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풀과 41

서양물통이

2014년 한국식물분류학회에서 황희숙 등이 포스터로 발표하였으나 아직 정식으로 등록되지 않았다한다  학명 : Parietaria pensylvanica Muhlenberg ex Willdenow분류 : 쐐기풀과(Urticaceae)   사진: 2019.05.12  한강 동작구                   아래: 2019.06.17 위의 장소        아래: 2020.06.03 위 장소  잎 가장자리잎 표면 (루페 이용)잎 뒷면(루페 이용)    아래 : 2022.06.27 동작대교      아래 : 2023.05.08 동작대교       아래 : 2023.06.19 한강철교   이전에 동작대교에서 본 것들은 모두 경사진 축석 이음새에 자라고 있었는데 이곳 한강철교 밑에서는 철교 아래 그늘지고 습한..

쐐기풀과 2019.05.14

큰물통이

물통이속 종 검색표 산물통이 https://daehyo49.tistory.com/7808709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비교와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710   학명 : (국생정) Pilea hamaoi Makino / (FOC) Pilea pumila var. hamaoi (Makino) C. J. Chen* 국생정에서는 모시물통이의 학명이 Pilea mongolica Weddell로 되어 있어 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별 개의 종으로 되어 있지만 FOC에서는 모시물통이의 학명이 Pilea pumila (Linnaeus) A. Gray로 되어 있어 큰물통이를 모시물통이(원변종)의 변종으로 취급한다 분류 : 쐐기풀과(Urticaceae)일어명: ミズ(水)중국어명: 荫(음)..

쐐기풀과 2017.10.03

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비교

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662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비교와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710산물통이(물통이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709   모시물통이 Pilea pumila (L.) A. Gray큰물통이 Pilea hamaoi Makino 분류 : 쐐기풀과(Urticaceae)  사진: 2017.09.25 가평       ↑ 왼쪽:  큰물통이,  오른쪽:  모시물통이큰물통이는 거치가 엽신 약간 중앙 하단부부터 있고 모시물통이는 엽신 거의 기부에서부터 있다     ↑ 큰물통이      ↑ 모시물통이        ↑ 큰물통이    ↑ 모시물통이      ↑ 모시..

쐐기풀과 2017.10.03

모시물통이

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662모시물통이와 큰물통이 비교와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08710산물통이(물통이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709 학명: Pilea pumila (Linnaeus) A. Gray/ 국생정 Pilea mongolica Wedd.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중국어명: 透茎冷水花일어명: アオミズ(青水) 사진: 2017.08.27  구룡령      사진: 2017. 09.25 가평        모시물통이는 3개의 암꽃 화피가 선형으로 깊게 갈라져 있어 수과가 뚜렷이 드러나 보인다   아래 : 2021.10.15 화악산  모시물통이 ..

쐐기풀과 2017.09.11

왜모시풀 추정

학명 : Boehmeria japonica (L.f.) Miq. 분류 : 쐐기풀과 (Urticaceae) 일어명 : ヤブマオ 사진: 2017.08. 22. 양수리 확대 웅화서 자화서 국생지 분포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산야 크기 높이 80~100cm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12~19cm이며 끝은 꼬리처럼 다소 길고 밑은 둥글며 양면에 털이 있고 엽질이 약간 두꺼우며 거칠거칠하고 위로 갈수록 톱니는 점차 커지며 3주맥이고 엽병은 엽신보다 짧다. 꽃 꽃은 자웅일가로 7∼9월에 연한 녹색을 피며 이삭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하부에 수꽃화서, 상부에 암꽃화서가 달리며 꽃은 구상으로 모인다. 열매 과실은 수과로 작고 무배생식을 한다...

쐐기풀과 2017.08.25

펠리온나무(1)

펠리온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1546펠리온나무(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399푸른몽울풀(1)(푸른몽울풀과 펠리온나무 잎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529우산물통이(1)(몽울풀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677  학명: Pellionia scabra Bentham분류: 쐐기풀과 일어명: キミズ중국어명: 蔓赤车(만적차)국명 이명:제주물풍뎅이, 산초풀 사진: 2017.07.22 제주 ***                  아레: 2017.07.23 제주 효돈천                                       아래: 2018.01..

쐐기풀과 2017.08.03

푸른몽울풀(1)(푸른몽울풀과 펠리온나무 잎 비교)

펠리온나무(1)https://daehyo49.tistory.com/7811546펠리온나무(비공개)https://daehyo49.tistory.com/7811399푸른몽울풀(1)(푸른몽울풀과 펠리온나무 잎 비교)https://daehyo49.tistory.com/7811529우산물통이(1)(몽울풀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10677  2011년 한국식물학회지 제 41권 4호에 미기록종으로 발표된 종이다 학명 : Elatostema laetevirens Makino분류: 쐐기풀과 (Urticaceae) 사진: 2017.07.22  제주 ***                         푸른몽울풀과 펠리온나무 잎 비교  푸른몽울풀 Elatostemma laetevir..

쐐기풀과 2017.07.25

개모시풀(2)

개모시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1519 개모시풀(1) http://blog.daum.net/daehyo/7810560 거북꼬리속 종간 비교 http://blog.daum.net/daehyo/7811500 학명 : Boehmeria platanifolia (Maxim.) Franch. & Sav. ex C.H.Wright 분류 : 쐐기풀과 (Urticaceae) 사진: 2014.07.11 광릉수목원 아래 : 2022.08.15 고대산 아래 : 2023.08.05 고대산 국생지 분포 우리 나라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산기슭, 골짜기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가 1m에 이른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원형이며 길이 10cm, ..

쐐기풀과 2017.07.18

긴잎모시풀

학명 : Boehmeria sieboldiana Blume 분류 : 쐐기풀과(Urticaceae) 일어명 : ナガバヤブマオ 사진: 2017.07.10 제주도 거문오름 아래: 2017.09.14 제주도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잎 엽병에 붉은빛이 돈다.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20cm, 나비 4-10cm로서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밑부분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약간의 털이 다소 있다. 엽병은 엽신보다 짧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서 화피에 싸이고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1.5mm로서 윗부분에만 짧은 털이 있고 양끝이 뾰족하다. 꽃 꽃은 암수한그루로 8-10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이삭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밑부분에 웅화서..

쐐기풀과 2017.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