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아재비과 173

세복수초(1)

세복수초(1)https://daehyo49.tistory.com/7811974개복수초(1)(복수초 종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7798 학명 : Adonis multiflora Nishikawa & Koki Ito분류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일어명: ミチノクフクジュソウ(陸奥福寿草)중국어명: -국명 이명: 은빛복수초   사진: 2018.04.05 제주도 관음사       복수초, 개복수초에 비해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느낌이다               세복수초는 꽃받침이 꽃잎 길이의 1/2 정도로 짧고 너비는 꽃잎보다 좁다개복수초는 꽃받침은 꽃잎보다 짧고 너비는 꽃잎보다 넓다복수초는 꽃받침이 꽃잎 길이와 엇비슷하거나 길다     아래 : 2024.0..

참으아리

큰꽃으아리(1)(큰꽃으아리와 위령선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8189으아리(1)(열매)https://daehyo49.tistory.com/7808745으아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4123외대으아리(1)https://daehyo49.tistory.com/7809572외대으아리(2)https://daehyo49.tistory.com/7810500참으아리https://daehyo49.tistory.com/7811743참으아리와 으아리 (특징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8245   학명: Clematis terniflora DC.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사진: 2017...

꽃꿩의다리

꿩의다리속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760꿩의다리속 부위별 세밀화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1677꿩의다리 유형의 수과, 수술, 암술 세밀화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2083 학명 : Thalictrum petaloideum L.분류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중국어명 : 瓣蕊唐松草 일어명 : ハナカラマツ 사진: 2017.09.24 정선                아래: 2018.06.27 내몽골 버거툰                 아래 : 2024.07.27 영월 장릉 물무리골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잎 잎은 2-3회우상복엽 또는 3출엽이며 최종소..

자주사위질빵(1)

자주사위질빵(1) https://daehyo49.tistory.com/7811590 학명 : Clematis takedana Makino 분류 : 미니리아재비과(Ranunclaceae) * 학명의 문제점에 대해 이 종은 2013년에 문애라 등이 ' Journal of Asia_Pacific Biodiversity, Vol. 6 No. 4'에 한국 미기록종으로 발표한 종이다. 그러나 Clematis takedana 는 일본에서 C. apiifola(사위질빵)과 일본산 자주조희풀인 C. natans의 잡종으로 이해된 것인데 대하여 우리나라에서는 C. natans가 발견되지 않고 있어 아래 사진의 종을 C. takedana로 발표한 것은 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진: 2017.08.25 경기도 ** 아..

풍도의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16005 변산바람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7792 풍도의 변산바람꽃 https://daehyo49.tistory.com/7811283 사진: 2017.03.09 풍도 변산바람꽃과 풍도의 변산바람꽃 비교 변산바람꽃 풍도의 변산바람꽃 풍도의 변산바람꽃이 변산바람꽃보다 꽃받침과 녹색 밀선(꽃잎)이 조금 더 크다는데 의미있는 차이는 아닌 것 같다.

투구꽃(3)

투구꽃(4)https://daehyo49.tistory.com/7816437투구꽃(3)https://daehyo49.tistory.com/7811019투꾸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0622투구꽃(1)(초오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765  학명:Aconitum jaluense Kom. subsp. jaluense분류: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일어명:コウライブシ(Korai-bushi) 사진: 2016.07.29  만주                        아래: 2017.09.24 정선        소열편은 난형 -좁은난형이다           아래: 2020.09.29 고대산 평화의 길 소화경의 털 소화..

노랑투구꽃(2)

초오속Aconitum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8765 노랑투구꽃(1) http://blog.daum.net/daehyo/7810628 학명: Aconitum sibiricum Poir.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사진: 2016.07.29 만주 국생지 분포 중국 / 한국(강원도 정선군, 태백시)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산지에 자란다. 크기 높이 1-1.5m이다. 잎 잎은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매우 길며 퍼진 털이 있고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3개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다시 깊게 갈라져서 마치 5개로 갈라진 것 같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며 표면에 꼬부라진 털이 나고 뒷면 맥위에 긴 털이 밀생한다. 꽃 꽃은 9월에 피며 황색이고 ..

큰꿩의다리(1)

큰꿩의다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10949 좀꿩의다리(1) (큰꿩의다리와의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632 좀꿩의다리와 큰꿩의다리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631 산꿩의다리(꿩의다리속 식물들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760 학명: (FOC) Thalictrum minus var. kemense L. /(우리나라) Thalictrum kemense Fr . 학명 이명: Thalictrum kemense Fries, Fl. Hall. 95. 1817; T. kemense var. stipellatum C. A. Meyer ex Maximowicz; ..

좁은잎사위질빵

학명: Clematis hexapetala Pall.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일어명: ホソバシロクサボタン 사진: 2015.06.27 서산 아래: 2013.07.28 중국 아래: 2017.08.19 서산 아래 : 2018.06.27 내몽골 자란툰 설명 잎 잎은 대생하며 우상복엽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3출엽이고 줄기 밑부분의 잎은 2-3개의 깊은 결각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이며 첨두 또는 미철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5-9cm, 폭 7-15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잔털이 있거나 없다. 열매 수과는 납작하고 난형이며 길이 4mm정도이고 견모로 덮이며 백색털이 밀생한 길이 2cm정도의 암술대가 달려 있고 9월에 익는다. 꽃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2.4c..

왜젓가락나물(왜젓가락풀)(1)

왜젓가락나물(2)https://daehyo49.tistory.com/7815430왜젓가락나물(1)https://daehyo49.tistory.com/7810681왜미나리아재비(1)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1992 학명 : Ranunculus silerifolius H. Léveillé학명 이명:  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종전에 쓰던 학명은 이명으로 처리하고 이명으로 쓰던 것을 정명으로 하였다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일어명: キツネノボタン(狐の牡丹)중국어명 : 钩柱毛茛국명 이명 : 왜젓가락풀(국립생물자원관의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는  이 이름으로 올렸다)참조 사이트 https://mat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