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과 270

좀목포사초(2)(목포사초,좀목포사초, 큰청사초 구별)

좀목포사초(5) https://daehyo49.tistory.com/7815213 좀목포사초(4)(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13614 좀목포사초(3)(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13059 좀목포사초(2)(목포사초,좀목포사초, 큰청사초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3012 좀목포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2707 청사초절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558 학명 : Carex brevispicula G.H. Nam & G. Y. Chung * 좀목포사초는 그동안 Carex kamagariensis K. Okamoto ..

사초과 2021.05.07

꽃하늘지기

학명:  Bulbostylis densa (Wall.) Hand.-Mazz.분류:  Cyperaceae/ Bulbostylis (모기골속)중국어명 : 丝叶球柱草 일어명 : イトハナビテンツキ(糸花火点突) 참조 사이트http://plants.minibird.jp/hydrophytes/plants/shissei/a_gyou/itoHanabiTentsuki/itoHanabiTentsuki.html  사진: 2020.09.10 강화도 덕산   엽신은 실 모양   하늘지기속Fimbristylis과 모기골속Bulbostylis을 구분짓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수과에서 암술대 기부(주기)의 숙존 여부다. 주기가 남아 있으면 모기골속이고  주기가 탈락되면 하늘지기속이다       하늘지기속Fimbristylis과 모기골..

사초과 2020.11.08

고양이수염

골풀아재비속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09706 http://blog.daum.net/daehyo/7811112 (고양이 수염) 학명 : Rhynchospora chinensis Nees et Meyen 분류 : 사초과 일어명: イヌノハナヒゲ(犬の鼻髭) 중국어명 : 华刺子莞 영명 : spiked beaksedge 참조 사이트 http://plants.minibird.jp/hydrophytes/plants/shissei/a_gyou/inunoHanahige/inunoHanahige.html https://mikawanoyasou.org/data/inunohanahige.htm 사진: 2020.10.26 태안 FOC 설명 Rhynchospora chinensis Nee..

사초과 2020.11.04

덕산풀(추정)

안내한 분이 덕산풀이라 하였으나 덕산풀 Scleria rugosa var. onoei은 가시개올미 Scleria rugosa의 변종이기에 수과 모양은 가시개올미처럼 격자무늬가 뚜렷할 것으로 추정하기에 덕산풀로 이름 붙이기 어렵다. 또한 덕산풀은 잎, 줄기, 화서 등 전초에 잔털이 없이 매끈하다 하였는데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털이 있다. 그러나 같은 속의 너도고랭이와 가시개올미는 수과 표면이 격자무늬가 뚜렷하고 구실개올미는 수과 표면에 격자 무늬가 없어 매끈해보이나 확대해보면 수과 표면에 잔털이 있다. 따라서 그냥 덕산풀로 올린다. 학명 : Scleria rugosa var. onoei 분류 : 사초과 너도고랭이속 사진: 2020.10.26 태안 덕산풀에 대해서는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에 위에 언급한 것 ..

사초과 2020.11.03

검정방동사니

학명 : Fuirena ciliaris (L.) Roxb. 분류 : Cyperaceae 사진: 2020.10.26 태안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 설명 개화와 결실 : 7-9월 생활형 : 1년초 생육지: 남부 도서 지역 습지 줄기: 지하경은 짧고, 줄기는 모여나며, 40cm까지 자라고, 삼릉형으로, 홈과 잔털이 있고, 아래쪽이 1-2개의 엽초로 싸여 있다 잎: 줄기잎의 엽초는1-3.5cm, 엽설은 지저분한 홍색이고, 1-2mm, 막질이며, 구부는 자른 모양이다. 엽신은 선형으로 부드럽고 3맥이 있으며, 표면과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포엽: 잎 모양으로 화서보다 길고, 소포엽은 긴 가시 모양이고, 엽초가 없다. 화서: 1=3개의 소수 묶음으로 이루어진다. 소수: 닌형-장타원형으로 많은 소화가 달려 있고, 가..

사초과 2020.10.30

북사초(2)

북사초(5)https://daehyo49.tistory.com/7815185북사초(4)https://daehyo49.tistory.com/7813043북사초(3)https://daehyo49.tistory.com/7813042북사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2740북사초(1)(북사초절Racemosae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813백두사초https://daehyo49.tistory.com/7812436  학명 : Carex augustinowiczii Meinshausen ex Korshinsky분류 : Cyperaceae/ Carex/Sect. Racemosae중국어명 : 短鳞薹草일어명 : ヒラギシスゲ(平岸菅)  참조 사이..

사초과 2020.06.18

삿갓사초(2)

삿갓사초 유형 비교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511삿갓사초(1)https://daehyo49.tistory.com/7808275삿갓사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2735참삿갓사초(1)https://daehyo49.tistory.com/7807726참삿갓사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0513참삿갓사초(3)https://daehyo49.tistory.com/7813041참삿갓사초(4)https://daehyo49.tistory.com/7813060왕삿갓사초(1)https://daehyo49.tistory.com/7811228왕삿갓사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2185 ..

사초과 2020.06.12

별풍경사초(추정)

매자기님이 추정해주신 것이다 학명 : Carex maximowiczii Miq. var. levisacccus Ohwi 분류: Cyperaceae/ Carex/ Sect. Praelongae 일어명 : ホシナシゴウソ (星無長刀茅) 사진 : 2020.05.22 강화도 참조 사이트 mikawanoyasou.org/data/hosinasigouso.htm 일본어 인터넷 사이트 설명 ゴウソの変種で、ゴウソより全体に大きいものが多い。外観はゴウソと全く変わらない。和名のとおりホシナシゴウソの果胞には乳頭状突起がない。これに対し、ゴウソでは果胞の表面に細かい乳頭状突起があり、ビロード状にやや白っぽく見える。他の様子はゴウソと変わらない。鱗片には芒があり、痩果は円形で、レンズ状。 (번역) 왕비늘사초의 변종으로 왕비늘사초보다 전체적으로 큰 것이 많..

사초과 2020.06.03

그늘흰사초(1)

애기흰사초 https://daehyo49.tistory.com/7810680 애기흰사초 (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2736 그늘흰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2721 그늘흰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92 흰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0408 흰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0511 삿갓사초 유형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0511 학명 : Carex planiculmis Kom. 분류 : Cyperaceae/ Carex /Sect. Molliculae 학명 풀이 pla..

사초과 202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