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과 270

바늘골(3)

바늘골(3)https://daehyo49.tistory.com/7811659바늘골(2) (바늘골과 원산바늘골)https://daehyo49.tistory.com/7811080바늘골(1)https://daehyo49.tistory.com/7810492올방개 (바늘골속 Eleocharis 종 검색표와 비교표)http://blog.daum.net/daehyo/7808280바늘골속 수과 세밀화http://blog.daum.net/daehyo/7811656쇠털골(2)(쇠털골과 바늘골의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3969 학명: (국생지) Eleocharis pellucida J.Presl & C.Presl var. japonica (Miq.) Tang & F.T.Wang/ (벼..

사초과 2017.10.02

반들대사초

학명: Carex splendentissima U. Kang & J.M. Chung분류: 사초과(Cyperaceae)_ Carex splendentissima (Cyper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韓国産スゲ属(カヤツリグサ科)の1新種植物研究雑誌 巻:87 号:5 ページ:314-319 (2012年10月20日) 저자: 강우창, 정재민, 정승선, 이강협, 김진석   pdfs.semanticscholar.org/2193/310cbd9633986a5e58a031249fd579f9dda2.pdf?_ga=2.200070315.463901230.1590962960-1076002227.1590962960  사진: 2017.09.24  정선                   아래 : 2024.06..

사초과 2017.09.24

푸른방동사니(3) (유사분류군 검색표)

푸른방동사니(4) https://daehyo49.tistory.com/7813968 푸른방동사니(3) (유사분류군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1618 푸른방동사니(2) https://daehyo49.tistory.com/7809484 푸른방동사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459 학명: Cyperus nipponicus Franch. &Sav. 분류: 사초과(Cyperaceae) 일어명: アオガヤツリ 중국어명: 白鳞莎草 영명: Whitescale Galingale 사진: 2017.08.29 집 아래: 2017.09.28 연천 아래: 2019.08.24 창동 아래 : 2021.07.31 난지도 소수 인편으로 2열로 배열, (애기방..

사초과 2017.09.12

층실사초(1)

층실사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6216층실사초(1)https://daehyo49.tistory.com/7811561 학명: Carex remotiuscula Wahlenberg분류: 사초과/ Carex subg. Vignea  sect. Remotae 중국어명: 丝(실 사)引薹(사초 대)草 일어명: イトヒキスゲ 사진: 2017. 06.03 정선       소수는 자웅성이다(나도별사초, 층실사초, 타래사초, 별사초, 산사초)     아래 : 2023.07.25 광릉수목원      소수는  4-10여개 달린다. 위쪽의 3-5개의 소수는 모여 달리고 나머지는 떨어져 달린다   과낭은 자인편보다 길고 피침형- 난상피침형으로 약 3mm, 막질이다양면에 많은 맥이 뚜렷하게 보..

사초과 2017.08.11

화살사초(2)

도깨비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19 도깨비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603 화살사초(3) https://daehyo49.tistory.com/7815219 화살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1487 화살사초(1)(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234 학명 : Carex transversa Boott 분류: 사초과 사진: 2017.06.17 의령 참조 염주사초와 물꼬리사초 비교/유사분류군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1205 http://plants.minibird.jp/hydrophytes/plants/shi..

사초과 2017.06.28

민하늘지기(1)

학명: Fimbristylis squarrosa Vahl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학명 풀이: Fimbristylis : With a fringed style squarrosa : 1. Having scales or scale-like overlapping leaves or bracts 2. With parts spreading or recurved at the ends 사진: 2017.06.14 안성 아래: 2019.07.03 화성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개화와 결실 ; 8-10월 생활형 ;년초 생육지: 물빠진 저수지의 약간 모래가 섞인 진흙땅 줄기: 조밀하게 모여나고, 6-25cm, 눌리며, 아래쪽에 수 개의 잎이 달린다 잎: 줄기보다 짧고, 엽초는 담갈색으로 조밀하게 털이 있으며, 엽신이 ..

사초과 2017.06.16

융단사초(3)

곱슬사초(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233급슬사초(추정)https://daehyo49.tistory.com/7813650융단사초(3)https://daehyo49.tistory.com/7811232융단사초(2)https://daehyo49.tistory.com/7810706융단사초(1)(융단사초 유형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370   학명: Carex miyabei Franchet.분류: Cyperaceae / Sect. Carex  사진: 2016.05.04 서귀포 새섬  참조 : 융단사초  http://blog.daum.net/daehyo/7810370http://blog.daum.net/daehyo/7810706   ..

사초과 2017.02.15

천일사초(1)

천일사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18 천일사초(1) https://daehyo49.tistory.com/7811224 좀보리사초 (1)(천일사초절 Sect. Paludosae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720 학명 : Carex scabrifolia Steud. 분류: 사초과 학명 풀이: scabrifolia : 잎이 거칠거칠한 사진: 2016.05.04 제주도 새섬 참조 Sect . Paludosae 천일사초절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0720 아래 : 2022.06.14 청라국제도시 끝에 웅성 소수가 2-3개 달린다. 근경은 옆으로 뻗고 기부 엽초는 암자색이다 과낭은 자인편보다 길..

사초과 2017.02.12

층층고랭이

학명: Cladium jamaicence Crantz subsp. chinense (Nees) T. Koyama, /(국생지) Cladium chinense Nees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학명 풀이: Cladium: 그리스어 clados ‘branch’ 사진: 2016.05.04 제주도 새섬 아래: 2020.08.23 제주도 새섬 Cladium jamaicence Crantz subsp. chinense (Nees) T. Koyama, Stearn & L. H. J. Williams in H. Hara, Enum. Fl. Pl. Nepal. 1: 105. 1978. 克拉莎 ke la suo (학명 이명) Cladium chinense Nees in Hooker & Arnott, Bot. B..

사초과 2017.02.10

염주사초(염주사초와 물꼬리사초 비교/유사분류군 검색표)

학명: Carex ischnostachya Steud.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학명 풀이: ischnostachya : ischno ' thin, weak, withered' + stachya 'flower spike' 일어명 : ジュズスゲ(数珠菅) 중국어명 : 狭穗薹草 사진:2016.05.03 제주 베릿네공원 웅소수가 자소수보다 짧고 매우 가느다란 특징이 있다 아래: 2016.05.04 서귀포 포엽의 엽초가 분명히 보인다 , 물꼬리사초는 포엽의 엽초가 없다 과낭에서 자인편의 길이가 과낭의 1/2-1/3 정도이다. 물꼬리사초는 과낭과 자인편의 길이가 거의 같다 아래: 2016.05.04 서귀포 강정 염주사초는 아래 유형 중의 하나이다 선화 출처: 정종덕, 사초과식물의 이해와 분류, 2014 ..

사초과 2017.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