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의귀과 94

구름범의귀

학명 : 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 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 중국어명: 长白虎耳草 사진: 2018.07.07 백두산 서파 아래: 2018.07.06 백두산 북파 사진: 2018.07.05 북파 분포 ▶중국에 분포한다. ▶평안도 및 함경도 등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고산대의 산 중복이상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25cm정도로 자란다. 잎 근생엽은 모여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긴 거꿀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1-3cm, 폭 4-10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뾰족한 톱니가 5-11개 있다. 꽃 꽃대는 잎이 없고 끝에서 산방상 취산꽃차례가 발달하며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cm정도로서 백색이며..

범의귀과 2018.08.07

톱바위취(2)

톱바위취(1)(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381 사진 참조 사이트 http://www.plantphoto.cn/sp/219125 학명 : (국생지) Saxifraga punctata L. /(FOC) Saxifraga nelsoniana D. Don, 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 중국어명 : 斑点虎耳草 사진: 2018.07.07 백두산 서파 아래: 2018.07.04 중국 선봉령 국생지 설명 분포 ▶중국 동·북부,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깊은 산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20-50cm가량 자란다. 잎 근생엽은 3-10cm 길이의 엽병이 있고 콩팥모양 또는 신원형이며 길이 2-4cm, 폭 3-..

범의귀과 2018.08.07

괭이눈(1)

괭이눈(2)https://daehyo49.tistory.com/7813772괭이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2024괭이눈(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316한국산 괭이눈속Chrysoplenium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05괭이눈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08  학명: Chrysoplenium grayanum Maxim.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일어명: ネコノメソウ (猫の目草) 그동안 국내에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던 괭이눈이 최초로 발견되어 2018년 4월 29일 발표되었다 사진: 정귀동님이 보내주심           葉腋を..

범의귀과 2018.05.16

털말발도리(말발도리와 털말발도리 문제)

물참대(1) https://daehyo49.tistory.com/7808587 물참대(2)(말발도리와 물참대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607 물참대(3) https://daehyo49.tistory.com/7807341 물참대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1853 말발도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285 말발도리(2)(말발도리와 물참대 잎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809 말발도리(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84 말발도리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2612 털말발도리 http..

범의귀과 2017.10.07

누른괭이눈

한국산 괭이눈속Chrysoplenium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2405  학명 :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  사진: 2017.04.13  경기 가평  ***                              아래: 2021.04.22 가평 백둔리     아래: 2021.04.15 백봉산  아래 : 2022.04.21 포천 청계산    아래:  식물분류학회지 자료   A 털괭이눈 B 흰(털)괭이눈 C 금괭이눈 D 누른괭이눈    금괭이눈 유사분류군 분류  1. Stolons epigeal(지상성), leaves glabrous or pubescent on surface, seed   ..

범의귀과 2017.04.13

개병풍(1)

병풍쌈(2)https://daehyo49.tistory.com/7815099병풍쌈(1)(병풍쌈/어리병풍/개병풍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7649개병풍(1)https://daehyo49.tistory.com/7811132 학명 :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분류 : 범의귀과(Saxifragaceae) 학명 풀이 : Astilboides : 노루오줌을 닮은 tabularis : Flat(of or from Table Mountain in South Africa) 중국어명 : 大叶子 일어명 : フキモドキ 사진 : 2016.07.31 만주 이도백하 ..

범의귀과 2017.01.03

참바위취

바위떡풀 https://daehyo49.tistory.com/7808724 구실바위취(1) https://daehyo49.tistory.com/7808831 구실바위취(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46 참바위취 https://daehyo49.tistory.com/7810855 학명 :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분류 : 범의귀과(Saxifragaceae) 학명 풀이: Saxifraga : Rock breaker oblongifolia: 장타원형 사진: 2016.06.26 함백산 동속식물 구름범의귀 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 구실바위취 Saxifraga octopetala Nakai 바위떡풀 Saxifraga..

범의귀과 2016.06.27

말발도리(2)(말발도리와 물참대 잎 비교)

물참대(1) https://daehyo49.tistory.com/7808587 물참대(2)(말발도리와 물참대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607 물참대(3) https://daehyo49.tistory.com/7807341 물참대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1853 말발도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8285 말발도리(2)(말발도리와 물참대 잎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809 말발도리(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84 말발도리 겨울눈 https://daehyo49.tistory.com/7812612 털말발도리 http..

범의귀과 2016.05.21

애기괭이눈 근생엽

애기괭이눈(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88 애기괭이눈(2)(애기괭이눈과 가지괭이눈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8133 애기괭이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07908 애기괭이눈 근생엽 https://daehyo49.tistory.com/7810759 괭이눈속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405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 바위떡풀, 구실바위취, 애기괭이눈은 근생엽이 모두 비슷해 구별하기 힘들다. 바위떡풀은 톱니가 겹톱니이니까 제외되고 구실바위취는 단거치이지만 톱니..

범의귀과 2015.10.01

바위수국(1)

바위수국 겨울눈(1)https://daehyo49.tistory.com/7811834바위수국(1)https://daehyo49.tistory.com/7810752등수국(1)(수국종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09998 학명:Schizophragma hydrangeoides Siebold & Zucc.분류:범의귀과(Saxifragaceae)학명 풀이: :Schizophragma: split wall hydrangeoides : resemble hydranges 일어명:イワガラミ 사진: 2015.08.22 울릉도 아래: 2015.08.23 울릉도 아래: 2017.09.15 제주도 아..

범의귀과 2015.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