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풀과 41

거북꼬리속 종간 비교

우선 국생정에 있는 Boehmeria 속을 들어보면 아래와 같다 A는 The Plant List에서 공인한 학명이고 S.는 이명처리한 학명이다 1. 잎 호생 모시풀 Boehmeria nivea (L.) Gaudich. (A) 섬모시풀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Koidz.) W.T.Wang 2. 잎 대생 섬거북꼬리 Boehmeria taquetii Nakai (A)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Makino (S)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A)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A)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

쐐기풀과 2017.07.03

비양나무(바위모시)

비양나무(바위모시)https://daehyo49.tistory.com/7810783  학명: Oreocnide frutescens (Thunberg) Miquel (정명) 학명 이명: Oreocnide fruticosa (Gaudich.) Hand.-Mazz.학명 풀이: Oreocnide: 그리스어 oreos "mountain' + cnide 'nettle'frutescens ; becoming shrubby분류: 쐐기풀과(Urticaceae)일어명: イワガネ(岩が根)중국어명: 紫麻   사진: 2015.10.02 야쿠시마               아래: 2017.09.14 제주도 한라수목원                        아래 : 2024.04.14 여주 황학산수목원       아래 : 2024..

쐐기풀과 2015.12.04

우산물통이(1)(몽울풀속 종 검색표)

펠리온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11546 펠리온나무(비공개) https://daehyo49.tistory.com/7811399 푸른몽울풀(1)(푸른몽울풀과 펠리온나무 잎 비교) https://daehyo49.tistory.com/7811529 우산물통이(1)(몽울풀속 종 검색표) https://daehyo49.tistory.com/7810677 학명: Elatostema japonicum Wedd. 학명 이명: Elatostema umbellata Blume * 에는 이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아래 언급된 논문과 일본 야후에서에서는 위의 학명을 정명으로 하고 있다.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학명 풀이: Elatostema: From the Greek..

쐐기풀과 2014.12.29

개모시풀 (1)(왜모시풀과 개모시풀 비교)

학명: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 Sav.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학명 풀이: Boehmeria: Named for George Rudolf Boehmer, 18th century professor of botany and anatomy at Wittenberg, Germany platanifolia: 잎이 넓은 일어명: ヤブマオ 영명: Longleaf Falsenettle 사진: 2014.09.06 천마산 아래: 종자 151117 종자접사 개모시풀과 왜모시풀의 비교 개모시 왜모시 화서 분지 비교적 가늘디 분지 또는 분지하지 않음 비교적 통통하다 털(엽병 엽맥) 개출모 경사모 아래는 본 블로거가 관찰한 것임 털 밀생 드물다 거치 잎 상부에서 중거치 잎 선단에..

쐐기풀과 2014.09.11

왜모시풀(왜모시풀과 개모시풀 비교)

학명: Boehmeria longispica Steud.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학명 풀이: Boehmeria: Named for George Rudolf Boehmer, 18th century professor of botany and anatomy at Wittenberg, Germany longispica: 이삭이 긴 일어명: ヤブマオ 사진: 2014.08.31 굴업도 아래 : 2023.06.18 인천수목원 엽맥의 털이 경사모이다. 개모시물은 엽맥 털이 개출모이다 왜모시풀과 개모시풀의 구별 왜모시풀 개모시풀 털(엽병, 엽맥) 경사모 개출모 이삭 굵고 꽃 덩어리 사이의 간격이 거의 없이 조밀하다 왜모시풀에 비하여 이삭이 가늘고 꽃 덩어리 간격이 약간 느슨하게 벌어진다 화서 분지 안함 분..

쐐기풀과 2014.09.05

물통이(1)

물통이(2)https://daehyo49.tistory.com/7816424물통이(1)https://daehyo49.tistory.com/7810512물통이속 종 검색표https://daehyo49.tistory.com/7808709   학명: Pilea peploides (Gaudich.) Hook. & Arn.분류: 쐐기풀과(Urticaceae)학명 풀이: Pilea: cap, hat peploides: Resembles Euphorbia peplus, referring to the plant's appearance when grown on mud, rather than underwater 일어명: コケミズ영명: Dwarf Clearweed   사진: 2014.07.20 양양         아래: 2..

쐐기풀과 2014.08.17

모시풀(1)

모시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08 모시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440 섬모시풀(1)(모기풀과 섬모시풀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0439 학명: Boehmeria nivea (L.) Gaudich. var. nivea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일어명: ナンバンカラムシ 사진: 2013.05.20 울릉도 확대사진 탁엽은 선형으로 이생한다(섬모시풀은 피침형으로 기부가 합생) 아래: 2015.06.28 서산 모시풀속( Boehmeria) 식물들 잎이 호생하는 종들 섬모시풀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Koidz.) W.T.Wang (모시풀과 섬..

쐐기풀과 2014.07.02

섬모시풀(1)(모시풀과 섬모시풀의 구별)

모시풀(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08 모시풀(1) https://daehyo49.tistory.com/7810440 섬모시풀(1)(모기풀과 섬모시풀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10439 학명: (국생지)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Koidz.) W.T.Wang (일본) Boehmeria nipononivea Koidz. (FOC) Boehmeria nivea var. tenacissima (Gaudichaud-Beaupré) Miquel 학명 이명: Boehmeria nivea (L.) Gaudich. var. nipononivea (Koidz.) Kitam. Boehmeria nivea var..

쐐기풀과 2014.07.02

애기쐐기풀(1)(쐐기풀속(Urtica) 종 검색표)

학명: Urtica laetevirens Maxim.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학명 풀이: Urtica: stinging laetevirens : vivid green* 학명에 대한 견해: 종소명이 laetivirens로 되어야 라틴어 문법에 맞지 않나 싶다. 그러나 어쨌든 정명은 laetevirens로 되어 있다 일어명: コバノイラクサ(小葉の刺草) 사진: 2014.04.26 영월 애기쐐기풀은 탁엽이 4개, 쐐기풀은 탁엽이 2개이다. 쐐기풀은 보기 드물다 아래: 2016.05.06 제주 비자림 아래: 2017.08.21 수리산 아래: 2017.08.27 구룡령 아래: 2017.08.29 집 아래: 2021.04.04 강서생태공원 동속식물과 유사종 가는(잎)쐐기풀 Urtica angustifo..

쐐기풀과 201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