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형과 127

선피막이

피막이 종류 구별(큰피막이)https://daehyo49.tistory.com/7808351    학명: Hydrocotyle maritima Honda 분류: 산형과(Umbelliferae)학명 풀이: Hydrocotyle: 그리스어  hydro 'water', kotule 'cup'maritima: 바다의 일어명: ノチドメ(野血止)  사진: 2014.07.13  양재시민의숲              아래: 2017.09.15  제주도                아래: 2017.09.16  제주도          아래: 2018.05.18 제주 한라수목원       선피막이와 큰피막이 잎 비교   좌상: 큰피막이  우하: 선피막이  참조 사이트http://www.nagy-flora.jp/species/n..

산형과 2014.07.13

좁은어수리(2)

학명: (국생정) Heracleum moellendorffii f. angustum (Kitag.) Kitag. / (FOC) Heracleum moellendorffii var. subbipinnatum (Franchet) Kitagawa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사진: 2013.07.26 중국 만주 아래 사진 2013.07.27 만주 아래: 2016.07.29 만주 어수리로도, 좁은어수리로도 보기 어려운 중간 형태 에는 이름만 등재되어 있지 설명이 없다. 어수리 종류에 대한 FOC 설명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J. Bot. 16: 12. 1878. 短毛独活 duan mao du huo Plants stout, 1–2 m tall, hispidulous ..

산형과 2013.08.18

붉은참반디(1)(참반디속 Sanicula 종 검색표)

붉은참반디(1)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146 붉은참반디(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60 파드득나물(1) (파드득나물과 참반디 잎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569 파드득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69 참반디(1) (참반디와 파드득나물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07579 참반디(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02 학명: Sanicula rubriflora F.Schmidt ex Maxim.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Sanicula: 라틴어..

산형과 2013.07.10

왜우산풀(누룩치)

학명: Pleurospermum camtschaticum Hoffmann * 중국식물지 Flora of China와 일본 야후에서는 정명을 Pleurospermum uralense Hoffmann으로, Pleurospermum camtschaticum Hoffmann은 synonym으로 하고 있다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Pleurospermum: 그리스어 pleura ‘side’ + spermum ‘seed' 국명이명: 누룩치, 개반디, , 왜우산나물 일어명: オオカサモチ 사진: 2013.06.29 소백산 총포와 소총포가 깃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소산경와 꽃자루는 상당히 많다 . 열매는 구상의 난형으로 능선이 날개 모양이다 잎자루에 홈이 있다 잎자루 기부의 가장자리에 얇은 ..

산형과 2013.06.30

갯당근

학명: Daucus littoralis Sibth.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사진: 2013.06.15 진도 바닷가 도로변에 널려 있었다. 이쪽 바닷가에서 찍은 것들을 갯당근으로 인터넷에 올리는데 갯당근과 당근(야생)의 차이점을 모르겠다. 설명문에도 두 종에 대한 설명이 사실상 똑 같다. 아래: 2016.06.20 인천 동속식물 갯당근 Daucus littoralis Sibth. 당근 Daucus carota subsp. sativa (Hoffm.) Arcang. 산당근 Daucus carota L. 설명 잎 잎은 삼회깃모양겹잎이고 털이 있으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다. 열매 열매는 긴 타원형이고 가시같은 털이 있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큰 우상모양꽃차례에..

산형과 2013.06.21

섬시호(3)

섬시호(1)https://daehyo49.tistory.com/7807364섬시호(2)https://daehyo49.tistory.com/7807509섬시호(3)https://daehyo49.tistory.com/7810054섬시호(4)https://daehyo49.tistory.com/7815050시호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224 (등대시호) 학명: Bupleurum latissimum Nakai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Bupleurum : From the Greek boupleuros (ox-rib), a name given to another plantlatissimum: 가장 폭이 넓은     사진: 2013.05.17 울릉..

산형과 2013.06.11

개사상자(1)

사상쟈(2) https://daehyo49.tistory.com/7815302 사상자(1) (사상자 종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8711 유럽전호(유럽전호와 긴사장자 구별, 유럽전호와 사상자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0679 개사상자(2) https://daehyo49.tistory.com/7815154 개사상자(1)사상자와 개사상자, 개사상자와 유럽전호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0041 긴사상자(사상자 유사종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004 학명: Torilis scabra (Thunb.) DC.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일어..

산형과 2013.06.10

긴사상자(1)

사상쟈(2)https://daehyo49.tistory.com/7815302사상자(1) (사상자 종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08711유럽전호(유럽전호와 긴사장자 구별, 유럽전호와 사상자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10679개사상자(2)https://daehyo49.tistory.com/7815154개사상자(1)사상자와 개사상자, 개사상자와 유럽전호의 구별)https://daehyo49.tistory.com/7810041긴사상자(2)https://daehyo49.tistory.com/7816214긴사상자(1) (사상자 유사종 비교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004  학명: Osmorhiza aris..

산형과 2013.05.26

섬바디(2)

학명: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학명 풀이: Dystaenia : ? 일어명: タケシマシシウド 국명 이명: 돼지풀 사진: 2013.05.16 울릉도 아래: 2015.08.22 울릉도 아래: 2019.04.29-04.30 울릉도 나리분지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3개씩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정우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가장 길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서 마침내 3출엽으로 된다. 열매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꽃 꽃은 7월에 피고 흰색이며 지름 약 3.4mm로서 우상모양꽃차례로 달리고 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 달리며 지름 20cm이고 총포..

산형과 2013.05.26

가는기름나물(1)(기름나물속 Peucedanum 종 검색표)

기름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09557 기름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8057 산기름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12 산기름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787 가는기름나물(1)[기름나물속 Peucedanum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9854 기름나물 sp. https://daehyo49.tistory.com/7811039 기름나물 종류 표본 사진 https://daehyo49.tistory.com/7812637 학명: Peucedanum elegans Kom.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산형과 2013.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