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의귀과 87

누른괭이눈(2)

한국산 괭이눈속 Chrysoplenium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2405누른괭이눈(2)https://daehyo49.tistory.com/7813761누른괭이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1362 학명 :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  사진 :  2020.04.23 용천스카이밸리    아래 : 2024.06.22 선자령        국생지분포중부 이북형태여러해살이풀생육환경깊은 산잎잎은 화경에서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난상 원형 또는 거의 둥글지만 화경 밑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꽃꽃..

범의귀과 2022.07.18

털고광나무(2)

얇은잎고광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8629 얇은잎고광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259 털고광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3057 털고광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3691 고광나무sp.(1) (고광나무 종류 검색표와 세밀화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766 고광나무 sp.(2)(흰털고광나무 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08588 고광나무sp.(3) https://daehyo49.tistory.com/7810702 학명 : Philadelphus schrenckii var..

범의귀과 2022.06.21

분홍말발도리

표지판에 품종 'Kalmiiflora'로 표시되어 있다 학명 : Deutzia purpurascens (Franch. ex L.Henry) Rehder 분류 : 범의귀과(Saxifragaceae)/수국과(Hydrangeaceae) 사진 : 2022.05.04 서울식물원 아래 : 2020.05.15 서울숲 아래 것이 학명. 국명에 어울린다 FOC Deutzia purpurascens (Franchet ex L. Henry) Rehder in Sargent, Pl. Wilson. 1: 19. 1911. 紫花溲疏 zi hua sou shu Deutzia discolor Hemsley var. purpurascens Franchet ex L. Henry, Jardin 8: 147. 1894. Shrubs 1-2..

범의귀과 2022.06.18

스카브라말발도리 (=둥근말발도리)(2)

스카브라말발도리 (1) http://blog.daum.net/daehyo/7810649 * 스카브라말발도리로 표지판에 안내되어 있지만 잎이 길어보여 의심이 간다 학명: Deutzia scabra Thunb.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수국과(Hydrangeaceae) 학명 풀이: Deutzia : 18세기 네델란드의 식물학 후원자 Johann van der Deutz scabra: rough 국표식 등재명 : 둥근말발도리 일어명: マルバウツギ 사진; 2022.03.03 푸른수목원

범의귀과 2022.03.05

돌부채(2)

돌부채(2)https://daehyo49.tistory.com/7813346돌부채(1)(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377돌부채손(1)(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380  학명 : Bergenia crassifolia (L.) Fritsch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국표식 국명: 돌부채, 꽃돌부채* 국표식에는 Bergenia crassifolia (L.) Fritsch에 대하여아래와 같이  돌부채와 꽃돌부채를 모두 정명으로 하였다 자생식물 정명 Bergenia crassifolia (L.) Fritsch 돌부채 재배식물 정명 Bergenia crassifolia (L.) Fritsch..

범의귀과 2021.12.21

바위취

학명 : Saxifraga stolonifera Meerb. 분류 : Saxifragaceae 사진 : 2021.06.06 도봉구 방학동 꽃잎 5개 중 위의 3개는 작고 적색 무늬와 그 밑에 황색 무늬가 있다. 아래 2개는 무늬가 없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2개로 자방 상부에서 합착된다. 자방 상반부는 황색 화반(밀반)이 에워싸고 있다 아래: 2021.07.07 망월사역 근처 아래 : 2021.07.16 집 종자에는 날개가 달려 있다. 아래 퍼온 사진의 종자 날개보다 날개 훨씬 더 커보인다. 국생지 분포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난다. 형태 상록 다년초 생육환경 ▶산간(山間) 음습한 곳에 난다. 크기 높이 약 60cm이다. 잎 잎은 근경에서 모여나기하고 콩팥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얕은 결각이 있고 ..

범의귀과 2021.06.21

털고광나무(1)

얇은잎고광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8629 얇은잎고광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5259 털고광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3057 털고광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3691 고광나무sp.(1) (고광나무 종류 검색표와 세밀화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766 고광나무 sp.(2)(흰털고광나무 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08588 고광나무sp.(3) https://daehyo49.tistory.com/7810702 학명 : Philadelphus schrenckii var..

범의귀과 2021.06.06

연노랑괭이눈

한국산 괭이눈속 Chrysoplenium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2405 학명 : Chrysosplenium aureobracteatum Y. I. Kim, & Y. D. Kim 분류 : 범의귀과(Saxifragaceae) 사진: 2021.04.28 연인산 아래: 2021.05.09 광덕산 아래: 2021.05.18 가평 용수동 아래 : 2021.07.01 가평 견치봉 이제는 무성지가 길게 포복하고 있다. 천마괭이눈(통칭 금괭이눈)은 꽃이 진 후에도 무성지가 발달하지 않고 천지괭이눈은 무성지가 아치형으로 뻗는다 Novon 지, Volume 23, Number 4, 2014에 발표된 아래 논문에 실린 것이다 Chrysosplenium aureobracteatum ..

범의귀과 2021.05.09

노루오줌(1)

노루오줌(1)https://daehyo49.tistory.com/7812595  학명 : Astilbe rubra Hook.f. & Thomson분류 : 범의귀과 (Saxifragaceae) 중국어명 : 腺萼落新妇 [妇 며느리 부]일어명 :オオチダケサシ(大乳茸刺) 사진: 2020.02.11 굴봉산              줄기, 화서, 엽병에 꼬불꼬불한 선모(crisped glandular hair)가 있다  열매는 2심피로 기부가 융합한다. 열매와 종자에 대해서는 한, 중, 일 어느 나라 자료에서도 상세한 설명을 구하기 어렵다.  종자의 모습이다. 길이가 약 1mm 정도로 보인다   아래 : 2021.10.25 선유도  아래 : 2022.07.25 한택식물원  아래 : 2022.08.16 춘천 굴봉산  ..

범의귀과 2020.02.18

바늘까치밥나무(1)

바늘까치밥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2411개앵도나무(1)(까치밥나무속 Ribes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7345  학명 : Ribes burejense F.Schmidt분류 : (구) 범의귀과(Saxifragaceae) /(신) 까치밥나무과 (Grossulariaceae)  사진: 2019.04.14 모처          아래 : 2024.04.11 여주 황학산수목원      FOC에선 열매(자방)에 융모가 없고 작은 황색 가시가 밀생한 것을var. burejense. 열매(자방)에 융모와 작은 황색 가시가 함께 밀생한 것을 var. villosum로 구분..

범의귀과 2019.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