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죽과 104

개별꽃(1)

개별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55 개별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07782 개별꽃(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10 개별꽃과 폐쇄화 https://daehyo49.tistory.com/7808156 개별꽃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138 학명: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아래 것은 꽃이 여러 개 달렸으니 개별꽃이다. 선명하지는 않지만 화경에 분명히 털이 있는 것이 보인다. 아래: 2021.04.06 청계산 아래 : 2022...

석죽과 2010.05.04

큰개별꽃(1)

큰개별꽃(2)https://daehyo49.tistory.com/7816699큰개별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8154개별꽃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138   학명: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천마산에서 본 개별꽃속들 대강 볼 때 개별꽃은 위의 윤생하는 잎이  넓고 큰개별꽃은 길고 좁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듯하지만 이 두 종을 구별하는 가장 확실한 키는 화경의 털이다. 아래 것들도 일단은 모두 큰개별꽃 같다. 그러나 아래 사진들로 봐서는 화경의 털 유무가 확실하지 않아 단정하기 쉽지 않다.  이곳에서 개별꽃이라고  생각한 것이 루페..

석죽과 2010.05.04

참개별꽃(개별꽃, 큰개별꽃과의 구별 문제/ 개별꽃속 종 검색표)

개별꽃 문제로 며칠을 골머리를 앓았다. 아직도  미심쩍은 구석이 많다.  그동안 공부한 것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본다. 학명: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큰개별꽃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참개별꽃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최경 박사의 학위논문 '한국산개별꽃(Pseudostellaria)속의 분류학적 연구(1993)'를 읽어 보니 전에 인터넷에서 구한 자료인 http://cafe.daum.net/tgflower)> 설명에 근거한  종전의 내  설명이 좀 문제가 있는 것 같아 아래와 같이 전..

석죽과 2010.04.25

가는장구채

학명: Silene seoulensis Nakai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학명풀이: Silene: ‘끈적거림’을 의미항는 Saliva에 나온 말, 또는 Bacchus 신의 개인 교수이었던 Silenus 신에서 연유하였다하기도 함 아래 : 2022.07.11 용문산 설명: 잎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길이 1.5~3cm, 폭 1~1.5cm로서 난형이며 양끝이 좁고 특히 윗부분이 뾰족하며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3-4mm이며 난상 구형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종자는 소형으로 황갈색이며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다. 꽃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의 원추형의 취산화서에 많은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가늘고 길며 화관의 지름..

석죽과 2010.02.27

벼룩나물(1)(별꽃 종류들의 구별)

벼룩나물(1) (별꽃 종류들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7976 벼룩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4992 별꽃속 종 검색표 http://blog.daum.net/daehyo/7810297 학명: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Thunb.) Ohwi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학명풀이 Stellaria: Stars , alsine: 라틴어에서 별꽃을 가리키던 말 undulata : Wavy 사진 : 2008.04.19 아래: 2020.09.15 강화도 아래 : 2022.05.12 가평 마일리 별꽃 종류들의 구별 별꽃 쇠별꽃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벼룩이자리 줄기 밑에서 많은 가지 밑에서 ..

석죽과 2010.01.31

벼룩이자리

별꽃 종류 구별 http://blog.daum.net/daehyo/7807976 학명: Arenaria serpyllifolia L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학명풀이: Arenaria : arena (sand), 모래밭에 서식한다고 해서 나온 이름 serpyllifolia: 백리향속의 한 식물인 thyme(Thymus serpyllum)의 잎을 닮았다는 뜻 사진 : 2008.04.20 아래 : 2020.03.01 방학동 아래 : 2020.04.29 탄천 아래 : 2020.05.11 도봉구 설명: 잎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길이 3-7mm, 폭 1-5mm로서 양끝이 좁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며 길이 0.3-0.5mm이고 짙은 ..

석죽과 2010.01.31

유럽점나도나물(양점나도나물)

유럽점나도나물(1) https://daehyo49.tistory.com/7807898 점나도나물(1)(점나도나물종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8162 점나도나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32 학명: Cerastium glomeratum Thuill. 분류: Caryophyllaceae(석죽과) 아래: 180130 물향기수목원 유럽점나도나물은 근생엽과 하부의 잎이 주걱형이고 상부의 잎은 타원형이다, 이에 대해 점나도나물은 잎이 난형 내지 난상피침형이다 아래: 2019.01.18 제주도 도두봉 아래 : 2020.04.07 방학동 아래 : 2020.04.16 청라국제도시역 아래 : 2020.04.30 집 접사 설명: 잎 근생엽과 ..

석죽과 2010.01.13

개별꽃(2)

개별꽃(1) https://daehyo49.tistory.com/7808155 개별꽃(2) https://daehyo49.tistory.com/7807782 개별꽃(3) https://daehyo49.tistory.com/7815110 개별꽃과 폐쇄화 https://daehyo49.tistory.com/7808156 개별꽃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138 학명: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설명: 잎 잎은 대생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지 않고 도피침형이며 길이 10-40mm, 폭 2-4m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열매..

석죽과 2009.12.29

비누풀(1)

비누풀(2)https://daehyo49.tistory.com/7816572비누풀(1)https://daehyo49.tistory.com/7807548  학명 : Saponaria officinalis L.분류 : 석죽과 (Caryophyllaceae)일어명 : サポンソウ중국어명 : 肥皂草(비조초) 사진 : 유명산식물원                       아래는 평강식물원에서                      설명: 잎 잎은 대생, 긴 타원상 피침형, 주맥은 3개, 길이 5-10㎝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 난형, 꽃받침에 싸여있다.  꽃 꽃은 흰색, 연분홍색이고 줄기 끝에 모여 붙는다. 꽃받침은 5갈래, 꽃잎은 5장, 수술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줄기 근경은 흰색, 비후하다.  원산지 유..

석죽과 2009.10.30

제비동자꽃

동자꽃(1)https://daehyo49.tistory.com/7813952털동자꽃(2)(동자꽃속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853털동자꽃(1)https://daehyo49.tistory.com/7807527제비동자꽃https://daehyo49.tistory.com/7807528 (비교) 갈기동자꽃https://daehyo49.tistory.com/7813624  학명: Lychnis wilfordii (Regel) Maxim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동속의 다른 종들: 가는동자꽃 Lychnis kiusiana Makino  동자꽃 Lychnis cognata Maxim.  털동자꽃 Lychnis fulgens Fisch. ex Spreng.흰털..

석죽과 200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