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아재비과 173

남바람꽃(남방바람꽃)

학명: Anemone flaccida F.Schmit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laceae) 학명 풀이: Anemone : Wind; or possibly corrupted from Hebrew referring to the lament for slain Adonis, whose blood produced the red Adonis or Anemone coronaria flaccida: weak 국명 사용에 대해: 한동안 남방바람꽃이라 불렀으나 최근에 최초로 이 종을 발표한 분인 박만구 선생님이 남바람꽃으로 명명하였던 것이 드러나 요즘에는 남바람꽃으로 부르고 있다. 사진: 2013.04.21 전남 ***산 설명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설명을 종합함 습기가 조금 많은 숲 속에서 무리를 지어 자란다. 남부..

나도바람꽃(2)

바람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8220 나도바람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9969 나도바람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10349 나도바람꽃(3) https://daehyo49.tistory.com/7808137 바람꽃 종류들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7909 학명: Enemion raddeanum Regel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laceae) 학명 풀이: Enemion: 그리스어에서 anemone의 다른 이름 raddeanum : Named for Gustav Ferdinand Richard Radde, 19th century German na..

Eranthis hyemalis

학명: Eranthis hyemalis Salisb.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풀이: Eranthis : From the Greek er (spring) and anthos (flower), referring to the early-blooming nature of this spring flower hyemalis: Alternate spelling of hiemalis, from the Latin hiems, meaning winter, winter-flowering 국내 소개명: 히에말리스너도바람꽃/겨울바람꽃 사진: 2014.3.14 천리포수목원 위키 설명: Eranthis hyemalis is a species of flowering plant in the butterc..

금매화

큰금매화(2)https://daehyo49.tistory.com/7816208큰금매화(1) (금매화 종류 검색표와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07405금매화https://daehyo49.tistory.com/7810212 * 아래 백두산 지역에서 찍은 금매화는 애기금매화일 가능성도 있음  학명: Trollius ledebourii Rchb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laceae)학명 풀이:Trollius : From a German word Trollblume meaning round or globeledebourii  : Named for Karl Friedrich von Ledebour, 19th century German botanist 사진: 2018.07...

자주종덩굴

학명: (국생지) 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Pall.) Kuntze/ (FOC) Clematis sibirica var. ochotensis (Pallas) S. H. Li & Y. H. Huang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풀이: Clematis: 그리스어 ‘vine, climbing' alpina: 고산의 ochotensis: ? 중국어명 : 半钟(종)铁线莲 일어명: ミヤマハンショウズル 사진: 2013. 07.26 백두산 지하산림 아래: 2018.07.06 백두산 지하산림 설명 잎 소엽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2.5~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때로 2~3개로 깊이 갈라진다. 엽병은 길고 솜털이 약간 있..

섬노루귀(1)

섬노루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005 섬노루귀(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49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학명: Hepatica maxima (Nakai) Nakai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풀이: Hepatica: From hepar, liver; referring to its supposed curative properties maxima: 가장 큰 사진: 2013.05.16 -05.17 울릉도 아래; 2022.07.16 광릉수목원 동속식물 노루귀 Hepatica asiatica Nakai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Nakai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Nakai) N..

나도바람꽃 (1)

바람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8220 나도바람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9969 나도바람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10349 나도바람꽃(3) https://daehyo49.tistory.com/7808137 바람꽃 종류들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7909 학명: Enemion raddeanum Regel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풀이: Enemion: ? raddeanum: Named for Gustav Ferdinand Richard Radde, 19th century German naturalist who explore..

할미꽃

학명: (국생정) 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ex Nakai / (국립생물자원관) Pulsatilla cernua var. koreana (Yabe ex Nakai) U. C. La / (FOC) Pulsatilla cernua (Thunberg) Berchtold & Presl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풀이: Pulsatilla : Pulsates with the wind(바람에 진동하다, 떨다) 중국어명: 朝鲜白头翁 사진: 2013.03.06 진도 아래: 2016.07.31 만주 돈화 아래: 2019.04.20 경기 광주 무갑산 아래 : 2020.04.27 마차산 동속식물: 가는잎할미꽃 Pulsatilla cernua (Thu..

세뿔투구꽃 (멸종위기식물 2급. 한국특산)

학명: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풀이: Aconitum: 맹독 austrokoreense: austro ‘남부 지방의’ + koreense ‘한국’ 국명 이명: 금오오돌또기, 미색바꽃 사진: 2012.11.08 경북 ** 산 멸종위기식물이라 사진 찍은 곳은 밝히지 않는다 풀이 잎 잎은 길이 6-7cm, 폭 5-6cm로서 오각형 또는 삼각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3개로 갈라진 다음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진 다음 각 열편의 끝이 결각상으로 갈라진다. 중앙부의 잎은 5개로 중열되며 열편은 마름모모양으로서 서로 겹치고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삼각형이 되고 엽병도 짧아지며 끝이 뾰족해진..

승마(1)(승마속 검색표)

승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534 승마(1) (승마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697 학명 : (구) Cimicifuga heracleifolia Kom./(신) Actaea heracleifolia (Kom.) J.Compton 분류 : Ranunculaceae 사진: 2012.10.24 **** 승마라고 하여 사진을 찍고 채집한 것이다.승마는 만니기 어렵다고 하는데 운좋게 만남 셈이다. 꽃이 피어 있는 개체에서 수술은 뚜렷하게 보이는데 암술은 어디 있는 것일까? 승마에 대해서는 좀 더 종의 특징을 잘 나타내도록 각종 도감의 기재문을 보완했으면 좋겠다. 아래 : 2021.08.31 광릉수목원 줄기의 아래쪽은 2회3출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