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형과 127

산기름나물(1)

기름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09557 기름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8057 산기름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12 산기름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787 가는기름나물(1)[기름나물속 Peucedanum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854 기름나물 sp. https://daehyo49.tistory.com/7811039 기름나물 종류 표본 사진 https://daehyo49.tistory.com/7812637 학명: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deltoideum Ma..

산형과 2013.01.03

무늬산미나리

학명: Aegopodium podagraria 'Variegatum' 분류: 산형과 (Umbelliferae) 학명 풀이: Aegopodium: 그리스어 aix ‘염소(goat)’ + podion ‘작은 발’ podagraria: 염소발 Variegatum: ‘얼룩무늬가 있는’ 국내유통명: 무늬산미나리(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잇는 이름임) 영명: bishop's weed 사진: 2012.12.08 광릉수목원 유형: 여러해살이풀 높이: 0.5 ∼1 feet 폭: 1 ∼ 1.5 feet 개화 시기: 5∼ 6월 꽃 색깔: 흰색 용도: 지피식물 Aegopodium속은 우리나라에는 Aegopodium alpestre Ledeb.(왜방풍) 1종만 있다. 설명: Easily grown in average, dry to m..

산형과 2012.12.14

한라참나물 (참나물속 Pimpinella 종 검색표)

한라참나물(참나물속 Pimpinella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9698  학명: Pimpinella hallaisanensis (W.T.Lee & C.G.Jang) C.G.Jang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사진: 2012.10.29 대부도         꽃이 달린 줄기 왼쪽에 있는 것이 근생엽으로 보인다. 한라참나물은 개화기에 근생엽이 남아 있는 것이 동정 포인트다               아래는 10월 19일 친구가 찍은 것이다           참나물속 Pimpinella 종 검색표 (한국속식물지) 1. 식물체는 키 50cm 이하이다. 근생엽은 숙존한다    ................................................

산형과 2012.10.29

감자개발나물

학명: Sium ninsi L.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Sium: From sion, ancient Greek name applied to a perennial of wet and marshy plac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ninsi: 일본어 ニンジン(인삼)에서 유래 사진: 2012.08.24 대부도 아래 사진: 2012.08.16 *** 아래 사진: 2012.10.11 *** 뿌리는 방추형이다 아래: 2018.09.27 대부도 아래: 2019.10.23 무의도 줄기 하부의 잎(근생엽?)은 실체가 의심스러운 대암개물나물 잎 모양괴 비슷하다 참조 사이트 http://matsuoka.xsrv.jp/floraNishinomiya/hydrophytes/..

산형과 2012.08.31

갯사상자(천궁속Cnidium 종 검색표)

학명: Cnidium japonicum Miq. 분류:산형과(Umbelliferae) 중국어명 : 滨蛇床 일어명 : ハマゼリ(浜芹) 참조 사이트 https://matsue-hana.com/hana/hamazeri.html https://mikawanoyasou.org/data/hamazeri.htm http://plants.minibird.jp/kansai/kansai50/kansai_ha/con_ha/hamaZeri/hamaZeri.html 사진: 2012.08.10. 대부도 아랫 사진은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박 선샌님이 찍은 사진 아래: 2017.09.16 제주도 아래: 2019.10.14 dyddbeh 아래: 2020.08.24 제주도 종달리 열매는 아구형이다 아래 : 2022.09.12 무의도..

산형과 2012.08.15

기름나물(2)

기름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09557 기름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8057 산기름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12 산기름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787 가는기름나물(1)[기름나물속 Peucedanum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854 기름나물 sp. https://daehyo49.tistory.com/7811039 기름나물 종류 표본 사진 https://daehyo49.tistory.com/7812637 기름나물과 산기름나물의 구별은 정설이 없어 종명 확정에 애먹는다. 기름나물 http:/..

산형과 2012.08.07

미나리(1)(미나리속 유사 속간 분류)

미나리(1) https://daehyo49.tistory.com/7809540 미나리(2) https://daehyo49.tistory.com/7814997 학명: Oenanthe javanica (Blume) DC.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Oenanthe: From the Greek oenos (wine), referring to the plant's odor javanica: 자바의 일어명: セリ 영명: Javan Waterdropwort 사진: 2012.07.27 *** 참조사이트 https://matsue-hana.com/hana/seri.html 아래 사진: 2012.10.09 *** 아래: 2019.08.11 하늘공원 수술은 5개로 길게 삐져나온다. 총포는 보이지 ..

산형과 2012.07.31

개사상자(추정- 전호와 개사상자 비교)

학명: Torilis scabra (Thunb.) DC.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Torilis: ? scabra: 거친 일어명: オヤブジラミ 사진: 2012.05.06 치악산 동정에 자신이 없으나 개사상자에 제일 가까워보인다. 설명: 잎 밑부분의 줄기잎은 길이 5~10cm이고 최종열편이 우상으로 좁게 갈라진다. 열매 열매는 분과로 3~6개씩 달리고 길이 4.5~6mm로서 긴 타원형이며 자줏빛이 돌고 가시같은 돌기 사이에 위를 향한 복모가 있으며 돌기는 퍼지고 끝이 약간 굽은 갈고리같아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꽃 화경은 길며 2-4개의 소산경이 갈라지고 소산경은 길이 2-3cm이며 총포는 없거나 1개이고 실처럼 가늘며 소총포는 선형이고 소과경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은 5-6월..

산형과 2012.05.11

섬바디 (1)

학명: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분류: 산형과(Apiaceae = Umbelliferae) 학명 풀이: Dystaenia: ? takesimana: 독도의 국명 이명: 돼지풀 사진: 인천수목원 아래: 2018.11.11 인천대공원 아래 : 2022.09.01 인천수목원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3개씩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정우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가장 길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서 마침내 3출엽으로 된다. 열매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꽃 꽃은 7월에 피고 흰색이며 지름 약 3.4mm로서 우상모양꽃차례로 달리고 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 달리며 지름 20cm이고 총포가 ..

산형과 2012.02.06

바디나물(1)

바디나물(3) https://daehyo49.tistory.com/7815597 바디나물(2)(추정) https://daehyo49.tistory.com/7812597 [Angelica/Ostericum 주요종 산형화서 구성 요소 개수] 바디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8937 Angelica 종 검색표와 강활 유사종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2204 학명: Angelica decursiva (Miq.) Franch. & Sav.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Angelica: 천사같은 decursiva: Running downward; decurrent 일어명 : ノダケ(野竹) 중국어명 : 紫花前胡 참조 ..

산형과 201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