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재배식물 1063

Mahonia lomarifolia

천리포수목원에서는 이 나무를 ‘고비뿔남천’이라고 소개하고 있으나, 이는 종소명 lomarifolia(‘lomaria의 잎 모양을 한’)의 lomaria를 ‘고비’로 오역한 것으로 보이다. 학명 풀이에서 보듯이 lomaria는 우리나라에는 분포하지 않는 양치식물 Blechnum 속의 이명이다. 적당한 유통명이 없으므로 학명으로 소개한다. 학명: Mahonia lomariifolia Takeda 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학명 풀이: Mahonia: 미국의 원예가 Bernard McMahon (1775-1816) lomariifolia: lomaria의 잎을 닮은 * lomaria는 지금은 Blechnum으로 불리는 속으로, 새깃아재비과(Blechnaceae)이다. Blechnum 속은 우..

무늬구실잣밤나무 '안교 옐로우'

학명: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gyo Yellow' 분류: 참나무과(Fagaceae) 학명 풀이: Castanopsis: 밤나무를 닮은 속 cuspidata : 예리하고 뾰족한 (cuspidate 예철두) sieboldii: 19세기 독일 식물학자로 일본 식물상 조사한 Franz Philipp von Siebold 사진: 천리포수목원 이 재배종은 유래가 어떻게 된 것인지 알 수 없다. 재배종(원예종)이라먄 언제, 어디서 만들어진 것인지 설명을 해주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원예.재배식물 2011.12.07

Silene flos-cuculi

* 종명을 야사모에 문의하였더니 공기방울님이 알려주었다. 공기방울님께 감사드린다. 학명: Silene flos-cuculi (Linnaeus) Clairville 학명 이명: Lychnis flos-cuculi L. * Lychnis flos-cuculi L. 은 옛 학명이다(http://wildseed.co.uk/species/view/81). 그러나 인터넷에서는 위키페디아에서조차 옛 학명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Lychnis는 동자꽃속이고, Silene는 끈끈이장구채속으로 엄연히 다르므로 옛 학명은 쓰지 말아야 할 것이다.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학명 풀이: Silene: From Saliva, meaning stickiness; or Silenus the foster fat..

흑룡(흑맥문동)(1)

흑맥문동(1) https://daehyo49.tistory.com/7808878 개맥문동(1)(맥문동/개맥문동/맥문아재비/소엽맥문동 구별) https://daehyo49.tistory.com/7808291 학명: Ophiopogon planiscapus 'Nigrescens' 분류: 백합과(Lilaceae) 국표식등재명 : 흑룡 유통명 : 흑맥문동 사진: 광릉수목원 온실 * 원예종이다. 소엽맥문동이나 맥문아재비와 같은 Ophiopogon속으로 분류된다. 맥문동과 개맥문동은 Liriope속이다. 사진 참조: http://blog.daum.net/kualum/17041871

원예.재배식물 2011.12.05

아주가 sp.(1)

아주가sp.(2)https://daehyo49.tistory.com/7816163아주가sp.(1)https://daehyo49.tistory.com/7808876 학명: Ajuga reptans L. 분류: 꿀풀과(Lamiaceae)영명: Common bugle, Blue bugle, Bugleherb, Bugleweed, Carpetweed, Carpet Bungleweed, Burgundy lace 원산지: 유럽우리나라 유통명: 아주가  사진: 광릉수목원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아주가(Ajuga)로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Ajuga는 속명으로 전세계에 40-50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우리나라에는 Ajuga속으로 금창초 Ajuga decumbens Thunb. 내장금란초 Ajuga decu..

유럽스(Euryops; 백묘국과의 차이)

학명: Euryops pectinatus (L.) Cass. 분류: 국화과(Compositae) 영명: Golden Euryops 또는 Golden Daisy Bush 학명 유래: Euryops: 그리스어 "eurys" → large and "ops" → eye, 꽃이 화려하고 큰 것을 가리킴 pectinatus: 빗살 모양의 (빗살처럼 갈라진 잎을 가리킴) 우리나라 유통명: 유럽스, 유롭스 원산지: 남아프리카 사진: 천리포수목원 아래: 2020.02.08 양평 들꽃수목원 아래: 2021.04.05 도봉구 아래 : 2022.03.06 한택식물원 아래 : 2022.03.12 세종수목원 설명: 남아프리카의 남•서부 케이프 주의 바위나 사암 지대에 자라는 관목으로 1.5m 까지 자란다. 잎은, 길이 40-10..

원예.재배식물 2011.12.03

Helwingia chinensis

학명: Helwingia chinensis Batalin, 분류: Helwingiaceae * 1과 1속이다 중국명: 中华青荚叶 zhong hua qing jia ye 사진: 천리포수목원 *** 천리포수목원에서 이 나무에 붙인 ‘선상화’라는 이름은 뜻이 무엇인지도, 그리고 어디서 나온 이름인지도 모르겠다. 퍼온 사진에서 보듯이 꽃이 잎 위에 놓인 모습에서 배를 타고 있는 모습을 연상한 것아라 추리해본다. 이 종은 꽃이 잎 위 중륵에 놓이는 특이한 꽃이다. 산형화서로 총산경에 해당되는 부분이 중륵과 유합되어 있다. 설명: Shrubs evergreen, 1–2 m tall; bark dark gray or light grayish brown; young branches purplish green. Leaf..

사순절장미(Helleborus)(1)

사순절장미(Helleborus)(2)https://daehyo49.tistory.com/7813557사순절장미(Helleborus)(1)https://daehyo49.tistory.com/7808870    학명: Helleborus orientalis Lamarck영명: lenten rose (사순절 장미)분류: 미나리아아재비과(Ranunculaceae) 사진: 천리포수목원          아래: 2019.03.13 진주수목원   사순절장미는  꽃이 아래를 향하거나 옆을 향하는데 대해서 크리스마스로즈는 꽃이 위를 향하거나 옆을 향한다           아래 : 2022.04.06 들꽃수목원    아래 : 2022.07.25 한택식물원 사순절장미는 소예거치로 거치 간격이 조밀하고 크리스마스로즈는 예거치로..

원예.재배식물 201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