2020.10.06 석모도 해명산 아래 : 2021.10.12 철원 한탄강 아래 : 2020.05.20 강화도 국생지 분포 중국 / 강원, 경기, 경북, 전남 산 정상의 바위틈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고산 바위 위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15cm. 잎 잎은 비늘 모양으로 긴 타원형이고 끝이 송곳 끝 같으며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꽃 꽃은 9-10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모여서 이삭꽃차례 모양으로 조밀하게 늘어서고 길이 3-4cm이다. 포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곁꽃잎은 5장으로 긴 타원형이고, 수술은 10개로 자홍색이며 곁꽃잎과 길이가 같다. ..

돌나물과 2020.10.15

애기기린초(1)

애기기린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2149 기린초 속 종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861 학명: Phedimus middendorffianus (Maximowicz) 't Hart in 't Hart & Eggli, /국생지의 학명 Sedum middendorffianum Maxim. 은 이명 처리 분류: 돌나물과 (Crassulaceae) 사진: 2018.07.07 우슬린 아래 : 2023.11.10 세종식물원 국생지 분포 동북아시아 / 강원특별자치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생육환경 해발 800m이상의 높은 산에 강한 광선이 비추는 건조한 바위 위에 주로 얹혀서 산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20cm가량 된다. ..

돌나물과 2018.08.19

바위돌꽃

참조 좁은잎돌꽃과 바위돌꽃의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12068 골돌을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좁은잎돌꽃과 바위돌꽃의 구분점이 명확하지 않아 종 동정에 자신은 없지만 바위돌꽃으로 일단 올린다. (라노님은 바위돌꽃은 잎이 분백색을 띤다하였지만 어디에 근거를 둔 것인지?) 학명: Rhodiola rosea L.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중국어명: 红景天 사진: 2018.07.08 백두산 서파 아래: 2018.07.07 백두산 서파 아래: 2018.07.06 백두산 북파 FOC 설명 Rhodiola rosea Linnaeus, Sp. Pl. 2: 1035. 1753. 红景天 hong jing tian (설명) Roots erect, robust. Caudex ..

돌나물과 2018.07.29

좁은잎돌꽃

학명: Rhodiola angusta Nakai 분류: 돌나물과(Crassukaceae) 중국명: 长白红景天 사진: 2018.07.07 백두산 서파 국표식에 등재된 돌꽃속 Rhodiola angusta Nakai 좁은잎돌꽃 Rhodiola rosea L. 바위돌꽃 Rhodiola elongata (Ledeb.) Fisch. & Mey. 돌꽃 Rhodiola ramosa Nakai 가지돌꽃 Rhodiola rhodantha (A. Gray) Jacobsen 왕관돌꽃 (북미산의 재배종) → 양성화임 https://en.wikipedia.org/wiki/Rhodiola_rhodantha 참조 FOC와 The Plant List를 참조한 정명; 이명 처리 결과 Rhodiola elongata (Ledeb.) F..

돌나물과 2018.07.16

꿩의비름(2)

큰꿩의비름(2)(꿩의비름과 큰꿩의비름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653큰꿩의비름(1)(꿩의비름속 종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7507꿩의비름(2)https://daehyo49.tistory.com/7811616꿩의비름(1)https://daehyo49.tistory.com/7809835 학명 :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H.Ohba분류 : 돌나물과 (Crassulaceae)  사진: 2017.08.27 구룡령          큰꿩의비름은 잎이 주로 대-윤생이고 엽형은 도란형-주걱형,수술은 화관 밖으로 초출하나꿩의비름은 잎이 주로 호-대생이고 엽형은 장타원형,수술은 화관 밖으로 초출하지 않는다..

돌나물과 2017.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