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재배식물 1063

Nepenthes

학명: Nepenthes 분류: 벌레잡이통풀과(Nepenthaceae) 설명: 상록 덩굴식물이며 온실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땅 위에 줄기를 뻗거나, 큰 나무에 엉켜붙는 등 자라나는 형태는 각각이다. 잎은 잎자루·잎몸·덩굴·벌레잡이주머니로 이루어지는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5cm 정도로 중륵(中肋)이 길게 자라서 끝에 벌레잡이통을 만든다. 통 한쪽에 2개의 날개가 있고 긴 털이 돋으며 통 입구에 뚜껑 같은 부속체가 있으나 여닫지 않는다. 뚜껑과 통 입구에 꿀샘이 있어서 벌레를 유인하고 통의 입구는 미끄럽기 때문에 벌레들이 통 속으로 떨어지기 쉽다. 통 속에는 소화액이 분비되므로 떨어진 벌레는 소화 흡수된다. 통의 크기·형태·빛깔 및 무늬 등에 따라서 종류를 구별한다. 꽃은 2가화(二..

붉은긴잎끈끈이주걱

학명: Drosera capensis L. 분류: 끈끈이귀개과(Droseraceae) 학명 풀이: Drosera: 그리스어 droseros '이슬이 맺힌' capensis: 남아프리카 희망봉의 영명: Cape sundew 원산지: 남아프리카 사진: 서울대공원 아래 꽃 사진은 위키에서 퍼온 것이다 사진 출처: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6/Drosera_capensis_inflorescence_Darwiniana.jpg 설명: Drosera capensis, commonly known as the Cape sundew, is a small rosette-forming carnivorous species of perennial[1] sundew n..

박쥐란

학명: Platycerium 분류: 고란초과(Polypodiaceae) 학명 풀이: 그리스어 platys ‘broad’; keras ‘horn’ →사슴뿔같이 보이는 잎을 가리킴 영명: staghorn / elkhorn 원산지: South America, Africa, Southeast Asia, Australia and New Guinea 종수: 18종 사슴뿔처럼 생간 것이 생식엽이고, 콩팥처럼 생긴 것이 영양엽이나 원산지가 아닌 것에 번식시킬 때에는 pup라고도 부르는 이 영양엽을 잘라 무성번식시킨다고 한다. 아래: 2019.12.20 창경궁 설명: 나무 위에 붙어서 자란다. 덩어리 같은 뿌리줄기에서 2가지 잎이 모여 나온다. 하나는 영양엽(營養葉)으로 콩팥 모양이고 밑에서 뿌리줄기를 둘러싸며 흙을 감..

몬스테라(1)

몬스테라(2) https://daehyo49.tistory.com/7815986 몬스테라(1) https://daehyo49.tistory.com/7809069 학명 : Monstera deliciosa Liebm. 분류: 천남성과(Araceae) Monstera속은 천남성과(Araceae)에 속하는 속으로 60여 종이 있다. 아메리카의 열대 지역이 원산지이다. 초본이거나 20m 정도까지 자라는 상록성 덩굴나무이기도 하다. 잎은 어긋나며 , 짙은 녹색이고, 가죽질이며 길이 25-90cm, 폭 17-75cm이다. 엽신에는 종종 구멍이 나 있다. 꼬층 5-45c 길이의 육수화서에 달린다. 관엽식물로 실내에서 많이 키운다.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인 Monstera deliciosa,의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맛..

구문초(驅蚊草)

학명: Pelargonium citrosum Voigt ex Breiter 분류: 쥐손이풀과(Geraniaceae) 학명 풀이: Pelargonium: From the Greek for Stork referring to the seed heads citrosum : Lemon (or citrus) scented 영명: Mosquito plant, Citronella Plant, Citrosa geranium 국내 유통명: 구문초(驅蚊草) 설명: 국내에서는 ‘Pelargonium graveolens L'Hér.’ (→ 이명 Pelargonium roseum; 국내유통명 ‘로즈제라늄’)을 ‘구문초’라고 부르기도 하나 영어권에서 mosquito plant,라고 부르는 것은 본종 Pelargonium citro..

헬리오트로피움(1)

지치과의 Heliotropium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250-300종이 있다고 하나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은 Heliotropium arborescens L.이라 한다. 사진에 있는 종의 이름을 확정짓는 것은 자신이 없지만 이미지 검색을 해보니 Heliotropium arborescens L.로 이름을 정해도 무난할 듯하다. 학명: Heliotropium arborescens L. 분류: 지치과(Boraginaceae) 학명 풀이: Heliotropium : 그리스어 helios ‘sun’; trope ‘turning’ arborescens: 나무 같은 사진: 서울대공원 설명: The Garden Heliotrope (Heliotropium arborescens) is a highly fragran..

원예.재배식물 2012.02.02

파인애플세이지

학명: Salvia elegans Vahl 분류: 꿀풀과(Lamiaceae) 영명: Pineapple Sage, Tangerine Sage 원산지: 멕시코와 과테말라 원산지에서 해발 1,800-2,700m의 고원지대의 참나무나 소나무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떨기나무이다. 잎에서 파인애플 냄새가 난다. 벌새가 즐겨 찾는 꽃이다. 잎은 식용할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 넣어 허브 차로 마시기도 한다. 향수로도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전통 민간요법으로 신경 안정제나 혈압 강하제로 쓰기도 한다.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Salvia_elegans

Clerodendrum thomsoniae (1)

Clerodendrum splendens (1) https://daehyo49.tistory.com/7815870 Clerodendrum thomsoniae (2) https://daehyo49.tistory.com/7814421 Clerodendrum thomsoniae (1) https://daehyo49.tistory.com/7809058 학명 : Clerodendrum thomsoniae Balf.f. 분류 : 꿀풀과(Lamiaceae) 학명풀이: Clerodendrum : Chance (or luck) tree(이 속의 식물들의 약성이 의심스러운 것을 가리킴) 사진: 물향기수목원 * Clerodendrum thomsoniae Balf.는 보통 꽃받침이 순백색이나 꽃받침이 연분홍인 것도 있다 Cl..

원예.재배식물 2012.02.02

Viburnum x bodnantense ‘Dawn’

학명: Viburnum x bodnantense ‘Dawn’ 분류: 이동과(Caprifoliaceae)/ 새로운 분류체계에서는 연복초과 (Adoxaceae) 샂빈 장소: 인천수목원 아래: 2021.04.13 인천수목원 설명: This beautiful hybrid, is a deciduous shrub with burnished bronze foliage in autumn and exquisitely fragrant flowers from late autumn into early spring. It earns its place in any garden, as it flowers freely all winter. The flowering season is usually stated to be from mi..

란타나(Lantana)(1)

학명: Lantana sp. 분류: 마편초과(Verbenaceae) 학명 풀이: Lantana: Ancient Latin name for a Viburnum species 보통 많이 보이는 종은 Lantana camara L. ( Common Lantan)이다. 국표식에는 Lantana montevidensis (Spreng.) Briq.를 더 등재하였다. 아래 : 2022.07.29 세종식물원 란타나로 추정하였다 설명 1 관상화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Greater Antilles,, 바하마제도. 콜롬비아, 베네주엘라이고 미국 텍사스주의 Rio Grande Valley에도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잔 세계 열대 및 온대 지역에 귀화식물로 퍼져 자라고 있다. 식물에 독이 있어 이 식물을 먹은 가..

원예.재배식물 2011.12.31