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과 44

멕시코돌나물

학명: Sedum mexicanum Britton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일어명: メキシコマンネングサ 사진: 2014.06.01 플로라조사지역                      설명 식물체에 털이 없고 다육질의 다년생 초본이다. 줄기는 기부에서 낮게 자라면서 가지를 치고 위쪽은 곧게 자라며, 높이 10-25cm이고, 옆으로 절단해보면 원형이다. 잎은 잎자루가 없고 3-5개가 돌려나기를 하며 꽃이 달리는 가지는 어긋나기이다. 잎사귀는 선형으로 길이 13-20mm, 나비 2-3mm로 다육질이고 광택이 있으며 끝이 둔두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황색이고 꽃자루가 거의 없으며 취산화서를 만든다. 화서는 3개 내외의 가지를 만들..

돌나물과 2014.06.12

땅채송화와 돌채송화

돌채송화https://daehyo49.tistory.com/7816055땅채송화/돌채송화/오까다이도고메 비교(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3339땅채송화와 돌채송화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056  1) 땅채송화 학명: Sedum oryzifolium Makino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학명 풀이: Sedum:: Sedentary, to sit oryzifolium:  (oryza: 벼, 쌀 ; folium: 잎 -‘ 잎의 형태가 쌀  모양 같다 ’ ?) 일어명:  タイトゴメ 사진: 2013.05.17 울릉도            2) 돌채송화 추정 아..

돌나물과 2013.06.11

꿩의비름(1)

꿩의비름(2)(꿩의비름과 큰꿩의비름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653큰꿩의비름(1)(꿩의비름속 종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7507꿩의비름(2)https://daehyo49.tistory.com/7811616꿩의비름(1)https://daehyo49.tistory.com/7809835   학명: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H.Ohba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학명 풀이: Hylotelephium: From the Greek hyle (a wood) and telephium (succulent), referring to the plant's preference for shade ..

돌나물과 2013.02.04

둥근잎꿩의비름(2)(꿩의비름속과 기린초속의 구별)

둥근잎꿩의비름(3) https://daehyo49.tistory.com/7815726 둥근잎꿩의비름(2)(꿩의비름속과 기린초속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9653 둥근잎꿩의비름(1) https://daehyo49.tistory.com/7807523 학명: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Ohba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학명 풀이: Hylotelephium : From the Greek hyle (a wood) and telephium (succulent), referring to the plant's preference for shade 사진: 2012.09.08 문경 묘적암 아래 : 2021.10.06 강원도립화목원 ..

돌나물과 2012.09.27

섬기린초(1)

섬기린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4008 섬기린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08839 기린초 속 종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861 학명: Sedum takesimense Nakai / Phedimus takesimensis (Nakai) 't Hart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국명 이명: 을릉기린초 섬기린초는 잎이 주걱형- 도피침형이고 줄기와 뿌리가 굵고 튼튼하며 하부에서 분지하며 줄기는 복와성이다 사진 : 신구대학식물원 아래: 2018.11.11 인천대공원 톱니는 상반부에만 있다 아래 : 2022.07.29 세종식물원 섬기린초는 잎 상반부에만 거치가 있다 동속식물: 가는기..

돌나물과 2011.11.21

기린초(1)

기린초(3)https://daehyo49.tistory.com/7816173기린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5448기린초(1)https://daehyo49.tistory.com/7808836기린초 속 종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0861 학명: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 (FOC) Phedimus kamtschaticus (Fischer) 't Hart in 't Hart & Eggli* 아래는 일본에서 쓰는 학명이다(정명) Phedimus aizoon (L.) 't Hart var. floribundus (Nakai) H.Ohba (일본에서의  synonym)Sedum aizoon L. subs..

돌나물과 2011.11.21

세잎꿩의비름(추정)

학명: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Ohba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학명 풀이: Hylotelephium: From the Greek hyle (a wood) and telephium (succulent), referring to the plant's preference for shade verticillatum : 윤생하는 세잎꿩의비름과 새끼꿩의비름은 잎과 꽃은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 차이는 새끼꿩의비름은 육아가 생기고 세잎꿩의비름은 육아가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다. 에서는 꽃받침의 형태를 달리 기술하고 있으나 사실과 부합되는 기술인지 알 수 없다. 또 세잎꿩의비름은 줄기가 암자색을 띤다고 하였고, 아래에 올린 사진에서도 그 점이 확인되나 그 점이 ..

돌나물과 2011.11.19

새끼꿩의비름(1)

새끼꿩의비름(2) https://daehyo49.tistory.com/7813942 새끼꿩의비름(1) https://daehyo49.tistory.com/7808712 학명: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Ohba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학명 풀이: Hylotelephium: From the Greek hyle (a wood) and telephium (succulent), referring to the plant's preference for shade viviparum: Live bearer; bears live young 국명 이명: 싹눈꿩의비름 엽액에 육아가 뚜렷하다 아래 사진: 2012.09.16 가평 아래: 2019.09.09 화악산 아래 : ..

돌나물과 2011.10.04

낙지다리(1)

낙지다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5506 낙지다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318 학명: Penthorum chinense Pursh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신) 낙지다리과 (Penthoraceae) 학명 풀이: Penthorum: Five(꽃잎, 꽃받침이 모두 5개 인것 가리킴) 동속식물: - 중국어명 : 扯根菜 아래: 2019.09.01 창동 중랑천 아래 : 2021.08.08 난지도 한강변 설명: 잎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길이 3-11cm, 폭 1cm이내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막질이다. 열매 삭과는 홍갈색이고 9월에 익어 심피가 붙어 있는 부분의 위쪽이 떨어져 벌..

돌나물과 2010.09.07

바위채송화(유사종 비교표)

학명: Sedum polytrichoides Hemsl. 분류: Crassulaceae(돌나물과) 학명풀이: Sedum: Sedentary, to sit polytrichoides: poly ‘ 많은’ trichoides ‘털 같은’ 사진: 2008.07.28 아래 : 2010.07.29 꽃받침의 길이는 꽃잎의 1/2(또는 그보다 야간 작다) 정도로 보인다. 아래 : 2011.05.14 아래 : 2021.08.06 가평 용추계곡 설명: 잎 잎은 호생하며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15mm, 폭 1.2-2.5mm로서 편평한 육질이고 밑부분은 자주색이며 엽병이 없다. 열매 열매는 5개이고 길이 8-9mm로서 둥근 피침형인 골돌이다. 꽃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화경(花梗)이 없고 가지 끝에..

돌나물과 201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