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향과 32

황벽나무(2)

황벽나무(3) https://daehyo49.tistory.com/7815298 황벽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0025 황벽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7372 황벽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027 표지판에 섬황벽나무로 표시되어 있고 옛 국생지에 화태황벽나무로 되어 있지만 요즘은 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로 통합되어 있다. (2023.01.15 기재) 아래는 화태황벽나무에 대한 기재이다 학명: Phellodendron amurense var. sachalinense F.Schmidt 분류: 운향과(Rutaceae) 학명 이명: Phellode..

운향과 2013.06.03

금감(금귤)

학명: Fortunella japonica var. margarita (Swingle) Makino 분류: 운향과(Rutaceae) 학명 풀이: Fortunella: 19세기 중국에서 활동한 스코틀랜드의 원예가 및 식물수집가인 Robert Fortune margarita: 진주 일어명: キンカン 사진: 2012.12.15 양평들꽃수목원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원저이며 길이 4-9cm, 너비 2-4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록색이며 잎맥이 뚜렷치 않다. 잎살 중에는 많은 소유점이 있고 엽병에 좁은 날개가 있다. 열매 열매는 감과로 거꿀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3cm, 지름 2-2.5cm로서 10-11월에 오렌지색으로 성숙하고 억을..

운향과 2012.12.19

유자나무

학명: Citrus junos Siebold ex Tanaka 분류: 운향과(Rutaceae) 학명 풀이: Citrus: 시트론 junos: 로마의 여신 ‘주노(그리스의 헤라)’의 사진: 완도수목원 2012.01.13 설명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달걀형의 타원형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다가 끝이 다소 오목해지고 둔저이고, 가장 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넓은 날개가 있다. 열매 열매는 편원형이고, 외피는 울툭불툭하며 지름 4 ~ 7cm로 향기가 있고, 외피와 신맛이 강한 내부가 잘 떨어지지 않으며 중심부가 비어 있고 10월 ~ 11월에 노란색으로 성숙한다. 꽃 꽃은 4월 ~ 5월에 피며 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수술은 20개 정도로 5개로 ..

운향과 2012.03.11

만백유

학명: Citrus maxima (Burman) Merrill 분류: 운향과(Rutaceae) 중국명: 柚 you 일본명: 晩白柚 (ばんぺいゆ) 국내 유통명: 만백유 * 일본명에서 보듯이 일본에서 부르는 이름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 * 일본명 晩白柚에서 晩은 晩生種을, 白은 과육인 흰 것응 나타낸다. 원래 Citrus maxima 는 일본어로는 文旦(ブンタン) 또는 朱欒(香欒 ザボン)이라 하는데 여러 품종이 있다. 사진: 양평들꽃수목원 안내 팻말의 Ban-pel-yu는 晩白柚 의 일본 독음 ばんぺいゆ를 영어 철자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아래 사진 : 2012.12.15 양평들꽃수목원 아래 : 2022.04.06 양평들꽃수목원 설명: The pomelo (Citrus maxima or Citrus gra..

운향과 2012.02.25

귤나무(온주밀감)

학명: Citrus unshiu (Yu.Tanaka ex Swingle) Marcow. 분류: 운향과(Rutaceae) 국생지 등재병 : 온주밀감 비추천명 : 귤나무 귤나무와 유자나무는 잎이 단신복엽인 것이 특징이다. 가시가 있으면 유자나무, 없으면 귤나무이다. 귤나무는 단신복엽도 유자나무 것보다 작다. 아래 사진 : 2012.12.15 양평들꽃수목원 온주밀감 [비추천명 : 귤나무] 국생지 분포 인도 등 원산; 제주도에서 재배. 형태 상록 활엽 소교목. 생육환경 내조성은 강하나 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는 양수이다. 크기 높이 5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피침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5 ~ 7cm × 5c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물결모양의 잔톱니가 있..

운향과 2012.02.25

머귀나무(1)

머귀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0344 머귀나무(1) https://daehyo49.tistory.com/7808866 머귀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174 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분류: 운향과(Rutaceae) 학명 풀이: Zanthoxylum: Yellow wood ailanthoides :Ailanthus(가죽나무)를 닮은 아래 것은 가시가 보이지 않는 것이 민머귀나무가 아닌가싶다 사진 : 천리포수목원 아래: 2017.09.17 제주도 아래: 2019.11.09 안면도 동속식물: 개산초 Zanthoxylum planispinum Siebold & Zucc..

운향과 2011.12.02

왕초피나무(1)(산초나무속 식물들 구별하기)

왕초피나무(2) https://daehyo49.tistory.com/7814169 왕초피나무(1)(산초나무 종류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7876 왕초피나무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15696 학명: Zanthoxylum coreanum Nakai 분류: 운향과(Rutaceae) 학명 풀이 Zanthoxylum : Yellow wood 사진 : 홍릉수목원 아래는 제주여미지식물원에서 아래: 2017.09.17 제주도 아래: 2020.10.13 동구릉 산초나무속 식물들 구별하기 공통 특징 (암수딴그루, 관목) 산초나무 초피나무 개산초 왕초피나무 소엽 13-21 9-13 3-7 7-13 가시 어긋남 마주 남 밑으로 약간 굽음 마..

운향과 2010.01.11

상산(1)

상산(2) https://daehyo49.tistory.com/7815680 상산(1) https://daehyo49.tistory.com/7807707 상산 겨울눈(1) https://daehyo49.tistory.com/7809047 학명: Orixa japonica Thunb. 이명: 송장나무, 상산나무, 일본상산 분류: 운향과(Rutaceae) 동속식물: - 중국어명 : 臭常山 사진 : 홍릉수목원 상산은 2가화로 위는 수꽃이다. 수꽃은 총상화서이다. 암꽃은 1개씩 달린다 아래는 광릉수목원에서 아래 2012.04. ** 일 ****에서 아래: 2020.08.21 제주도 설명: 잎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도란형이고 윤채가 나며 확대경으로 보면 엽맥에 투명한 세점이 많다. 첨두, 설저이며 길이 5-13..

운향과 2009.12.12

백선

백선(1) https://daehyo49.tistory.com/7807581 백선(2) https://daehyo49.tistory.com/7815021 학명: Dictamnus dasycarpus Turcz. 분류: 운향과(Rutaceae) 동속: 털백선 Dictamnus dasycarpus for. velutinus (Nakai) W.T.Lee * 털백선은 잎에 털이 많다 사진: 홍릉수목원 아래: 2018.06.27 내몽골 자란툰 중국의 백선은 우리나라 백선과 동일종이고 이 속에서 단 1종이지만 우리나라 것에 비해 색이 진하다 아래 : 2020.05.12 강화도 백선은 꽃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설명: 잎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으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

운향과 2009.11.10

쉬나무(쉬나무 오수유 비교, 학명 문제)

학명: Tetradium daniellii (Bennett) T. G. Hartley/( Euodia daniellii Hemsl.) * 오른쪽 괄호 안의 학명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는 학명인데 잘못된 것이다. 분류: 운향과(Rutaceae) 학명풀이: Tetradium: 그리스어 tetradion에서 유래한 것으로 꽃이 4수성(꽃받침열편, 꽃잎, 수술, 심피가 각각 4개 또는 4의 배수인 것)인 것을 가리킴. daniellii: 영국의 군의관으로 열대식물을 공부하였던 William Freeman Daniell (1818–1865)의 이름에서 유래. 동속: 오수유 Tetradium ruticarpum (A. Jussieu) T. G. Hartley /(Euodia officinalis Dode) * 역시..

운향과 2009.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