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재배식물 1051

Pandanus tectorius 'Sanderi'

참조 Pandanus https://daehyo49.tistory.com/7814479 학명 : Pandanus tectorius 'Sanderi' (국표식 기재 학명) * 안내판에 Pandanus sanderii라고 적혀 있지만 Pandanus sanderi의 오기이다. WFO에는 Pandanus sanderi Hort.Sand.는 Pandanus tectorius Parkinson ex Du Roi의 synonym으로 되어 있다. 분류 : Pandanaceae 영명 : Variegated Screw Pine 사진 : 2023.02.05 부천 수피아식물원 잎 중앙에 노란 줄무늬가 들어가 있고 엽연에 가시는 보이지 않는다

부자란(자주만년청)(2)

만년청https://daehyo49.tistory.com/7816117부자란(자주만년청)(2)https://daehyo49.tistory.com/7814633부자란(자주만년청)(1)https://daehyo49.tistory.com/7808409 학명 : Tradescantia spathacea Sw.Synonym : Rhoeo spathacea (Sw.) Stearn분류: 닭의장풀과(Commelinaceae)학명 풀이:Rhoeo: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여인. 아폴로의 아이를  임신한 이 여인을 그녀의 아버지는 상자에 넣어 바다에 버린다. 이 식물은 보트같이 생긴 포를 가지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spathacea: 불염포(spathe)가 있는국내 유통명: 부자란; 자주만년초; ,만년청; 자주색만년..

Hymenocallis speciosa (거미백합)

Hymenocallis speciosa (거미백합)https://daehyo49.tistory.com/7814632Hymenocallis caribaea (카리브거미백합)https://daehyo49.tistory.com/7816270  학명 : Hymenocallis speciosa (L. f. ex Salisb.) Salisb.분류 : 수선화과(Amaryllidaceae) 국내 유통명 : 거미백합; 거미나리; 바다수선영어명 : Spider Lily;  green-tinge spiderlily * Hemerocallis속은 약 60종이 있어 동정이 어렵다. 표지판에 있는대로 올린다    사진 : 2023.02.05 부천 수피아식물원    아래 : 2023.02.21 부천수피아식물원      아래 : 2..

워터자스민

학명 : Wrightia religiosa (Teijsm. & Binn.) Hook. f. 분류 : 협죽도과(Apocynaceae) 사진 : 2023.02.05 부천수피아식물원 아래 : 2023.02.21 부천수피아식물원 아래 : 2023.03.08 부천 수피아식물원 아래 : 2024.01.17 한밭수목원 Wikipedia 설명 Wrightia religiosa is a species of tree in the family Apocynaceae. Its distribution includes: China (Guangdong), Indochina and Malaysia including the Philippines; no subspecies are listed in the Catalogue of Life...

금엽목(金葉木)

학명 : Sanchezia oblonga Ruiz & Pav. 학명 이명 : Sanchezia nobilis Hook.f. Family: Acanthaceae 중국어명 : 金葉木 국내 유통명 : 금엽목, 산케지아, 황금목 사진 : 2023..02.05 부천수피아식물원 아래 : 2023.02.23 인천대공원 위의 부천수피아식물원에서 본 것과는 달리 엽맥이 황금빛이 아니다. 아래 : 2023.02.21 부천수피아식물원 아래 : 2023.03.09 부천수피아식물원 Sanchezia 속에 대한 위키페디아 설명 Sanchezia is a genus of the plant family Acanthaceae. It is estimated to contain about 20 to 50 species. Members o..

벽어연(碧魚連)

학명 : Braunsia maximiliani (Schltr. & A.Berger) Schwantes Family: Aizoaceae Synonyms: Echinus maximiliani (Schltr. & A.Berger) N.E.Br. Lampranthus maximiliani (Schltr. & A.Berger) L. Bolus Mesembryanthemum maximiliani Schltr. & A.Berger 일어명 : 碧魚連 중국어명 : 碧玉莲 영어명 : Beads lampranthus 국내 유통명 : 벽어연 원산지 : 남아프리카 사진 : 2023.01.19 강원도립화목원 아래 : 2023.02.28 부천식물원 아래 : 2023.02.23 인천대공원 설명 Origin and Habitat: B..

불야성(不夜城) Aloe × nobilis Haw.와 Aloe perfoliata L.

일본 야후에는 다음과 같이 일어명이 나온다 Aloe mitriformis 翠盤/広葉不夜城/不死鳥/星白錦(Aloe perfoliata L.의 구명이다) Aloe × nobilis Haw. 不夜城 우리나라에서는 구분치 않고 둘 다 '불야성'으로 부르는 것 같다 아래 영어 위키 설명을 싣는다 학명 : Aloe perfoliata L. * 올린 사진은 안내 표지판의 학명을 따르지 않는다. 소형이어 Aloe X nobilis Haw.로 판단된다 분류 : (구) Liliaceae/ (신) Asphodelaceae Synonym : Aloe mitriformis (구명이다) Common Name : rubble aloe; mitre aloe 원산지 : 남아프리카 사진 : 2023.01.19 강원도립화목원 아래 : 2..

레몬유칼립투스

학명 : Corymbia citriodora (Hook.) K.D. Hill & L.A.S.Johnson 학명 이명 : Eucalyptus citriodora Hook. (국내에서는 보통 이 학명으로 알려져 있다) 분류 : Myrtaceae 사진 : 2023.01.19 강원도립화목원 위키 설명 Corymbia citriodora, commonly known as lemon-scented gum[2] and other common names,[3][4] is a species of tall tree that is endemic to north-eastern Australia. It has smooth white to pink bark, narrow lance-shaped to curved adult lea..

벤자민고무나무

학명 : Ficus benjamina L. 분류 : Moraceae 사진 : 2023.01.19 강원도립화목원 안내 팻말에는 킹벤자민고무나무 Ficus benjamina로 되어 있지만 Ficus benjamina이 '벤자민고무나무'이므로 '벤자민고무나무'로 올린다. '킹벤자민고무나무'는 품종 Ficus benjamina 'Golden King'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위키 설명 Ficus benjamina, commonly known as weeping(가지가 늘어진) fig, benjamin fig[3] or ficus tree, and often sold in stores as just ficus, is a species of flowering plant in the family Moraceae, ..

홍콩야자

학명 : Schefflera arboricola (Hayata) Hayata ex Merr. 학명 이명 : Heptapleurum arboricola Hayata wikipedia에서는 Heptapleurum arboricola 이 WHO(World Flora Online)에서는 Schefflera arboricola이 정명으로 되어 있다 분류 : Araliaceae 학명 풀이 Heptapleurum: hepta '7' + pleurum 'ribs' arboricola : tree dweller Common Name : dwarf umbrella tree 사진 : 2023.01.19 강원도립화목원 위키페디아 설명 Heptapleurum arboricola (syn. Schefflera arborico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